미국 테마시황
입력 : 2025.05.08 08:37:01
제목 : 미국 테마시황
5/7(현지시간) 뉴욕증시가 FOMC 실망감에도 美/中 무역협상 기대, AI 반도체 수출 규제 폐지 소식 등에 상승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상승이 우세. 특히, AI 반도체 수출 규제 폐지 소식에 엔비디아(+3.10%), 브로드컴(+2.36%), 퀄컴(+3.15%), AMD(+1.76%) 등 AI 반도체 관련주를 중심으로 반도체 테마가 상승했고, 월트 디즈니(+10.76%)가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급등하는 등 미디어 테마가 상승. 이 외 세일즈포스닷컴(+1.78%) 등 S/W 및 IT 서비스, 글로벌 페이먼츠(+3.32%) 등 전자결제, 암젠(+2.00%) 등 제약/바이오, 씨티그룹(+1.12%) 등 은행, 마스터카드(+1.31%) 등 카드, 메트라이프(+0.42%) 등 보험, 코카콜라(+0.95%) 등 음식료, 나이키(+2.77%) 등 소비재, 타깃(+1.96%) 등 유통, 페덱스(+1.01%) 등 물류, 델타 항공(+1.09%) 등 항공, 에어비앤비(+1.19%) 등 여행, 솔라엣지(+2.78%) 등 신재생에너지 등의 테마가 양호한 모습.
반면, AI 검색 엔진이 결국 구글 같은 표준 검색 엔진을 대체할 것이라고 애플의 에디 큐 서비스 부문 총괄이 전망한 가운데 알파벳A(-7.26%)가 급락하는 등 포털 테마가 하락했고, 애플(-1.14%) 등 모바일 테마도 하락. 리비안(-5.78%)은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올해 출하 대수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하락, 루시드 그룹(-3.43%)은 손실폭 감소에도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하락한 가운데 전기차 테마도 부진한 모습. 이 외 금 가격 하락 속 뉴몬트(-1.14%) 등 금(金) 테마가 하락했고, US스틸(-4.09%) 등 철강, 오클로(-5.37%) 등 원자력, 버라이즌(-0.59%) 등 통신 등의 테마가 부진한 모습.
반면, AI 검색 엔진이 결국 구글 같은 표준 검색 엔진을 대체할 것이라고 애플의 에디 큐 서비스 부문 총괄이 전망한 가운데 알파벳A(-7.26%)가 급락하는 등 포털 테마가 하락했고, 애플(-1.14%) 등 모바일 테마도 하락. 리비안(-5.78%)은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웃돌았지만 올해 출하 대수 전망치를 하향 조정하면서 하락, 루시드 그룹(-3.43%)은 손실폭 감소에도 매출이 시장 예상치를 밑돌면서 하락한 가운데 전기차 테마도 부진한 모습. 이 외 금 가격 하락 속 뉴몬트(-1.14%) 등 금(金) 테마가 하락했고, US스틸(-4.09%) 등 철강, 오클로(-5.37%) 등 원자력, 버라이즌(-0.59%) 등 통신 등의 테마가 부진한 모습.
관련 테마분석
인터넷 대표주
국내 인터넷 서비스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인터넷산업 대표기업군. 이들 소수 업체들이 상위 사업자군을 형성하며, 시장 지배력을 더욱 키워나가고 있는 상황임. 이중 구글에 이어 네이버가 국내 포털 시장 점유율 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 고 있음. 광고주들의 특성상 많은 트래픽이 모이는 상위 포털 업체에 광고가 집중되는 특성이 있음. |
- 히스토리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카카오, NAVER) |
☞2025-03-11 美 대형 기술주 급락 등에 하락 |

영상콘텐츠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영상 콘텐츠 제작 및 배급(유통)업체들. 넷플릭스, 디즈니+, 티빙, 왓챠 등 국내외 OTT 업체들의 성장으로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한 수익모델이 활성화되고 있음. 특히, 해외시장에서 국내 문화 콘텐츠에 대한 호응도가 높아지고, 정부의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로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4-24 문체부 '2025~2030 애니메이션 산업 진흥 기본계획' 발표 등에 상승(주도주 : 캔버스엔, SBS, CJ ENM, 바른손이앤에이) |
☞2025-04-18 넷플릭스, 1분기 호실적 발표 등에 상승(주도주 : 포바이포, 캔버스엔, 에프엔씨엔터, 캐리소프트, KX) |
☞2025-04-11 더불어민주당, 드라마·영화·웹툰·게임 지원정책 추진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와이랩, 스튜디오미르, M83, 에이스토리) |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5-02 MS·메타 실적 호조에 따른 AI 기대감 및 반도체 4월 수출 호조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
☞2025-04-28 모건스탠리,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수요 절벽 가능성 전망 등에 하락 |
☞2025-04-25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5.63%) 지수 급등 및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경기도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공약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DB하이텍) |

전기차
전기자동차는 화석연료와 엔진을 사용하지 않고, 전기 배터리와 전기 모터를 사용하는 자동차로 저렴한 유지비와 무공해, 무소음 등의 장점을 갖고 있어 향후 기존 자동차를 대체할 미래형 친환경차로 손꼽히고 있음. 친환경을 추구하는 세계적 추세와 더불어 관련 기술개발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테슬라를 퍼스트무버로 관련업체들의 중장기적인 수혜가 예상됨. |
- 히스토리
☞2025-04-30 LG에너지솔루션, 2분기 매출 감소 전망 등에 하락 |
☞2025-04-28 테슬라(+9.80%) 주가 급등 및 나트륨이온 배터리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주도주 : 솔루스첨단소재, 성호전자, 뉴인텍, 상아프론테크) |
☞2025-04-25 中 CATL, 나트륨 이온 배터리 '낙스트라(Naxtra)' 공개 소식 부각, 美 주요 전기차 업체 주가 상승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에코플라스틱, LS ELECTRIC, 아이에이, 엣지파운드리) |

온디바이스 AI
온디바이스(On-device) AI는 물리적으로 떨어진 서버의 연산을 거치지 않고 기기 자체에서 AI 기능을 구현하는 기술. 외부 서버나 클라우드에 연결되어 데이터와 연산을 지원받았던 기존의 클라우드 기반 AI에서 벗어나, 기기 자체 에 탑재되어 직접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제공. 통신 상태의 제약을 받지 않으며, 보안성이 높고 정보 처리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음. 온디바이스 AI를 탑재한 기기의 경우 AP와 신경망처리장치(NPU) 고사양화에 따라 D램과 낸드 용량 증가도 뒤따를 것으로 예상. |
- 히스토리
☞2025-04-28 모건스탠리,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수요 절벽 가능성 전망 등에 하락 |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퀄리타스반도체, SK하이닉스, 가온칩스, 유니퀘스트) |
☞2025-04-07 트럼프, 반도체 개별관세 부과 예고,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7.60%) 폭락 영향 등에 하락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신규 다운로드 재개했지만…딥시크 국내 인기 '뚝'
-
2
급비탈 선 한국경제…성장전망 한달새 반토막, 1%대도 씨마른다
-
3
SK그룹, 최태원 회장 약속한 '정보보호 혁신위원회' 구성 착수
-
4
"젠슨 황·립부 탄 등 거물 총출동"…대만 '컴퓨텍스' 20일 개막
-
5
예보한도 상향에 '머니무브' 방아쇠…금융당국, 상시점검TF 가동
-
6
관세 파고에도 회사채 시장 순항…"5월 실적시즌 기업별 차별화"
-
7
롯데손보 콜옵션 연기에 보험사들 타격…700억 보유 개인들 우려
-
8
표 되는 '월급쟁이 감세론' 전면 부각…세수펑크는 딜레마
-
9
400조대 '의무지출'…구조개선 없는 선심성 복지공약에 가속페달
-
10
국가부채 비율, 非기축통화국 평균 첫 추월…5년 뒤엔 60% 육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