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우려 완화에 10만불 돌파한 비트코인…“2분기 중 12만불 돌파” 전망도
이종화 기자(andrewhot12@mk.co.kr)
입력 : 2025.05.09 13:35:47
입력 : 2025.05.09 13:35:47

비트코인, 91일 만에 10만불 돌파
사상 최고가까지 약 5.7% 남아있어
SC “2분기 중 12만불 돌파” 전망
이더리움, 펙트라 업데이트에 급등
사상 최고가까지 약 5.7% 남아있어
SC “2분기 중 12만불 돌파” 전망
이더리움, 펙트라 업데이트에 급등
비트코인이 글로벌 관세전쟁 우려 완화에 10만달러를 돌파했다. 2분기 중 12만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9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 대비 5.85% 오른 10만2832.47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이 10만달러를 회복한 것은 지난 2월 7일 이후 약 91일 만이다.
비트코인은 한때 10만3969.54달러에 거래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 전쟁의 우려로 연저점을 기록했던 지난달 7일 가격인 7만4393.46달러와 비교해 약 39.76% 급등한 셈이다.
이날 비트코인이 상승한 이유로는 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세계를 상대로 시작한 관세 전쟁에 대한 우려가 다소 완화된 점이 꼽힌다.
트럼프 행정부는 8일(현지시간) 영국과 통상합의를 체결했다. 미국이 전세계 교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품목별 관세 및 상호관세를 부과한 이후 개별 국가와 통상 협상을 타결한 첫 사례다.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 일본, 인도, 이스라엘 등 주요 무역 국가와 관세와 비관세 장벽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영국 외 인도 등과도 합의에 근접했다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여전히 기관 자금이 비트코인으로 몰려들고 있어 비트코인 가격이 12만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스탠다드차타드(SC) 은행은 최근 비트코인의 2분기 목표 가격을 12만달러로, 연말 목표 가격을 20만달러로 제시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SC는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흘러 들어오는 기관 자금에 대한 기대감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현·선물 가격 차이를 노린 헤지펀드들의 ‘베이시스 트레이드’ 물량이 현물 ETF 자금 규모를 과하게 부풀렸다는 지적이 나오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라는게 SC의 설명이다.
SC에 따르면 미국에 상장된 현물 ETF에는 지난 3주간 약 53억달러의 자금이 흘러들어 왔다. 이 중 베이시스 트레이드 물량을 제외한 실제 개인 및 기관 자금 규모가 40억달러에 달한다.
보고서를 작성한 제프 켄드릭(Geoff Kendrick) SC 연구원은 “2분기 목표로 제시한 12만달러의 비트코인 전망치가 너무 낮았던 것 같다”며 “비트코인의 상승세에는 유동성이 가장 중요한데, 5월 중순 공개될 13F 보고서에서 기관들의 비트코인 현물 ETF 등에 대한 투자 내역이 공개되면 유동성이 더 늘어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아부다비 국부펀드는 블랙록의 비트코인 현물 ETF인 IBIT에 투자한 바 있다. 스위스 중앙은행도 스트래티지 투자를 통해 비트코인에 간접 투자했다.
비트코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승리 이후 ‘트럼프 트레이드’ 효과로 지난해 12월 처음으로 10만달러를 돌파한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직전인 지난 1월 20일 비트코인은 10만9114.88달러에 거래되며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현재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가와 약 5.65%의 차이가 남아 있는 상태다.
한편 이날 비트코인 외 다른 알트코인도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이더리움은 1.41% 급등한 2204.3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더리움은 올해 들어 기록한 약세로 인해 이더리움 도미넌스(전체 가상자산 시가총액 대비 이더리움 시가총액 비중)가 2017년 초기코인공개(ICO) 붐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떨어진 바 있다.
단 이더리움은 관세 우려 완화에 더해 지난 7일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한 ‘펙트라 업그레이드’를 실시하면서 투심이 개선됐다.
XRP(9.21%), BNB(4.13%), 솔라나(10.32%), 도지코인(13.53%) 등 다른 알트코인도 함께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코인글라스에 따르면 가상자산 가격 급등 영향에 지난 24시간동안 가상자산 가격 하락에 베팅하는 숏 물량 8억3612만 달러가 청산됐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