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소규모 수입업체 관세 충격 가시화…주문보류·직원해고
WSJ "소기업, 마진 낮고 재정여력 부족…생산지 변경도 쉽지않아"업계, 대규모 해고·폐업 속출 우려…美상의 "소기업은 관세면제" 촉구
이지헌
입력 : 2025.05.12 01:05:34
입력 : 2025.05.12 01:05:34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총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미·중 관세 협상마저 원만한 타결을 장담할 수 없는 가운데 중국에 제품·원자재 공급처를 둔 미국 내 소기업들의 고통이 가시화되고 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중 관세전쟁으로 중국에 거래처를 둔 소기업들의 어려움이 커지면서 일부 기업들이 생존을 위해 직원을 감축하고, 소유주 개인 저축을 활용해 현금을 마련하고 있다고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뉴햄프셔주에 위치한 소기업 파이브스타노스는 올해 초까지 12명이었던 직원을 최근 5명으로 줄였다.
이 기업은 사인펜부터 야외 조명용품까지 다양한 소비자 제품을 중국 제조업체들과 협력해 생산해왔다.
파이브스타노스의 스콧 앤더슨 대표는 "이 시점에서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지는 남은 자산을 모두 팔고 문을 닫는 것"이라며 "권력자들은 소기업에는 관심이 없는 것 같다"라고 말했다.
중국산 자재에 의존하는 미국 내 중소 제조업체들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콜로라도주에 위치한 스카이뷰텐트는 텐트 생산량을 절반 수준으로 줄이고, 텐트 제작 직원 5명 중 1명을 최근 해고했다.
중국산 직물로 텐트를 생산하는 이 회사는 자재 주문을 보류하고 신규 투자자 확보에 나섰다.
중국에서 시계 등 액세서리류를 수입하는 미 업체 싱크탱크는 이달 초 도착한 5천649달러 어치 주문 물량에 관세 등 통관 비용이 8천752달러 추가된 사실을 확인하고 경악했다.
이 업체 소유주 리사 포포비치는 "마진이 마이너스가 됐다"며 사무실의 새 임대차 계약 서명을 보류 중이다.
중국에서 카드 게임을 주문해 판매하는 ASM게임스의 알프레드 마이 공동창업자는 개인 저축자금인 머니마켓펀드(MMF)를 환매해 현금을 마련했다면서 "관세를 내고 재고를 확보할지 그냥 재고 확보를 포기할지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소기업들은 대체로 마진율이 낮고 보유 현금이 부족한 데다 생산지를 옮기는 게 쉽지 않다 보니 무역전쟁의 충격에 훨씬 취약한 상황이라고 WSJ은 지적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피에트라의 로낙 트리베디 공동창업자는 최근 한 달 새 관세 부과에 따른 소기업 폐업이 급증했다며 "최악의 상황은 아직 오지 않았다.
대규모 해고와 폐업을 보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미 재계는 이미 트럼프 행정부에 이 같은 우려를 표명한 상태다.
앞서 미국 재계를 대변하는 미국상공회의소는 소규모 수입업체에 적용되는 관세를 면제해달라고 트럼프 행정부에 이달 초 요청한 바 있다.
미 상의는 소기업들이 관세 인상을 견딜 자본 여력이 없다면서 "합의를 타결하는 데 수주나 수개월만 걸린다고 해도 많은 소기업이 회복할 수 없는 피해를 볼 것이라는 점을 깊이 우려한다"고 밝혔다.
p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