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신정훈 기자 = 부산지역 기업 대표자의 고령화가 전국에서 가장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6일 부산울산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벤처기업부 및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0년 기준 부산 사업체 중 60세 이상 대표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29.6%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대표자가 60세 이상인 사업체 비중 [부산울산중소기업중앙회 제공]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2년과 비교해 2020년 전체 사업체 중 60세 이상 대표자 비중은 7.6%포인트 증가했다.
제조기업은 14.7%포인트, 비제조기업은 6.8%포인트 각각 증가했다.
제조업이 비제조업보다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표자가 60세 이상인 제조기업 수는 8년 전 대비 2배 가까이 증가했다.
부산 대표자 연령대별 사업체 수 비중('12~'20) [부산울산중소기업중앙회 제공]
2019년 기준으로 부산 16개 구·군 소재 사업체 중 영도구가 60세 이상 대표자 비중이 35.5%로 가장 높았고, 제조기업은 중구(41.7%), 비제조기업은 영도구(35.1%)가 가장 높았다, 고령 대표자 비중이 높았던 중·동·서·영도구는 2040년에 고령 인구가 각 지역 인구의 5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부산 전체 시·군·구에서 고령화 현상이 가장 심각한 지역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정부가 지방 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정한 인구 감소 지역 전국 89곳에 부산의 동·서·영도구 3곳이 포함된 바 있다.
한편, 국세청 2021년 기준 자료를 보면 부산지역 폐업자 중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6.0%, 초고령자인 7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7.9%로, 6대 광역시 중 가장 높았다.
이는 고령화에 따른 기업 승계가 원활하지 않은 결과로 판단된다.
허현도 부산울산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부산은 7개 특별·광역시 중 가장 먼저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을 정도로 고령화 현상이 극심한 지역으로 기업 대표자의 고령화 역시 전국에서 가장 심각한 상황"이라며 "기업 고령화가 폐업·도산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가업상속공제제도 보완 등을 통해 기업승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