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LG전자·LG CNS와 디지털트윈 기반 데이터센터 기술 실증
조현영
입력 : 2025.07.07 09:00:00
입력 : 2025.07.07 09:00:00

[LG유플러스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현영 기자 = LG유플러스[032640]가 LG전자[066570], LG CNS와 함께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한 데이터센터 냉방 효율화 기술(DCIM) 실증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LG그룹 계열사 간 협력모델을 기반으로 추진되며, 데이터센터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운영 효율을 높이는 고도화된 관리 기술을 자체적으로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AI를 통해 냉방 설비를 지능적으로 제어하고, 가상 환경에서 운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해 냉각 에너지 소비를 최대 10% 절감하는 것이 목표다.
실증은 오는 9월부터 LG유플러스의 평촌2센터에서 우선 진행되며, 냉동기와 컴퓨터룸 공조기(CRAC) 등 주요 설비에 AI 제어 알고리즘과 디지털 트윈 모델을 적용한다.
LG전자는 디지털 트윈 기반의 CRAC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제 평촌2센터 설비에 적용해 최적 운전 조건을 도출하는 역할을 맡는다.
LG CNS는 데이터센터 환경을 정밀하게 모사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바탕으로 AI 모델을 설계하고, 향후 다양한 센터로 확장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한다.
LG유플러스는 평촌2센터 내 전용 기술 검증(PoC) 테스트룸을 구성해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AI 제어를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으며, 프로젝트 전반을 이끈다.
실증 결과는 향후 파주센터를 포함한 LG유플러스 주요 데이터센터로 확대될 예정이다.
세 회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실증 중심의 운영 노하우를 쌓고 그룹 내부에서 자립적인 기술 체계를 구축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한편 LG유플러스는 현재 평촌1·2, 가산, 서초1센터를 통합운영시스템으로 관리 중이다.
올해 안에 논현·상암센터까지 운영체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정숙경 LG유플러스 AIDC사업담당(상무)은 "국내 데이터센터 업계에서도 AI 기반 운영 시스템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실제 적용 사례는 아직 많지 않다"며 "이번 실증을 통해 냉각 전력의 효율을 높이고, 그룹 차원의 스마트 데이터센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hyun0@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화력 센 외인 가세 … 코스피 새 역사 만든다
-
2
[나현준의 데이터로 세상읽기] 美사모펀드의 공모화 … 韓도 벤치마킹해야
-
3
집값 상승세 꺾이자 … 대형 건설株도 조정 돌입
-
4
상법개정으로 떴던 한전 외인 팔때 개미만 사들여
-
5
[나현준의 데이터로 세상읽기] '오천피 시대' 연금부자 쏟아지려면 … 퇴직연금 주식비중 늘려야
-
6
커지는 가상자산시장 … 빅테크·금융권 협력 늘어날것
-
7
올 수익률 27% … '돈나무 언니'가 돌아왔다
-
8
"檢·기재부개편 대통령실 보고 정부조직개편 큰틀 이견 없다"
-
9
"디지털 혁신은 위기 아닌 기회 … 회계업 미래, AI에 달려 있어"
-
10
AI 전략 통했다…로블록스, 올해 82% 상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