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청년 100명 중 4∼5명 고립·은둔…취업난 주원인"

서울시 첫 실태조사…최대 13만명 추산고립·은둔청년 절반 '극복 의지'…3월 종합대책 마련
고은지

입력 : 2023.01.18 11:17:00

0
채용박람회 구직자들
[연합뉴스 자료사진]
내게 맞는 외국인투자기업을 찾아.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14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17회 외국인투자기업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2022.11.14 ryousanta@yna.co.kr(끝)

PYH2022111410790001300_P4.jpg

Y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서울 청년 100명 중 4∼5명은 고립·은둔 상태인 것으로 파악됐다.

취업난과 심리적 어려움이 이들을 고립·은둔 상태로 몰고 간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지난해 5∼12월 전국 최초로 시행한 고립·은둔 청년 실태조사 결과를 19일 발표했다.
시는 최근 한 달 내 직업·구직활동이 없는 청년 중 정서적·물리적 고립 상태가 6개월 이상 유지된 경우를 고립청년, 이 중 외출을 거의 하지 않고 집에서만 생활한 지 최소 6개월이 된 경우는 은둔청년으로 정의했다.

조사는 서울에 사는 만 19∼39세 청년 표본 5천221가구와 청년 5천51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이뤄졌다.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실제 고립·은둔 생활을 하는 당사자와 지원기관 실무자 심층 조사가 병행됐다.

조사 결과 서울 청년 중 고립·은둔 비율은 4.5%로 추정됐다.

이를 서울시 인구에 적용하면 최대 12만9천명, 전국 단위로 넓히면 약 61만명에 이른다.

고립·은둔생활을 하게 된 계기로는 가장 많은 45.5%(중복응답)가 '실직 또는 취업에 어려움'을 꼽았다.

'심리적·정신적 어려움'(40.9%), '인간관계를 맺는 것이 어려움'(40.3%)이 뒤를 이었다.

고립·은둔청년은 성인기 이전에는 '가족 중 누군가가 정서적으로 힘들었던 경험'(62.1%), '집안 형편이 갑자기 어려워진 경험'(57.8%), '괴롭힘과 따돌림을 당했던 경험'(57.2%)이 있었다고 밝혔다.

성인기 이후에는 주로 취업 실패를 경험했다.

응답자의 64.6%는 원하던 시기에 취업을 못했다고 답했고, 60.7%는 원했던 직장에 들어가지 못했다고 했다.

고립·은둔 생활 지속 기간은 '1년 이상∼3년 미만' 28.1%, '3년 이상∼5년 미만' 16.7%, '10년 이상' 11.5% 순이었다.
0
서울시 고립·은둔청년 실태조사 중 고립·은둔 생활을 하게 된 계기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AKR20230118062900004_01_i_P4.jpg

N
고립·은둔청년 중 본인 가구의 사회·경제적 수준이 '보통보다 낮다'고 응답한 비율이 64.7%였다.

이는 일반 청년의 31.4%보다 배 이상 높은 수치다.

고립·은둔청년의 43.2%는 자신의 신체적 건강 상태에 대해 '나쁘다'고 답변했다.

일반청년(14.2%)의 3배 수준이다.
또한 고립·은둔청년 18.5%는 정신건강 관련 약물을 복용한다고 밝혔다.

고립·은둔 생활에서 벗어나고 싶다고 느낀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는 55.7%가 '그렇다'고 답했다.
43.0%는 실제로 벗어나기 위한 시도를 해본 것으로 조사됐다.

고립·은둔 생활에서 벗어나기 위한 시도로는 '취미활동'(31.1%), '일이나 공부'(22.0%), '병원 진단·치료'(15.4%), '심리상담'(10.2%)을 들었다.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는 '경제적 지원'(57.2%)'을 꼽았다.

이어 '취미·운동 등의 활동'(44.7%), '일자리나 공부 기회'(42.0%), '심리상담'(36.8%) 등의 답변이 나왔다.

고립·은둔청년 자녀를 둔 가족은 '고립과 은둔에 대한 이해 프로그램'(22.4%), '부모와 자식 간 가족 상담'(22.1%)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시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립·은둔 청년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 등을 기획해 제공할 방침이다.

대학 전문병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지금까지 단순 상담에 의존했던 고립·은둔청년 지원사업을 과학화하고 체계화된 형태로 확장한다.

또 고립·은둔청년을 종합적으로 살필 수 있는 '(가칭) 마음건강 비전센터'를 운영한다.

이를 포함한 구체적인 지원계획은 올해 3월 중 마련해 시행한다.

김철희 서울시 미래청년기획단장은 "고립·은둔청년이 실제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그들이 다시 사회로 나와 안전하고 편안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0
취업난(PG)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장현경 제작] 일러스트
PCM20200507000083990_P4.jpg

N
eu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7 13:40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