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노린 '연 1천%' 대리입금·휴대폰깡 증가세
임수정
입력 : 2023.06.21 12:00:01
입력 : 2023.06.21 12:00:01
(서울=연합뉴스) 임수정 기자 = 금융감독원이 최근 인터넷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청소년을 노린 불법사금융이 확산하고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감원이 지난 2020~2022년 수집한 대리입금 관련 불법 금융 광고는 9천257건으로 연평균 2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리입금이나 '내구제대출' 피해는 청소년층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대리입금은 업자 등이 SNS에 광고 글을 게시하고 10만 원 내외의 소액을 2∼7일간 단기로 대여하는 것이다.
업자들은 연체료 대신 대출금의 20~50%를 수고비로 요구하는데, 연이율로 환산하면 1천% 이상에 달한다.
'휴대폰깡'으로도 불리는 내구제대출은 휴대전화를 개통해 제3자에게 통신용으로 제공하고 그 대가로 현금을 융통하는 수법이다.
이에 금감원은 전달이 간편하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의 온라인 가정통신문을 제작해 배포하고 신·변종 불법사금융 관련 최신 사례 위주의 교육 콘텐츠를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8월에 실시 예정인 교사 금융연수 과정에도 불법사금융 대응 요령에 관한 내용을 신규 편성한다.
금감원은 "청소년·학부모·교사의 불법사금융 대응력을 강화함으로써 불법사금융 피해 예방을 위한 '3중 보호체계' 구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 홍보 포스터
[금융감독원 제공]
sj9974@yna.co.kr(끝)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감원이 지난 2020~2022년 수집한 대리입금 관련 불법 금융 광고는 9천257건으로 연평균 21.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리입금이나 '내구제대출' 피해는 청소년층에서 주로 발생하고 있다.
대리입금은 업자 등이 SNS에 광고 글을 게시하고 10만 원 내외의 소액을 2∼7일간 단기로 대여하는 것이다.
업자들은 연체료 대신 대출금의 20~50%를 수고비로 요구하는데, 연이율로 환산하면 1천% 이상에 달한다.
'휴대폰깡'으로도 불리는 내구제대출은 휴대전화를 개통해 제3자에게 통신용으로 제공하고 그 대가로 현금을 융통하는 수법이다.
이에 금감원은 전달이 간편하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의 온라인 가정통신문을 제작해 배포하고 신·변종 불법사금융 관련 최신 사례 위주의 교육 콘텐츠를 확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8월에 실시 예정인 교사 금융연수 과정에도 불법사금융 대응 요령에 관한 내용을 신규 편성한다.
금감원은 "청소년·학부모·교사의 불법사금융 대응력을 강화함으로써 불법사금융 피해 예방을 위한 '3중 보호체계' 구축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금융감독원 제공]
sj9974@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롯데지주, 최대주주등 소유주식수 2,112,000주 감소
-
2
에스티아이(039440) 소폭 상승세 +3.01%, 3거래일 연속 상승
-
3
드디어 급등한 이더리움…6개월만에 최고가 [매일코인]
-
4
조아제약(034940) 상승폭 확대 +15.52%
-
5
진양제약(007370) 소폭 상승세 +3.05%
-
6
루닛(328130) 소폭 상승세 +3.02%
-
7
로베코운용, “韓 조·방·원·전, 中 펫·애니 유망 투자처”
-
8
아시아나IDT, 127.22억원 규모 공급계약(모니모 시스템 통합 운영 서비스 계약) 체결
-
9
오후장 특징주★(코스피)
-
10
웹3 스트리밍 ‘사이드킥’, 알토스 벤처스 투자 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