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 6억원 있어? 딱 평균이라는데”…한국인 주식 비중 늘고, 부동산 줄어
류영상 매경 디지털뉴스룸 기자(ifyouare@mk.co.kr)
입력 : 2025.07.17 14:50:48 I 수정 : 2025.07.17 15:37:28
입력 : 2025.07.17 14:50:48 I 수정 : 2025.07.17 15:37:28
가구당 순자산 5.9억…전년比 2.4%↑
1인당은 2.5억…3년째 일본 앞서
순자산 내 부동산 비중 75.4→74.6%
주식 등 금융자산 582조 급증 역대급
1인당은 2.5억…3년째 일본 앞서
순자산 내 부동산 비중 75.4→74.6%
주식 등 금융자산 582조 급증 역대급

가계뿐 아니라 우리나라 모든 경제주체가 보유한 전체 순자산, 이른바 국부도 해외 투자 이익 규모가 커지면서 5% 넘게 증가했다.
가구당 순자산 5억 8916만원…순금융자산 증가가 견인
1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1경 3068조원으로, 이를 추계가구 수(2218만가구)로 나눈 가구당 가계순자산은 5억 8916만원이다. 전년보다 1368만원(2.4%) 증가한 수치다.가계순자산은 부동산과 예금 등 한 가정(가구)이 보유한 전체 자산에서 빚(금융 부채)을 뺀 금액이다. 한 가정의 경제적인 상태나 부유함을 보여주는 지표다.

자산별로 보면 부동산(건물+토지) 자산이 비금융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23년 말 75.4%에서 지난해 말 74.6%로 하락했다.
수도권 쏠림 심화…90% 넘는 주택 자산 상승 수도권 집중
수도권과 지방의 극심한 양극화도 확연했다.주택시가총액 상승분의 90.6%는 수도권에서 발생했다.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의 비중은 68.7%로 전년 말 대비 1%포인트 확대됐다.

국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을 추계인구(약 5175만명)로 나눈 1인당 가계순자산은 지난해 말 기준 2억 5251만원으로 추정돼 전년(2억 4450만원)에 비해 3.3% 늘었다. 전년대비 증가 폭도 2023년(1.7%)에서 확대됐다.

주요국 중에서는 일본(18만달러, 2023년 기준)보다 높고, 미국(52만 1000달러)과 캐나다(29만 5000달러)보다는 낮다.
일본은 아직 2024년 국민대차대조표가 발표되지 않았으나 지난해에도 우리나라의 1인당 순자산이 더 많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나라가 1인당 순자산에서 일본을 추월한 것은 2022년 이후 계속되고 있다.
물가 등을 감안한 구매력평가환율(달러당 993원)을 적용한 1인당 가계 순자산은 27만 1000달러로, 영국과 일본보다 높고 프랑스(27만 6000달러)와 비슷한 수준이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망해도 ‘먹는 장사’ 아니면 답 없잖아”…배달앱 확산에 요식업 쏠림 심화
-
2
李정부 경제수장 후보자 “AI 대전환 위해 초혁신팀 만들겠다”
-
3
“비트코인 말고 우리도 있어요”...하루 1조씩 몰리는 이더리움ETF
-
4
집중호우에 SRT 광주송정∼목포, 진주∼수서 일부 운행 중단(종합)
-
5
소상공인 만난 금융위…"신규자금 공급·금리경감 3종세트 마련"(종합)
-
6
“코스피? 그래도 우린 미국”...서학개미 주식보관액 1300억 달러 눈앞
-
7
“노인한테 뭐 하는 거지?”…보이스피싱범 붙잡아 가게에 가둔 안경점 사장
-
8
로블록스, 게임 속 '모르는 어른'과 청소년 채팅 차단
-
9
"中연계 해커들, 대만 반도체 기업 겨냥 사이버공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