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최저임금 1만원 되면 일자리 최대 6만9천개 감소"
청년·저소득층 타격 커…"노동계 요구 따르면 일자리 최대 47만개↓"
김보경
입력 : 2023.06.26 06:00:02 I 수정 : 2023.06.26 15:13:43
입력 : 2023.06.26 06:00:02 I 수정 : 2023.06.26 15:13:43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현재 9천620원인 최저임금이 내년 1만원으로 인상될 경우 일자리가 최대 6만9천개 감소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최남석 전북대 교수에게 의뢰해 작성한 '최저임금 상승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를 26일 발표했다.
보고서는 한국복지패널의 2017∼2021년 가구원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최저임금의 고용 탄력성을 산출해 최저임금 인상률에 따른 일자리 감소 효과를 추정했다.

[전경련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보고서는 내년도 최저임금이 1만원으로 올해보다 3.95% 오를 경우 최소 2만8천개에서 최대 6만9천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최근 5년간(2018년~2022년)의 평균 신규 일자리 수인 31만4천개의 8.9%∼22.0%에 해당한다.
만약 노동계 요구대로 최저임금을 1만2천210원으로 26.9% 인상하면 일자리 감소 수는 최소 19만4천개에서 최대 47만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서울=연합뉴스) 김민지 기자 = minfo@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보고서는 최저임금 인상이 청년층과 저소득층, 소규모사업장 등 근로취약계층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감소 폭이 더 컸다고 밝혔다.
먼저 청년층(15∼29세)에서는 최저임금이 1만원으로 인상 시 일자리가 1만5천개∼1만8천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계 요구안에 따르면 감소 폭은 10만1천개∼12만5천개로 커졌다.
소득 2분위 기준 저소득층의 일자리는 최저임금이 1만원이 될 경우 최소 2만5천개에서 최대 2만9천개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노동계 요구안대로 따르면 20만7천개∼24만7천개가 추정 감소 폭이었다.
종사자 수 1∼4인 소규모사업장은 최저임금 1만원으로 인상 시 최대 2만9천개, 노동계 요구안 수용 시 최대 19만6천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보고서를 작성한 최남석 교수는 "최근 영세기업들은 극심한 경기침체로 판매감소와 재고증가의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최저임금이 추가로 인상될 경우 경영난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고 밝혔다.

[전경련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vivid@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엔비디아 투자' 코어위브, 비트코인 채굴 기업 인수
-
2
정부, '트럼프 서한'에 "8월1일까지 관세 유예된 것…협상 박차"
-
3
[전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에 보낸 서한
-
4
트럼프, 韓고위급 방미 중 관세서한…한미 '3주 끝판협상' 총력
-
5
[2보]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부과 통보 서한 발송에 하락…다우 0.9%↓
-
6
삼성전자, 오늘 2분기 잠정실적 발표…반도체 부진 지속
-
7
[1보]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서한 발송에 하락…다우 0.9%↓
-
8
트럼프, 관세 서한 일일이 SNS 공개…백악관 "12개국 발송"(종합2보)
-
9
[뉴욕증시-1보] 관세 서한이 불지핀 불확실성…동반 약세 마감
-
10
트럼프, 韓·日 관세 소식에 美 증시 와르르...창당 선언 머스크에 테슬라는 폭락 [월가월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