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새 학령인구 2배로 증가…하남교육지원청 신설될까
잇단 신도시 조성 영향…시, '광주하남교육청'서 분리 요구
이우성
입력 : 2023.01.22 13:00:05
입력 : 2023.01.22 13:00:05
(하남=연합뉴스) 이우성 기자 = 경기 하남시가 학령인구 증가에 따라 독립 교육지원청 신설을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하남 미사지구
2021년 6월 23일 오전 남한산성에서 내려다본 하남 미사지구.[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하남시는 1989년 1월 1일 광주군에서 분리됐으나 교육행정기관은 유지돼 34년간 하남지역 교육행정 업무는 광주시에 있는 광주하남교육지원청에서 관할하고 있다.
그러나 미사강변도시와 감일지구 등 잇단 신도시 조성으로 하남지역 학령인구(만 0~18세)가 많이 증가하면서 교육환경 개선 요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2017년부터 경기도교육청과 교육부에 교육지원청 분리·신설을 요구해온 하남시는 올해 초 임태희 도 교육감과 면담을 통해 교육지원청 신설을 재차 요청했다.
이현재 시장은 지난 17일 임 교육감과 간담회에서 하남교육지원청 신설 등 교육현안 해결을 건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 시장은 "하남시는 잇단 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전체 학령인구의 70%가 미사·위례·감임 등 3개 신도시에 집중돼 있어 이 지역 과밀학급 해소 등 교육현안 해결이 시 최대의 과제가 됐다"고 말했다.

위례신도시 아파트
2021년 5월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에서 바라본 위례신도시 신축 아파트 단지.[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하남시 학령인구는 2015년 12월 3만1천명에서 지난해 12월 5만9천명으로 7년새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말 기준 전체 학령인구(5만9천명)의 71%에 달하는 4만2천명이 미사·위례·감일 등 3개 신도시에 집중돼 신도시 내 과밀학급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 시장은 ▲하남교육지원청 신설 ▲가칭 한홀중(미사5중) ▲가칭 청아고(미사4고) 조기 신설 ▲위례·감일지구 과밀학급 선제 대응 등을 건의했고, 임 교육감은 교육지원청 분리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답하기도 했다.
광주하남교육지원청에서 하남 교육행정을 분리해 하남교육지원청이 신설되려면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개정과 '경기도교육청 행정기구 설치조례' 개정이 필요하다.
하남시 관계자는 "2020년에 교육부에 공문을 보내 관련 법 개정을 건의했는데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며 "올해 재차 하남교육지원청 신설을 요청하는 등 다각도로 방법을 찾아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현재 경기도교육청은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25곳에 교육지원청을 두고 있다.
광주·하남, 화성·오산, 안양·과천, 군포·의왕, 동두천·양주, 구리·남양주 등 6곳 교육지원청에서는 2개 지자체의 교육행정을 함께 맡고 있다.

하남시청
[하남시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gaonnuri@yna.co.kr(끝)

2021년 6월 23일 오전 남한산성에서 내려다본 하남 미사지구.[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하남시는 1989년 1월 1일 광주군에서 분리됐으나 교육행정기관은 유지돼 34년간 하남지역 교육행정 업무는 광주시에 있는 광주하남교육지원청에서 관할하고 있다.
그러나 미사강변도시와 감일지구 등 잇단 신도시 조성으로 하남지역 학령인구(만 0~18세)가 많이 증가하면서 교육환경 개선 요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2017년부터 경기도교육청과 교육부에 교육지원청 분리·신설을 요구해온 하남시는 올해 초 임태희 도 교육감과 면담을 통해 교육지원청 신설을 재차 요청했다.
이현재 시장은 지난 17일 임 교육감과 간담회에서 하남교육지원청 신설 등 교육현안 해결을 건의했다.
이 자리에서 이 시장은 "하남시는 잇단 신도시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전체 학령인구의 70%가 미사·위례·감임 등 3개 신도시에 집중돼 있어 이 지역 과밀학급 해소 등 교육현안 해결이 시 최대의 과제가 됐다"고 말했다.

2021년 5월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에서 바라본 위례신도시 신축 아파트 단지.[연합뉴스 자료사진.재판매 및 DB 금지]
하남시 학령인구는 2015년 12월 3만1천명에서 지난해 12월 5만9천명으로 7년새 2배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말 기준 전체 학령인구(5만9천명)의 71%에 달하는 4만2천명이 미사·위례·감일 등 3개 신도시에 집중돼 신도시 내 과밀학급 발생 우려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이 시장은 ▲하남교육지원청 신설 ▲가칭 한홀중(미사5중) ▲가칭 청아고(미사4고) 조기 신설 ▲위례·감일지구 과밀학급 선제 대응 등을 건의했고, 임 교육감은 교육지원청 분리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답하기도 했다.
광주하남교육지원청에서 하남 교육행정을 분리해 하남교육지원청이 신설되려면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개정과 '경기도교육청 행정기구 설치조례' 개정이 필요하다.
하남시 관계자는 "2020년에 교육부에 공문을 보내 관련 법 개정을 건의했는데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며 "올해 재차 하남교육지원청 신설을 요청하는 등 다각도로 방법을 찾아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현재 경기도교육청은 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25곳에 교육지원청을 두고 있다.
광주·하남, 화성·오산, 안양·과천, 군포·의왕, 동두천·양주, 구리·남양주 등 6곳 교육지원청에서는 2개 지자체의 교육행정을 함께 맡고 있다.

[하남시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gaonnuri@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