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 오르고 신용등급 내리고’ 커지는 경기 둔화 우려
강봉진 기자(bong@mk.co.kr)
입력 : 2023.09.15 10:51:05 I 수정 : 2023.09.15 11:00:47
입력 : 2023.09.15 10:51:05 I 수정 : 2023.09.15 11:00:47
10년 등 중장기 국채금리 연중 최고수준
변동 없던 CD·CP금리도 상승으로 꿈틀
저축은행 이어 미디어·유통 등급전망 하향
고공행진중인 금리가 경기에 부담 주는듯
‘9월 위기설’ 과도한 우려 경계해야 의견도
변동 없던 CD·CP금리도 상승으로 꿈틀
저축은행 이어 미디어·유통 등급전망 하향
고공행진중인 금리가 경기에 부담 주는듯
‘9월 위기설’ 과도한 우려 경계해야 의견도

1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3년 만기 이후 국고채 금리는 연중 최고수준에 거의 근접했다. 14일 기준 만기별 현재 금리와 연중 최고금리는 3년(3.836%·3.878%), 10년(3.917%·3.986%), 30년(3.747%·3.852%)다.
기업어음(CP·A1급 91일물) 금리는 3.99%에서 두달여간 변동이 없었으나 지난 11일 4%로 올라섰고, 양도성예금증서(CD·AAA급 시중은행 발행 91일물 기준) 금리도 크지는 않으나 하루나 수일에 걸쳐 1bp(0.01%포인트)씩 오르고 있다. 이날도 CD금리는 전날에 비해 1bp 오른 3.76%에 마감했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지난 8일 더케이저축은행(BBB)과 페퍼저축은행(BBB)의 신용등급 전망을 기존의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하향조정했다. 지형삼 나이스신용평가 책임연구원은 “해당 저축은행은 2023년 들어 적자전환한 가운데 6월말 기준으로 고정이하여신비율 7%를 넘어섰다”며 “조달비용과 대손비용 증가로 수익성이 저하되고, 자산건전성 저하위험이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앞서 지난 6~7월에도 주요 신용평가사들은 키움저축은행(A-), OK저축은행(BBB+), 웰컴저축은행(BBB+), 바로저축은행(BBB+)의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에서 ‘부정적’으로 내렸다.



다만 ‘9월 위기설’과 같은 경제 위기론은 자기실현적 성격을 갖는만큼 과도한 우려를 통해 위축될 필요는 없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정혜진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고금리 장기화와 지방·투자용 부동산 수요의 미진한 회복세를 고려할 때 PF 경계감을 유지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면서도 “‘9월 위기설’과 같은 과도한 우려가 지속될 경우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수 있음에 유의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 韓·日 관세 소식에 美 증시 와르르...창당 선언 머스크에 테슬라는 폭락 [월가월부]
-
2
“머스크 좀 가만있으면 안될까”…서학개미, 트럼프 미움살라 테슬라 ETF 던졌다
-
3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4
“7월에는 빌리기 힘들다고 해서요”…막차 타려 대출창고 몰려간 사람들
-
5
“대통령의 전권”...트럼프, 韓·日서한 콕 찦어 먼저 공개한 이유
-
6
美 "車·철강·알루미늄 등 품목관세 대상엔 상호관세 부과안해"(종합)
-
7
삼성바이오, 역대급 실적에 성과급 '기본급 100%' 지급
-
8
삼성바이오 통상임금 소송 재판 개시…노조, 80억 배상 요구
-
9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10
訪美 중 트럼프 서한 받은 고위당국자들, 美와 막바지 협의 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