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3.01.31 14:42:54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조선, 피팅(관이음쇠)/밸브, U-Healthcare(원격진료), 남-북-러 가스관사업,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해운, AI 챗봇(챗GPT 등), LNG(액화천연가스), 미디어(방송/신문), 종합상사, 항공기부품, LED장비, 조선기자재, 타이어, 2차전지 등...
약세 테마반도체 대표주(생산), CCTV&DVR, 보안주(물리), 인터넷 대표주, MLCC(적층세라믹콘덴서), IT 대표주, 은행, 콜드체인(저온 유통), 웹툰, 정유, 창투사, 면세점, 도시가스, 재난/안전(지진 등), 건강기능식품, 윤활유, 백화점, 영화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국내 대기업, 로봇사업 확대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들이 급성장중인 로봇시장에 발맞춰 관련 사업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특히, LG전자는 로봇사업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내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가운데, 식당, 도서관, 카페, 공항, 병원 등 소비자 생활 곳곳에서 편의성을 높여주는 다양한 ‘클로이’ 로봇 라인업을 갖추고 있으며, LG AI연구원은 2월1일부터 4월 말까지 온라인으로 'LG 글로벌 AI 챌린지'를 개최할 예정. 삼성전자는 최근 협동로봇 전문업체인 레인보우로보틱스에 590억원을 투자했으며, 연내 1호 케어 로봇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음.

▷아울러 현대로보틱스는 지능형 로봇개발을 신사업으로 삼고 있으며, 실생활 사용 환경을 고려한 다양한 서비스로봇을 개발해 시장을 공략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짐. 또한, 두산로보틱스는 올해 성장기에 접어든 협동로봇 분야에서 국내외 핵심고객 발굴에 매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한편,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프리시던스 리서치에 따르면, 세계 로보틱스 시장 규모는 2021년 100조 원에서 2030년 280조 원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에 금일 라온피플, 로보스타, 미래컴퍼니, 로보티즈, 뷰노 등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테마가 상승. 아울러 자회사 러셀로보틱스를 통해 대기업과 협업을 진행하고 있는 러셀과 SK온 공장의 로봇 물류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한 것으로 알려진 에스엠코어 등도 시장에서 부각되는 모습.
남-북-러 가스관사업러시아, 중국向 극동노선 가스관 건설 관련 협정안 승인 소식에 상승
▷외신에 따르면, 러시아 정부는 전일(현지시간) 내각 회의에서 자국의 극동 사할린 지역에서 생산되는 가스를 중국 동북 지방으로 공급하기 위한 극동노선 가스관 건설에 관한 정부 간 협정안을 승인했다고 전해짐. 협정안은 러시아 극동 연해주의 달네레첸스크에서 우수리강을 건너 중국 헤이룽장성 후린시로 연결되는 극동노선 가스관 건설과 이용에 관한 양국 정부 간 합의 사항을 담고 있다고 알려짐.

▷극동노선 가스관은 중·러 양국 간 가스 협력 사업의 두 번째 대규모 프로젝트로 수송 용량은 연 100억㎥에 달한다고 전해짐. 중국 측이 협정안에 최종 동의해 서명이 이뤄지면 조만간 극동노선 가스관 건설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중국은 이 가스관을 통해 수입한 러시아 가스를 동북 지방은 물론 베이징과 상하이 등지에까지 공급할 계획임.

▷이 같은 소식 속 화성밸브, 대동스틸, 하이스틸, 동양철관 등 남-북-러 가스관사업 테마가 상승.
2차전지(장비)美 증설에 따른 장비 슈퍼 사이클 도래 전망 등에 상승
▷미래에셋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2024년과 2025년의 생산 능력 구축을 위한 미국 대규모 발주에 따른 2차전지 장비 슈퍼 사이클이 시작됐다고 밝힘. 올해 국내 셀 3사의 발주는 16.3조원(+111% YoY)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2023년 장비 발주 규모는 전체 325Gwh으로 추정된다고 밝힘.

▷구체적으로 SK온 +144Gwh(+148% YoY), LG엔솔 +140Gwh(+126% YoY), 삼성SDI +36Gwh(+13% YoY)이며, 미국 증설 이외에도 헝가리와 중국 등 기존 사이트에서 추가적인 물량들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 또한, 2026년 추가 증설의 물량 발주는 2024년부터 시작되기에 향후 물량도 많이 존재한다고 밝힘.

▷이에 따라 국내 배터리 장비업체들은 전방 산업의 수혜를 누릴 것이라며, 이미 국내 셀 3사는 한국 장비 업체들과의 밸류체인을 구성했고 관계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디이엔티, 원준, 윤성에프앤씨, 지아이텍 등 2차전지(장비) 테마가 상승.
출산장려정책中 쓰촨성, 자녀 무제한 허용 정책 발표 소식에 상승
▷현지시간으로 30일 외신에 따르면, 중국 쓰촨성 보건위원회는 부부가 원하는만큼 아이를 가질 수 있게 하고, 미혼모에게도 자녀 양육을 허용한다는 정책 내놨다는 소식이 전해짐. 쓰촨성은 그동안 결혼한 부부에 한해 두 자녀까지만 등록을 허용하고 육아휴직 기간 임금을 지급하거나 각종 의료보험 혜택을 부여했으나, 최근 급감하는 인구가 문제시 되자 중국 내에서 인구가 5번째로 많은 쓰촨성이 파격적인 인구정책을 내놓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음.

▷한편, 최근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인구가 14억1,175만명으로 전년(14억1,260만명)보다 85만명 줄었다고 발표했음. 1961년 이후 사상 첫 감소이며, 지난해 출생아 수 또한 956만명에 그치며 1961년 이후 처음으로 1,000만명이 깨진 것으로 알려짐.

▷이 같은 소식에 아가방컴퍼니, 남양유업, 메디앙스 등 출산장려정책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28 15:30
라온피플 4,445 75 +1.72%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29 04:1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