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 뚫은 美금리 여파 국채 금리 연중 최고치
강봉진 기자(bong@mk.co.kr)
입력 : 2023.09.20 18:03:25 I 수정 : 2023.09.20 20:14:13
입력 : 2023.09.20 18:03:25 I 수정 : 2023.09.20 20:14:13
10년 만기 국채 장중 4%대
국내 3·5·10년 등 주요 만기 국고채 금리가 연중 최고치를 새로 썼다. 미국 국채 금리가 유가 상승세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정을 앞두고 수십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국내 국고채 금리도 동반 상승한 셈이다.
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국고채 3·5·10년 고시금리는 각각 3.916%, 3.95%, 3.999%를 기록했다. 이전 연중 최고치는 각각 3.891%(9월 18일), 3.934%(9월 18일), 3.986%(8월 22일)다.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장중에 4%를 넘어섰다. 주요 국고채 금리가 4%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 9월 말 자금시장 경색이 심화된 직후인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처음이다.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채권시장에서 주요 국채 금리는 수십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장중에 2년 만기는 2006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5.13%, 5년 만기는 2007년 8월 이후 최고인 4.52%, 10년 만기는 2007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4.37%, 30년 만기는 지난 8월 21일 이후 가장 높은 4.44%까지 올랐다. 단기시장 대표 금리인 양도성예금증서(CD·AAA급 시중은행 발행 91일물 기준)와 기업어음(CP·A1급 91일물) 금리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날 CD 금리와 CP 금리는 각각 3.81%, 4.02%다. CD 금리가 3.8%대로 올라선 것은 지난 1월 중순 이후 8개월 만이고, 4%대 CP 금리는 3월 말 이후 6개월 만이다.
국내 금리가 단기, 중기, 장기 등 사실상 전 만기대에서 동반 상승하는 데는 고유가에 따른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가 주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9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은 기정사실이지만 인상이 끝나지 않았다고 의도적으로 시장 불안감을 조성할 것"이라며 "불안감 조성의 이유는 인상 효과를 오래 지속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강봉진 기자]
국내 3·5·10년 등 주요 만기 국고채 금리가 연중 최고치를 새로 썼다. 미국 국채 금리가 유가 상승세와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결정을 앞두고 수십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국내 국고채 금리도 동반 상승한 셈이다.
20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이날 오전 국고채 3·5·10년 고시금리는 각각 3.916%, 3.95%, 3.999%를 기록했다. 이전 연중 최고치는 각각 3.891%(9월 18일), 3.934%(9월 18일), 3.986%(8월 22일)다.
10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장중에 4%를 넘어섰다. 주요 국고채 금리가 4%를 넘어선 것은 지난해 9월 말 자금시장 경색이 심화된 직후인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처음이다.
지난 19일(현지시간) 미국 채권시장에서 주요 국채 금리는 수십 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장중에 2년 만기는 2006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5.13%, 5년 만기는 2007년 8월 이후 최고인 4.52%, 10년 만기는 2007년 10월 이후 가장 높은 4.37%, 30년 만기는 지난 8월 21일 이후 가장 높은 4.44%까지 올랐다. 단기시장 대표 금리인 양도성예금증서(CD·AAA급 시중은행 발행 91일물 기준)와 기업어음(CP·A1급 91일물) 금리도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날 CD 금리와 CP 금리는 각각 3.81%, 4.02%다. CD 금리가 3.8%대로 올라선 것은 지난 1월 중순 이후 8개월 만이고, 4%대 CP 금리는 3월 말 이후 6개월 만이다.
국내 금리가 단기, 중기, 장기 등 사실상 전 만기대에서 동반 상승하는 데는 고유가에 따른 미국 국채 금리 상승세가 주요한 요인으로 꼽힌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9월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은 기정사실이지만 인상이 끝나지 않았다고 의도적으로 시장 불안감을 조성할 것"이라며 "불안감 조성의 이유는 인상 효과를 오래 지속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강봉진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파월 진짜 해임한다는데”요동친 美시장...트럼프 진화에 나스닥 최고가 [월가월부]
-
2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3
뉴욕증시, '파월 해임설'에 휘둘린 투심…강세 마감
-
4
뉴욕증시, 연준의장 해임설로 롤러코스터…나스닥 최고치 경신(종합)
-
5
[고침] 국제('파월 美연준의장 해임설' 보도에 미 국채 30…)
-
6
트럼프 "中이 美에 펜타닐 보내는 사람 사형하게 만들겠다"
-
7
'美 크립토위크' 낙관론 재부각 가상화폐 반등…이더리움이 주도
-
8
초복에 삼계탕 직접 끓이면 9천원 들어…5년 전보다 35% 올라
-
9
이재용 '부당합병·회계부정' 오늘 대법원 선고…1·2심 무죄
-
10
항암제 지형 바꾼 ADC…바이오업계 협업 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