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3.11.20 14:42:27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일자리(취업), 조선, 2차전지(생산), 윤활유,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캐릭터상품, LPG(액화석유가스), 출산장려정책, 해운, 메타버스(Metaverse), 웹툰, 자원개발, 드론(Drone), 증강현실(AR), 모바일게임(스마트폰), 리튬,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종합 물류, 의료AI, 영상콘텐츠, 2차전지(소재/부품), 마리화나(대마), 조선기자재, 종합상사, 게임, 교육/온라인 교육 등...
약세 테마빈대, 항공/저가 항공사(LCC), 타이어, HBM(고대역폭메모리), 기업인수목적회사(SPAC), 백신여권, 모더나(MODERNA), mRNA(메신저 리보핵산), 자동차 대표주, 주류업(주정, 에탄올 등), 건설 대표주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자원개발한-몽골 희소금속협력위원회 등 조성사업 착수식 개최 소식 등에 상승
▷외교부와 산업부는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제1차 한-몽골 희소금속협력위원회 및 한-몽골 희소금속협력센터 조성사업 착수식을 개최했다고 밝힘. 한-몽골 희소금속협력위원회는 잠발 간바타르 몽골 광업중공업부 장관을 포함한 몽골 정부 대표단과 희소금속을 비롯한 핵심광물 분야 공급망 협력 강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언급.

▷양국은 희소금속의 안정적인 확보와 지속가능한 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해 나가기로 했으며, 몽골내 희소금속 및 주요 프로젝트 현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양국 간 핵심광물 분야 양자 및 다자 협력 현황과 R&D 협력 등에 대해서도 심도 있게 논의했다고 밝힘.

▷외교부와 산업부는 몽골은 몰리브덴(생산량 세계 8위), 주석 등 다양한 희소금속이 매장되어 있고, 특히, 희토류가 다량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향후 양국 간 핵심광물 분야 협력 관계가 발전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비엘팜텍, 엘컴텍, GS글로벌 등 자원개발 테마가 상승.
풍력에너지4분기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DS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4분기 풍력 기업들의 실적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이라고 밝힘. 특히, 씨에스윈드는 올해 분기별로 안정적인 매출액과 이익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씨에스베어링도 매출액이 증가하면서 전분기, 전년동기대비 모두 영업이익이 흑자전환할 것이라고 언급. SK오션플랜트도 3분기와 유사한 수준의 이익흐름이 유지되며 무난하게 마무리될 것으로 보이며, 대명에너지는 김천풍력사이트 공사매출 일부 발생과 영암태양광 화재 복구 관련 등으로 매출액 증가가 예상되며 영업이익도 나아질 것이라고 설명.

▷아울러 풍력 사업은 고금리, 공급망 차질 및 정책 불확실성 등에 따른 프로젝트 중단으로 신규 설치 속도 급감에 대한 우려가 커진 상황이고, 2024년 미국 정권교체 가능성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은 당장 예측하기 어려우나 IRA가 단순 보조금을 제공해 산업을 성장시키는 것을 넘어 일자리 창출 목적이 크고 이미 입법화된 만큼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고 언급.

▷이 같은 분석에 씨에스윈드, 씨에스베어링, SK오션플랜트, 대명에너지 등 풍력에너지 테마가 상승.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애플 iPad OLED 탑재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글로벌 IT 시가총액 1위 업체인 Apple은 하드웨어 업체로서 스마트폰, PC, 태블릿, 웨어러블 기기 등의 매출 비중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며, 2024년 Apple은 iPad에 OLED를 탑재할 예정이라고 밝힘. 이는 2017년 iPhone에 OLED를 탑재한 이후 상당히 오랜만에 iPad에서 큰 변화가 생기는 것으로, iPad의 OLED 탑재는 iPhone에서와 마찬가지로 첫해에 Pro, 이듬해에 Air, 이후에 일반모델까지 확대시켜 나갈 것으로 전망. 이로 인해 OLED 관련 업체들은 향후 3~4년 동안 외형 성장의 기회가 제공될 것으로 분석.

▷이 같은 분석 속 이녹스첨단소재, 선익시스템, 피엔에이치테크, 이엘피, 아바코 등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테마가 상승.
게임/ 모바일게임(스마트폰)국내 게임사, 지스타서 선전 분석 등에 상승
▷상상인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이번 지스타에 서브컬쳐 페스티벌을 표방, 일본의 슈에이샤, 중국의 쿠로게임즈 등 다양한 게임사들이 참가한 가운데, 주요 게임사인 엔씨소프트,넷마블, 위메이드, 크래프톤, 스마일게이트의 출품작 자체는 우수했으며, 충분히 내년 국내 게임주에 대한 기대감을 끌어올릴 수 있는 수준이었다고 분석. B2B부스에서도 펄어비스가 붉은사막 비공개시연회(엠바고)를 진행, B2B에서는 가장 높은 관심을 받았다고 밝힘.

▷올해의 인기부스는 스마일게이트였다며, 로스트아크 모바일은 PC의 게임성을 모바일로 그대로 이식해 호평을 받았다고 밝힘. 유저반응도 가장 좋았으며, 대기인원 자체도 많았고 로스트아크의 높은 해외인기와 여전한 국내인기를 고려했을 때, PC 매출을 상회하는 수준도 기대해볼 만하다고 설명. 이외에도 위메이드의 레전드 오브 이미르,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등도 우수한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드래곤플라이, 넷마블, 넵튠,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카카오게임즈 등 게임/모바일게임(스마트폰) 테마가 상승.
음식료업종/ 건강기능식품실적 안정성 향상 속 글로벌 K-Food 부각 전망 등에 상승
▷DS투자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음식료 커버리지 14개 기업의 24년 합산 실적은 매출액 65.2조원(+7% YoY), 영업이익 4.9조원(+15% YoY, OPM 7.5%)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 23년 K-Food의 해외 성장 기저부담과 판가인상 모멘텀 둔화로 매출 성장은 제한적이나, 원가 부담 완화와 마진이 높은 해외 실적 비중 증가, 일부 업체 실적 턴어라운드로 수익성 개선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밝힘.

▷아울러 정부 기조와 불황형 소비로 내수 시장의 한계가 명확해지는 가운데 K-Food의 중요성은 더욱 확대될 것이라며, 이제는 K-Food의 글로벌 흐름을 어떻게 더 확장하고 가속화할지 Next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힘. 글로벌 확산의 교두보인 미국에서의 Next Step은 메인스트림 침투율 확대와 CAPA, SKU확대가 될 것이고, 늘어나는 해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내외 CAPA확대가 필수적이며, 주요 음식료 기업들의 CAPEX 사이클도 점점 더 짧아지고 규모가 커지고 있다고 밝힘.

▷또한,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인도가 인당 GDP 2천 달러를 돌파하며 본격적인 투자가 필요할 것이고, Next K-Food의 품목은 즉석조리식품, 소스류와 빵류가 될 것으로 전망. 마지막으로 국내건강기능식품 ODM 업체들은 글로벌 ODM으로 Next Step을 밟아가고 있다고 밝힘.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네오크레마, 네이처셀, 뉴트리, 신송홀딩스, 코스맥스엔비티 등 음식료업종/건강기능식품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22 15:19
비엘팜텍 1,025 59 +6.11%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22 15:50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