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부동산PF 부실 우려 증권사 성과급 점검

안갑성 기자(ksahn@mk.co.kr)

입력 : 2023.02.19 13:33:52
금융당국이 부동산 PF(프로젝트 파이낸싱) 부실화 우려가 집중된던 증권사의 성과급 점검에 나섰다.

19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증권사 부동산 PF 부실 점검을 비롯해 관련 성과급 체계가 적정했는지 여부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우선 증권사의 부동산 PF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성과에 따라 이미 지급된 경영진의 성과급을 환수하는 ‘클로백’(Claw back·임원 실적연동 보수 환수) 제도 등의 준수 여부를 파악할 예정이다. 현재 클로백 제도는 증권사들이 자율적으로 채택한 제도다. 임직원 성과급을 이연 지급할 금액에서 손실액만큼 삭감하거나 이미 지급한 성과급을 환수하는 형태다.

지난해 부동산 시장 침체로 정부가 유동성 위기에 빠진 증권사를 위해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한 와중에 성과급을 챙긴 증권사 임직원들이 있을 수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부실로 유동성 위기에 빠진 증권사를 지원하기 위해 한국증권금융에 3조원 이상, 산업은행에서 2조원이 넘는 증권사 기업어음(CP) 매입 프로그램을 가동했다.

지난달 31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금감원 임원회의에서 유동성 취약 증권사들을 염두하고 성과급과 배당금 지급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경고성 메시지를 보낸 바 있다. 이 원장은 “부동산 PF 및 단기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는 일부 증권사는 임직원의 성과급 지급과 현금 배당 등에 더욱 신중할 필요가 있다”며 “산업은행 등 외부로부터 유동성을 지원받은 일부 증권사가 배당 등으로 유동성에 부담을 주는 일이 없도록 책임 있고 사려 깊은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금감원은 부동산 익스포저(리스크 노출 금액)가 많은 증권사를 대상으로 부동산 시장 상황과 리스크에 대한 충분한 검토 후 성과 보수를 합리적으로 산정·지급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지난 9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보고한 자료에 따르면 신용카드사를 제외한 전 금융권의 지난해 9월 기준 부동산 PF 연체잔액은 1조146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업권별로 증권사의 부동산 PF 연체 잔액이 363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연체율도 8.2%로 2021년 말(3.7%) 보다 두 배 이상 뛰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7 13:4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