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연, 왕겨·유용미생물로 축산 분뇨 악취·환경오염 해결

기존 슬러지 분해 효율 대비 3.6배 향상…암모니아 99% 제거
김준호

입력 : 2022.12.27 12:00:04


유용미생물 제제 생산 및 고속 슬러지 분해 장치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연합뉴스) 김준호 기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광주친환경에너지연구센터 이상민 박사 연구진이 발효 왕겨·유용미생물(EM)을 이용해 축산 분뇨 악취와 환경오염을 동시에 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진은 유산균·효모균 등 인간·환경에 유익한 미생물을 조합·배양한 유용미생물에 '로도박터 스페로이데스'라는 광합성균을 중점으로 조합해 성능이 더욱 뛰어난 악취 저감용 EM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해당 EM을 활용해 악취 주요 원인 물질인 암모니아를 30분 내 99% 이상 제거했다.

또 축산업에서 수처리를 할 때 발생하는 침전물인 슬러지를 분해하는 과정에서 자체적으로 60∼80도의 열을 발생시키면서 건조 에너지 비용까지 줄이는 효과를 봤다.

현재 축산 슬러지 건조에는 비싼 톱밥을 주로 쓰는데, 연구진은 이보다 25∼40% 저렴한 왕겨를 발효시킨 후 투입하는 방법을 선택해 퇴비화 시간을 80% 이상 줄였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친환경에너지연구센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유용미생물에서 발생하는 산화열까지 더해지면 9일 만에 슬러지 무게가 91% 감소하는데, 이는 톱밥 대비 3.6배 성능이 향상된 것이라고 연구진은 언급했다.

이상민 박사는 "이 기술을 활용하면 퇴비화 과정을 거쳐 식물·토양에 안정적으로 반응하는 데 최소 60일 이상 소요됐던 자연 썩힘과 달리 7일 이내 완전히 썩고, 추가 장치 없이 악취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술은 환경개선 EM 전문 업체인 카야시스템에 이전됐다.

육류 소비량 증가에 힘입어 급격하게 성장하는 국내 축산업과 관련해 가축분뇨 발생량도 2008년 4천174만t에서 2019년 5천148만t으로 지속해 증가하고 있다.

kjunh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2.07 01:54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