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3) - 특징 테마
입력 : 2024.07.26 17:13:22
제목 : 증시요약(3) - 특징 테마
특징테마 | 이 슈 요 약 |
테마시황 | ▷국내 주요 조선업체 2분기 호실적 및 하반기 실적 기대감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국내 주요 건설업체 2분기 실적 회복 등에 건설 대표주/중소형 테마 상승. ▷티몬·위메프 셧다운 우려 속 쿠팡 독점 수혜 기대감 등에 쿠팡(coupang) 테마 상승. ▷고운임 기조 지속 전망 등에 해운 테마 상승. ▷정부, 밸류업 기업 세제 혜택 관련 세법개정안 발표 등에 은행/ 생명보험/ 손해보험/ 증권/ 지주사 등 저PBR 관련 테마 상승. ▷비트코인 가격 반등 등에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 상승. ▷오바마 전 대통령, 해리스 지지 발표 임박 소식 등에 마리화나(대마) 테마 상승. ▷오는 28일부터 美 필라델피아에서 열리는 알츠하이머 국제학회(AAIC)를 앞두고 치매 테마 상승. 美 생물보안법 수혜 기대감 지속 및 美 제약사 '특허 남용' 제한 법안 통과에 따른 바이오시밀러 보유 국내 제약사 반사이익 기대감 지속 등에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유전자 치료제/분석, 면역항암제, 비만치료제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상승. ▷코로나19 KP.3 변이 국내 유행으로 입원환자 3주새 3.6배 증가 소식 및 백일해·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함께 유행 소식 등에 코로나19(진단키트/치료제/백신 개발 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테마 상승. ▷트럼프 당선 가능성, 우크라이나-러시아 대화·협상 가능성 제기 등 러-우 전쟁 종전 기대감 등에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 테마 상승. ▷이 외에 LNG, 원자력발전, 전자결제(전자화폐), 니켈, 치아 치료(임플란트 등), 탈모 치료, 남북경협, 남-북-러 가스관사업, 야놀자, 반도체 대표주(생산), 강관업체, 페라이트, 셰일가스, NFT(대체불가토큰), 철강 주요종목, 종합상사, 면세점, 건강기능식품, 비철금속, 우주항공산업(누리호/인공위성 등), 백화점, 리모델링/인테리어 등 테마가 상승률 상위를 기록. ▷반면, 포드 실적 쇼크에 따른 美 주요 자동차 업체 주가 약세 등에 자동차 대표주/일부 자동차부품 테마 하락. ▷전기차 시장 정체 영향, 포스코퓨처엠(-7.52%), LG화학(-1.92%) 등 2분기 실적 부진 여파 지속 등에 2차전지/ 전기차/ 리튬 등 테마 하락. ▷전선/ 전력설비/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등 AI 전력 인프라 관련 테마 하락. ▷이 외에 인터넷 대표주, 뉴로모픽 반도체, 유리 기판, 화학섬유, IT 대표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MLCC, 초전도체, 폐배터리, 미용기기, 무선충전기술, 온실가스(탄소배출권),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화장품, 폴더블폰, 석유화학, 원격진료/비대면진료 등의 테마가 하락률 상위를 기록. |
조선/ 조선기자재 | 국내 주요 조선업체 2분기 호실적 및 하반기 실적 기대감 등에 상승 |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삼성중공 업 등 국내 주요 조선업체가 2분기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호실적을 기록. HD현대중공업, 전일 24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88조원(전년동기대비 +26.74%), 영업이익 1,956.00억원(전년동기대비 +185.54%), 순이익 1,541.00억원(전년동기대비 +539.41%). HD현대미포, 24년2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12조원(전년동기대비 +9.27%), 영업이익 174.0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290.00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삼성중공업, 전일 장 마감 후 24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2.53조원(전년동기대비 +30.13%), 영업이익 1,307.00억원(전년동기대비 +121.90%), 순이익 740.00억원(전년동기대비 +218.96%). ▷하이투자증권은 HD현대중공업에 대해 2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한 가운데, 선가가 2021년 초부터 현재까지도 상승 국면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의 실적은 어디까지 갈지 궁금해지는 정도라며, 최근 컨테이너선의 발주 증가 움직임, 미국 대선 이후 기대되는 그간 억눌려왔던 LNG 프로젝트 재개, 예정된 탱커 발주 증가 등을 고려했을 때 앞으로의 수주 상황 역시 나쁘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힘. KB증권은 HD현대미포에 대해 당초 4분기 흑자전환을 예상했으나 2분기 영업흑자를 기록하면서 흑자전환이 2개 분기 앞당겨졌다고 밝힘. 이어 지속적인 건조선가 상승과 함께 하반기에는 후판가격 하락도 추가적인 실적 개선에 기여할 전망이라 분기별 실적 개선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한국투자증권은 삼성중공업에 대해 2분기 실적이 시장 컨센서스를 상회했다며, 하반기에도 부유식액화천연가스생산설비(FLNG) 수주를 토대로 해양 부문 성과가 두드러지고, 상선 수익성 개선으로 실적이 호조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 ▷이 같은 소식 속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HD한국조선해양 등 HD현대 그룹주를 비롯해 삼성중공업, STX중공업, 케이프, 한화엔진 등 조선/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 |
건설 대표주/중소형 | 국내 주요 건설업체 2분기 실적 회복 등에 상승 |
▷금리 인하 전망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상승세로 전환될 것이란 관측 속 건설 업황 턴어라운드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주요 건설업체의 실적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음. GS건설 24년2분기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3.29조원(전년동기대비 -5.66%), 영업이익 937.29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순이익 366.08억원(전년동기대비 흑자전환). 2분기 건축주택사 업본부 매출은 2조5,327억원으로 직전 분기(2조3,870억원) 대비 6.1% 증가했고 상반기 신규 수주는 8조3,465억원으로 전년 동기(5조6,910억원) 대비 46.7% 증가했음. ▷또한, HDC현대산업개발, 전일 24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8조원(전년동기대비 +16.44%), 영업이익 538.34억원(전년동기대비 +839.01%), 순이익 473.86억원(전년동기대비 +211.09%). 하이투자증권은 HDC현대산업개발에 대해 최근 서울시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과 매매거래량 증가가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주택 심리가 호전되고 있다는 것과 광운대 개발 사업의 착공 시점이 다가옴에 따라 Target Multiple을 상향한다고 밝힘. ▷한편, 최근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주택가격전망소비동향지수(CSI)는 115를 기록. 이는 지난 6월 108에서 7P 증가한 수준으로 지난 21년 11월의 116 이후 최고치. 수도권 CSI 는 112에서 119로 올랐고, 광역시와 지방은 107에서 114로 상승. 기준선 100보다 높을 수록 1년 후 주택가격이 현재보다 오른다고 예측한 소비자가 하락을 예상한 소비자보다 많다는 의미. ▷이 같은 소식 속 GS건설, HDC현대산업개발, DL이앤씨, 대우건설, 현대건설, 계룡건설 등 건설 대표주/중소형 테마가 상승. | |
쿠팡(coupang) | 티몬·위메프 셧다운 우려 속 쿠팡 독점 수혜 기대감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티몬과 위메프의 정산 지연 사태로 판매자가 이탈해 쿠팡 등이 시장을 독점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 현재 류화현 위메프 대표가 직접 나서 소비자 피해 해결을 약속했으나, 티몬의 경우엔 아직 확실한 환불 및 미정산 대금 지급 관련 대응책을 내놓지 않고 있어 불안감은 여전한 상황. 특히, 티몬, 위메프 뿐 아니라 신세계그룹, 11번가, 롯데온 등 국내 중하위권 이커머스가 적자 경영을 지속하고 있어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이에 업계에서는 대형 채널인 쿠팡 등이 독주체제를 굳혀나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는 모습. ▷이 같은 소식 속 KCTC, 동방, 갤럭시아머니트리, 케이티알파, 헥토파이낸셜 등 쿠팡(coupang) 테마가 상승. | |
해운 | 고운임 기조 지속 전망 등에 상승 |
▷언론에 따르면, 컨테이너선 해상 운임이 숨고르기에 들어갔지만, 계절적 성수기와 견조한 미주향 물동량에 따라 당분간 고운임 기조가 이어질 것으로 전해짐. 컨테이너선 운임 시황을 나타내는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19일 3,542.44포인트를 나타내며 2주 연속 하락했으며, 장기간 이어진 상승 피로감에 신규선박 인도 등 추가 선복 공급에 따라 일부 상승세가 진정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음. 다만, 시장은 3분기 들어 성수기를 맞은 가운데 물동량이 견조하게 이어지고 있으며, 미주 및 유럽 운임은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홍해 사태와 파나마운하 가뭄, 글로벌 관세전쟁 등 복합적인 이슈로 인한 컨테이너선 고운임 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STX그린로지스, 대한해운, 흥아해운, 팬오션 등 해운 테마가 상승. | |
저PBR 관련주 | 정부, 밸류업 기업 세제 혜택 관련 세법개정안 발표 등에 상승 |
▷전일 기획재정부는 ‘2024년 세법개정안’을 통해 주주환원을 확대한 상장기업에 대한 법인세 세액공제를 내년부터 3년간 시행한다고 발표.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계획을 공시한 기업 중 주주환원(배당·자사주 소각) 금액이 직전 3년 평균 대비 5% 증가한 기업에 법인세를 깎아주며 직전 3년 평균 대비 주주환원 금액의 5%를 초과하는 금액의 5%만큼을 총주주환원 금액의 1% 한도 내에서 공제. ▷아울러 2026년부터 2028년 말까지는 밸류업 기업 투자자의 배당소득을 분리과세하며 밸류업 기업에 투자한 주주의 금융소득이 2,000만원 이하일 경우 적용 세율을 기존 14%에서 9%로 인하할 계획.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넘는 종합과세자는 25% 세율로 분리과세, 2,000만원 한도까지는 9% 세율로 원천징수 중 본인이 유리한 쪽을 선택할 수 있게 할 예정.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금액은 차년도 현금배당액, 직전 3년 평균 주주환원액 대비 증가분, 직전 3년 평균 주주환원 금액이 커질수록 증가하게끔 설계한 것으로 전해짐. ▷이 같은 소식에 우리금융지주, 신한지주, KB금융, 삼성생명, 한화생명, 현대해상, 한화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NH투자증권 등 은행/보험/증권 등 금융주, SK스퀘어, SK, LG, HD현대 등 지주사 테마도 상승. |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 비트코인 가격 반등 등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이 '비트코인 콘퍼런스' 기대감 속 반등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현지시간으로 25일 미국 내슈빌에서 세계 최대 규모 비트코인 행사인 '비트코인 콘퍼런스'가 개막한 가운데, 마지막 날인 27일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연설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음. 특히, 한때 가상화폐를 '사기(scam)'라며 비난하던 트럼프 전 대통령과 공화당 관계자들이 이제는 가상화폐 관련 유권자들의 마음을 사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강조했음. ▷이 같은 소식에 코인마켓캡에서 오후 4시 경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4% 넘게 상승한 6만7,000달러 수준, 국내 가상화폐 거래소인 업비트와 빗썸에서는 9,380만원 부근에서 거래중. ▷이와 관련, 갤럭시아머니트리, 다날, 우리기술투자, 위지트, 컴투스홀딩스 등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테마가 상승. | |
마리화나(대마) | 오바마 전 대통령, 해리스 지지 발표 임박 소식 등에 상승 |
▷외신에 따르면, 카멀라 해리스 미 부통령이 민주당 대선후보로 유력한 가운데, 아직 지지 의사를 밝히지 않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곧 지지를 발표할 것이라고 전해짐. 오바마 전 대통령은 민주당 유력 인사가 가운데 유일하게 해리스 부통령 지지를 밝히지 않은 상태로 해리스 부통령이 오바마와 주기적으로 접촉해왔음에도 오바마 대통령은 자신이 해리스 후보 지명에 힘을 싣는다는 인식을 피하기 위해 침묵해온 바 있음. ▷바이든 대통령이 해리스 부통령을 후계자로 지명한 직후 낸시 펠로시 전 하원의장, 빌 클린턴 및 힐러리 클린턴 전 대통령 부부,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총무, 하킴 제프리스 하원 원내총무 등 유력 민주당 인사들이 속속 지지의사를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美 민주당 대마초 합법화 정책 기대감 지속 등에 오성첨단소재, 우리바이오, 애머릿지, 아이큐어, 화일약품 등 마리화나(대마) 테마 상승. | |
자동차 대표주 등 | 포드 실적 쇼크에 따른 美 주요 자동차 업체 주가 약세 등에 하락 |
▷지난밤 뉴욕증시가 GDP 호조 속 전일 급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됐지만, 주요 기술주들이 부진한 모습을 이어가며 혼조세로 장을 마감한 가운데, 포드(-18.36%), GM(-5.08%) 등 美 자동차 대표주가 동반 하락 마감. ▷특히, 美 포드는 2분기 실적 부진 여파 등에 급락. 현지시간 24일 포드는 뉴욕증시 마감 후 2분기 실적을 발표. 2분기 주당 순이익은 47센트를 기록, 시장정보업체 LSEG가 집계한 월가 전망치(68센트)에 크게 못미치는 수치임. 특히, 전기차 부문에서 2분기 중에만 1조5천억원이 넘는 영업손실을 기록. 2분기 전기차 부문의 이자·법인세 차감 전 영업손실(EBIT)은 11억4,000만 달러(약 1조5,700억원)로 집계됐음. ▷또한, 지프, 닷지, 피아트, 크라이슬러, 푸조 등 유명 브랜드들을 보유한 스텔란티스도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급감하는 등 저조한 실적을 기록. 스텔란티스는 25일(현지시간) 올해 상반기 순이익이 56억 유로(약 8조3,980억원)로, 전년동기대비 48% 감소. 순매출은 850억 유로로, 전년동기대비 14% 감소, 조정 영업이익은 85억 유로(약 12조7,493억원)로 전년 대비 57억 유로 감소. 스텔란티스 측은 생산 감소, 북미 지역 시장 점유율 하락 등이 이번 실적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 ▷이 같은 소식 속 현대차, 기아, 한국단자, 일지테크, 에스엘, 우신시스템, 육일씨엔에쓰 등 자동차 대표주 및 일부 자동차부품 테마가 하락. 전기차 시장 정체 영향, 포스코퓨처엠(-7.52%), LG화학(-1.92%) 등 2분기 실적 부진 여파 지속 등에 2차전지/ 전기차/ 리튬 등 테마도 하락. ▷한편, 현대차, 전일 장 마감 후 24년2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45.02조원(전년동기대비 +6.59%), 영업이익 4.27조원(전년동기대비 +0.72%), 순이익 4.17조원(전년동기대비 +24.71%). 보통주 1주당 2,000원(시가배당율0.7%), 종류주 1주당 2,000원(시가배당율1.2%) 현금배당(분기배당) 결정(배당기준일:2024-06-30) 공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하이브리드차 등 고부가가치 차종 중심으로 판매가 늘어난 데 힘입어 올해 2분기에 역대 분기 사상 최대 매출과 영업이익을 올렸음.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1 15:30
HD현대중공업 | 399,000 | 2,000 | +0.50%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뉴욕증시, 美 20년물 국채 입찰 충격…급락 마감
-
2
[1보] 뉴욕증시, 미 국채금리 급등에 하락…다우 1.9%↓
-
3
[2보] 뉴욕증시, 미 국채금리 급등에 하락…다우 1.9%↓
-
4
[해킹사태 한달] ③ 점점 거세지는 中·北 사이버공격…"정부·기업 인식 안일"
-
5
[해킹사태 한달] ② "한국 개인정보는 공공재" 자조적 현실…"경각심 키워야"
-
6
[해킹사태 한달] ① 대기업도 보안 인프라 취약…"내부통제 강화 계기 삼아야"
-
7
공매도 비중 상위 종목
-
8
[게시판] 산업부, 통상법무 카라반…K-뷰티 글로벌 진출 모색
-
9
'트럼프 감세' 재정적자 확대 우려에 美 주식·채권값 동반급락(종합)
-
10
한은 "금융당국 지분형 모기지에 출자 검토 안 해"
05.22 07:0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