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학습 위한 휴직, 중요한 것은 국민 인식 바뀌는 것"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 겪는 지방대, 평생학습으로 활로 개척 유도
고유선
입력 : 2022.12.28 16:20:10
입력 : 2022.12.28 16:20:10
(서울=연합뉴스) 고유선 기자 = 교육부는 평생학습 휴가제·휴직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평생학습에 대한 국민 인식 제고라고 강조했다.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 발표하는 이주호 부총리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8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제5차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2022.12.28 yatoya@yna.co.kr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평생학습 진흥방안'(2023∼2027년)을 발표하고 다음 달 교육부에 평생직업교육기획과를 신설해 평생학습 휴직제 등의 세부 시행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이주호 부총리 등 교육부 관계자들과의 일문일답.
-- 평생학습 휴가제는 지금도 있는데 잘 사용되지 않는다.
휴가·휴직제를 활성화할 방안은.
▲ (이 부총리) 내년 1월 1일자 교육부 조직개편에서 평생직업교육기획과가 발족한다.
오늘 발표한 방안은 기본 계획이고 세부 방안은 부처 간 협의와 의견수렴을 통해 만들 계획이다.
▲ (최성부 평생직업교육국장) 휴가·휴직제는 법을 개정해야 하고, 산자부·노동부·중기부 등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인드가 바뀌는 것이다.
이번 발표가 국민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대학·기업과도 협의가 됐나 ▲ (이 부총리) 선진국 중심으로 평생학습이 굉장히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인구구조의 변화라든가 대학 역할의 변화가 급격하다.
지역 대학에서 학생 모집이 어려울 때 평생학습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는데 그런 부분도 감안했다.
▲ (최 국장) 대학과 기업의 참여가 있어야 하는데 기업에는 어떻게 인센티브를 줄 건지 고민했고, 내년에 사업 실태분석을 해서 이·전직 교육의 장단점을 분석하겠다.
라이프 사업(LiFE·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도 고등교육특별회계에 들어갔고, 내년도에는 대폭 확대된다.
이를 기본으로 해서 확대 발전하면 대학은 충분히 따라올 것으로 본다.
-- 위기를 겪는 지방대학이 많은 만큼 평생교육의 지역별 격차도 생길 수 있다.
▲ (이 부총리) 지역 대학이 살아나는 큰 계기 중의 하나가, 학령인구에만 의존하면 답이 안 나온다.
평생학습이 앞으로 크게 수요가 많아질 분야이고 그렇기 때문에 지역 대학들이 중심이 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 내년도 평생교육 예산은 어느 정도인가.
▲ (최 국장) 내년 라이프 사업뿐 아니라 바우처 등 해서 350억 가까이 증액을 해놨다.
대학이 학위 중심에서 비학위로 넘어오는 과정이다.
현직자에게 맞는 재교육을 하는 부분, 그리고 나머지 사각지대에 있는 바우처 부분을 많이 강화했다.
-- 경험인정제도로 학위를 이렇게 취득하면 상급학교나 기업에서 인정해 줄지가 관건인데.
▲ (이혜진 평생학습정책과장) 이렇게 해서 받게 되는 학위는 대학에서 취득하는 학위와 차별되지 않도록 질 관리 등을 같이 추진할 계획이다.
cindy@yna.co.kr(끝)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28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제5차 평생교육진흥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있다.2022.12.28 yatoya@yna.co.kr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평생학습 진흥방안'(2023∼2027년)을 발표하고 다음 달 교육부에 평생직업교육기획과를 신설해 평생학습 휴직제 등의 세부 시행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이주호 부총리 등 교육부 관계자들과의 일문일답.
-- 평생학습 휴가제는 지금도 있는데 잘 사용되지 않는다.
휴가·휴직제를 활성화할 방안은.
▲ (이 부총리) 내년 1월 1일자 교육부 조직개편에서 평생직업교육기획과가 발족한다.
오늘 발표한 방안은 기본 계획이고 세부 방안은 부처 간 협의와 의견수렴을 통해 만들 계획이다.
▲ (최성부 평생직업교육국장) 휴가·휴직제는 법을 개정해야 하고, 산자부·노동부·중기부 등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마인드가 바뀌는 것이다.
이번 발표가 국민 인식을 바꾸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대학·기업과도 협의가 됐나 ▲ (이 부총리) 선진국 중심으로 평생학습이 굉장히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인구구조의 변화라든가 대학 역할의 변화가 급격하다.
지역 대학에서 학생 모집이 어려울 때 평생학습이 중요한 대안이 될 수 있는데 그런 부분도 감안했다.
▲ (최 국장) 대학과 기업의 참여가 있어야 하는데 기업에는 어떻게 인센티브를 줄 건지 고민했고, 내년에 사업 실태분석을 해서 이·전직 교육의 장단점을 분석하겠다.
라이프 사업(LiFE·대학의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도 고등교육특별회계에 들어갔고, 내년도에는 대폭 확대된다.
이를 기본으로 해서 확대 발전하면 대학은 충분히 따라올 것으로 본다.
-- 위기를 겪는 지방대학이 많은 만큼 평생교육의 지역별 격차도 생길 수 있다.
▲ (이 부총리) 지역 대학이 살아나는 큰 계기 중의 하나가, 학령인구에만 의존하면 답이 안 나온다.
평생학습이 앞으로 크게 수요가 많아질 분야이고 그렇기 때문에 지역 대학들이 중심이 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 내년도 평생교육 예산은 어느 정도인가.
▲ (최 국장) 내년 라이프 사업뿐 아니라 바우처 등 해서 350억 가까이 증액을 해놨다.
대학이 학위 중심에서 비학위로 넘어오는 과정이다.
현직자에게 맞는 재교육을 하는 부분, 그리고 나머지 사각지대에 있는 바우처 부분을 많이 강화했다.
-- 경험인정제도로 학위를 이렇게 취득하면 상급학교나 기업에서 인정해 줄지가 관건인데.
▲ (이혜진 평생학습정책과장) 이렇게 해서 받게 되는 학위는 대학에서 취득하는 학위와 차별되지 않도록 질 관리 등을 같이 추진할 계획이다.
cindy@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