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 편성하나 … 채권시장 위축 가능성
명지예 기자(bright@mk.co.kr)
입력 : 2025.01.02 18:03:25
입력 : 2025.01.02 18:03:25
국채 쏟아질땐 회사채 매력 뚝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이 시사되는 가운데 올해 초 국채 발행 증가로 채권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연초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도 있을 거라는 전망이 나오며 채권시장 부담을 키우고 있다.
2일 정부는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1%대로 전망하면서 추경 편성 가능성을 열어뒀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점을 고려해 미국 신(新)정부 정책 전개 양상 등 경제 여건 전반을 1분기 중 재점검하고 필요시 추가 경기 보강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KB증권은 2000년 이후 코로나19 대유행 이전까지 평균 추경 규모를 고려할 때 올해 추경 규모가 16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발생한 무안공항 참사 등 복합적인 요인을 고려하면 추경 규모는 이보다 커질 수 있다.
추경으로 올해 국채 발행 규모는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국채 발행 규모가 197조6000억원인데다 추경과 올해 시작되는 외평채 발행까지 고려하면 200조원 중반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명지예 기자]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이 시사되는 가운데 올해 초 국채 발행 증가로 채권시장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연초 기준금리 인하 속도 조절도 있을 거라는 전망이 나오며 채권시장 부담을 키우고 있다.
2일 정부는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을 1%대로 전망하면서 추경 편성 가능성을 열어뒀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대내외 불확실성이 큰 점을 고려해 미국 신(新)정부 정책 전개 양상 등 경제 여건 전반을 1분기 중 재점검하고 필요시 추가 경기 보강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KB증권은 2000년 이후 코로나19 대유행 이전까지 평균 추경 규모를 고려할 때 올해 추경 규모가 16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최근 발생한 무안공항 참사 등 복합적인 요인을 고려하면 추경 규모는 이보다 커질 수 있다.
추경으로 올해 국채 발행 규모는 역대 최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국채 발행 규모가 197조6000억원인데다 추경과 올해 시작되는 외평채 발행까지 고려하면 200조원 중반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명지예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엔비디아 투자' 코어위브, 비트코인 채굴 기업 인수
-
2
[전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에 보낸 서한
-
3
트럼프, 韓고위급 방미 중 관세서한…한미 '3주 끝판협상' 총력
-
4
정부, '트럼프 서한'에 "8월1일까지 관세 유예된 것…협상 박차"
-
5
[2보]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부과 통보 서한 발송에 하락…다우 0.9%↓
-
6
삼성전자, 오늘 2분기 잠정실적 발표…반도체 부진 지속
-
7
[1보]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서한 발송에 하락…다우 0.9%↓
-
8
트럼프, 관세 서한 일일이 SNS 공개…백악관 "12개국 발송"(종합2보)
-
9
[뉴욕증시-1보] 관세 서한이 불지핀 불확실성…동반 약세 마감
-
10
트럼프, 韓·日 관세 소식에 美 증시 와르르...창당 선언 머스크에 테슬라는 폭락 [월가월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