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입력 : 2025.01.21 17:06:49
제목 : 증시요약(2) - 코스닥 마감시황
- 코스닥시장 - 1/21 KOSDAQ 726.07(-0.22%)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2차전지株 하락(-)
지난밤 뉴욕증시가 마틴 루터 킹 데이로 휴장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28.57(+0.91P, +0.13%)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상승폭을 키웠고, 733.91(+6.25P, +0.8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빠르게 반납했고, 하락 전환해 오전 한때 720.73(-6.93P, -0.95%)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이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줄였고, 오후 들어 726선 부근에서 움직이다 결국 726.07(-1.59P, -0.22%)에서 거래를 마감.
트럼프 대통령 취임 속 관세 우려 부각,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4거래일만에 하락. 2차전지株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지수에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이틀째 순매도. 반면, 개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
트럼프 대통령 행정 명령에 신규 관세 부과 조치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장 초반 코스닥지수가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2월1일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 부과 조치 검토 소식 등에 관세 우려가 부각되는 모습. 다만, 보편관세나 대중국 특별관세 등 강력한 조치가 나오지 않으면서 시장의 낙폭은 다소 제한.
트럼프 대통령의 전기차 의무화 정책 폐기 소식 등에 에코프로비엠(-8.62%), 에코프로(-5.87%), 엔켐(-8.39%), 대주전자재료(-3.79%), 피엔티(-7.02%), 에이에프더블류(-17.69%), 에코앤드림(-9.48%), 광무(-7.80%), 윤성에프앤씨(-7.38%)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등 관련주가 큰 폭으로 하락. 트럼프 대통령, 파리기후협약 탈퇴 행정명령 소식 등에 유니슨(-5.44%), 동국산업(-3.36%), 동국S&C(-3.31%), 에스에너지(-2.58%), SDN(-1.59%) 등 풍력/태양광에너지 테마도 하락.
반면, 트럼프 대통령, '화성계획' 발언 등에 파이버프로(+9.76%), AP위성(+7.19%), 쎄트렉아이(+6.95%) 등 우주항공, 트럼프 대통령 취임 속 정책 수혜 기대감 등에 인화정공(+13.15%), 태광(+10.64%), 동성화인텍(+6.80%), 에스앤더블류(+3.72%) 등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美, 中 드론 수입 제한 심화 속 한국 제품 수출 규모 급증 소식 등에 제이씨현시스템(+6.23%), 네온테크(+3.47%), 에이럭스(+2.81%) 등 드론 테마도 상승. 와이팜(+29.91%)은 글로벌 기업에 '자율주행 핵심' FEM 본격 납품 예정 소식 등에 상한가, 고영(+19.31%)은 뇌수술용 의료로봇 美 FDA 인허가 획득 모멘텀 지속에 이틀째 급등.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48억, 98억 순매도, 개인은 657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우세. 리노공업(+7.11%), HLB(+4.15%), 실리콘투(+3.70%), 알테오젠(+2.04%), 펩트론(+1.43%), 이오테크닉스(+1.23%), 코오롱티슈진(+0.88%), 휴젤(+0.82%), 파마리서치(+0.82%), 클래시스(+0.76%), 레인보우로보틱스(+0.58%) 등이 상승. 반면, 에코프로비엠(-8.62%), 엔켐(-8.39%), 에코프로(-5.87%), 삼천당제약(-4.99%), 신성델타테크(-2.92%), 리가켐바이오(-1.07%), JYP Ent.(-0.54%), HPSP(-0.46%)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금융(-3.26%), 화학(-2.29%), 전기/전자(-1.54%), 종이/목재(-0.96%), 벤처기업(-0.51%), 건설(-0.34%), 오락/문화(-0.29%), 제조(-0.24%), 음식료/담배(-0.20%), 비금속(-0.11%), 통신(-0.11%) 등이 하락. 반면, 운송장비/부품(+1.29%), 유통(+1.17%), 의료/정밀기기(+0.89%), 금속(+0.82%), 제약(+0.73%), 기계/장비(+0.66%), 기술성장기업(+0.55%), 운송/창고(+0.53%), 일반서비스(+0.39%), 출판/매체복제(+0.15%)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26.07P(-1.59P/-0.22%)
지난밤 뉴욕증시가 마틴 루터 킹 데이로 휴장한 가운데, 이날 코스닥지수는 728.57(+0.91P, +0.13%)로 강보합 출발. 장 초반 상승폭을 키웠고, 733.91(+6.25P, +0.86%)에서 장중 고점을 형성. 이후 상승폭을 빠르게 반납했고, 하락 전환해 오전 한때 720.73(-6.93P, -0.95%)에서 장중 저점을 기록. 이후 시간이 갈수록 낙폭을 줄였고, 오후 들어 726선 부근에서 움직이다 결국 726.07(-1.59P, -0.22%)에서 거래를 마감.
트럼프 대통령 취임 속 관세 우려 부각, 외국인·기관 동반 순매도 등에 코스닥지수는 4거래일만에 하락. 2차전지株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지수에 부담으로 작용. 외국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도, 기관은 이틀째 순매도. 반면, 개인은 3거래일 연속 순매수.
트럼프 대통령 행정 명령에 신규 관세 부과 조치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장 초반 코스닥지수가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2월1일부터 멕시코와 캐나다에 25% 관세 부과 조치 검토 소식 등에 관세 우려가 부각되는 모습. 다만, 보편관세나 대중국 특별관세 등 강력한 조치가 나오지 않으면서 시장의 낙폭은 다소 제한.
트럼프 대통령의 전기차 의무화 정책 폐기 소식 등에 에코프로비엠(-8.62%), 에코프로(-5.87%), 엔켐(-8.39%), 대주전자재료(-3.79%), 피엔티(-7.02%), 에이에프더블류(-17.69%), 에코앤드림(-9.48%), 광무(-7.80%), 윤성에프앤씨(-7.38%) 등 2차전지/전기차/리튬 등 관련주가 큰 폭으로 하락. 트럼프 대통령, 파리기후협약 탈퇴 행정명령 소식 등에 유니슨(-5.44%), 동국산업(-3.36%), 동국S&C(-3.31%), 에스에너지(-2.58%), SDN(-1.59%) 등 풍력/태양광에너지 테마도 하락.
반면, 트럼프 대통령, '화성계획' 발언 등에 파이버프로(+9.76%), AP위성(+7.19%), 쎄트렉아이(+6.95%) 등 우주항공, 트럼프 대통령 취임 속 정책 수혜 기대감 등에 인화정공(+13.15%), 태광(+10.64%), 동성화인텍(+6.80%), 에스앤더블류(+3.72%) 등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美, 中 드론 수입 제한 심화 속 한국 제품 수출 규모 급증 소식 등에 제이씨현시스템(+6.23%), 네온테크(+3.47%), 에이럭스(+2.81%) 등 드론 테마도 상승. 와이팜(+29.91%)은 글로벌 기업에 '자율주행 핵심' FEM 본격 납품 예정 소식 등에 상한가, 고영(+19.31%)은 뇌수술용 의료로봇 美 FDA 인허가 획득 모멘텀 지속에 이틀째 급등.
수급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548억, 98억 순매도, 개인은 657억 순매수.
코스닥 시총상위종목들은 상승이 우세. 리노공업(+7.11%), HLB(+4.15%), 실리콘투(+3.70%), 알테오젠(+2.04%), 펩트론(+1.43%), 이오테크닉스(+1.23%), 코오롱티슈진(+0.88%), 휴젤(+0.82%), 파마리서치(+0.82%), 클래시스(+0.76%), 레인보우로보틱스(+0.58%) 등이 상승. 반면, 에코프로비엠(-8.62%), 엔켐(-8.39%), 에코프로(-5.87%), 삼천당제약(-4.99%), 신성델타테크(-2.92%), 리가켐바이오(-1.07%), JYP Ent.(-0.54%), HPSP(-0.46%) 등은 하락.
업종별로는 등락이 엇갈림. 금융(-3.26%), 화학(-2.29%), 전기/전자(-1.54%), 종이/목재(-0.96%), 벤처기업(-0.51%), 건설(-0.34%), 오락/문화(-0.29%), 제조(-0.24%), 음식료/담배(-0.20%), 비금속(-0.11%), 통신(-0.11%) 등이 하락. 반면, 운송장비/부품(+1.29%), 유통(+1.17%), 의료/정밀기기(+0.89%), 금속(+0.82%), 제약(+0.73%), 기계/장비(+0.66%), 기술성장기업(+0.55%), 운송/창고(+0.53%), 일반서비스(+0.39%), 출판/매체복제(+0.15%) 등은 상승.
마감 지수 : KOSDAQ 726.07P(-1.59P/-0.22%)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4.23 15:30
에코프로비엠 | 101,200 | 6,600 | +6.98%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