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넉 달째 '경기 하방위험 확대' 진단…"대외여건 급격 악화"
美 관세인상으로 수출 하방 압력 확대…대내외 수요증가세도 축소
박재현
입력 : 2025.04.07 12:00:12
입력 : 2025.04.07 12:00:12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박재현 기자 = 국책연구원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넉 달 연속 우리 경제에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대내외 수요 증가세가 축소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 인상으로 통상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대외 여건이 급격히 악화했다고 분석했다.
KDI는 7일 발간한 경제동향 4월호에서 "최근 우리 경제는 대외 여건이 급격히 악화하며 경기 하방 압력이 확대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2월 전산업생산은 1.2% 증가했다.
다만 이는 주로 조업일수(+1.5일)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건설업(-21.0%)을 비롯한 산업 전반의 생산 둔화 흐름은 지속됐다.
3월 수출은 전월(0.7%)보다 높은 3.1%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일평균 기준으로도 5.5% 증가하면서 1∼2월의 저조했던 흐름을 일부 만회했다.
다만 1분기 수출은 정보통신기술(ICT) 증가 폭 축소의 영향으로 2.1% 감소했다.
수출 증가세 둔화 흐름이 지속됐다는 게 KDI의 분석이다.
미국의 통상정책 변화 등 대외 여건이 악화하면서 수출 기업을 중심으로 기업 심리가 위축되는 경향도 나타났다.
관세 인상 조치가 본격화하면 기업 심리가 더욱 위축될 가능성도 있다고 KDI는 전망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소비 부진흐름도 계속됐다.
자동차 개별소비세 인하 효과로 내부재 소비가 반등했지만, 준내구재와 비내구재 부진이 이어지면서 1∼2월 평균 소매 판매는 1.1% 감소했다.
서비스 소비도 숙박·음식점업 등 주요 업종을 중심으로 미약한 흐름이 지속됐다.
1∼2월 평균 기준 숙박·음식점업(-3.7%),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5.6%), 교육서비스업(-1.8%) 등에서 생산이 감소했다.
3월 소비자심리지수는 93.4로 여전히 기준치(100)를 하회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이 이어지고 있으나, 통상 불확실성 등 수출 여건 악화로 하방 위험이 확대되는 상황이다.
건설기성은 1월에 이어 2월에도 큰 폭으로 감소(-21.0%)하면서 부진이 이어졌다.
고용 둔화도 지속됐다.
2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전월과 유사한 13만6천명을 기록했다.
다만 제조업(-7만4천명)과 건설업(-16만7천명) 등 주요 업종의 취업자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실업률 역시 모든 연령대에서 상승했으며, 고용률 상승세도 완만해지는 모습을 보였다.
3월 소비자물가는 전월(2.0%)과 유사한 2.1%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trauma@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가전제품 사면 30만원 환급해주는 으뜸효율 사업.. 삼성·LG도 대대적 프로모션
-
2
이번주 美 상호관세 유예 연장 촉각
-
3
"소득주도가 아니라 생산성주도 성장을"…표학길 교수 별세
-
4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5:00
-
5
위성락 '李대통령 숙제' 안고 미국行…관세·회담 실마리 찾을까
-
6
"폭염 잊고 바다로 풍덩" 주요 해수욕장 피서 인파로 북적
-
7
“정책금융상품 통합해 효율적 운용을…성실상환자는 민간상품으로 유도”
-
8
“비싸기만 한 공격용 헬기, 차라리 드론이 낫다”...아파치 추가도입 예산 전액 삭감
-
9
“소비자 입장에서 느꼈던 불편함 개선했더니 사업 성장했죠”
-
10
"이번에 안 바꾸면 아이도 위험?" 통신사 과열 마케팅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