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테마시황
입력 : 2025.04.14 08:37:01
제목 : 미국 테마시황
4/11(현지시간) 뉴욕증시가 美/中 관세 협상 기대감 등에 급등한 가운데, 주요 테마들도 대부분 상승. 특히, 엔비디아(+3.12%), AMD(+5.30%), 브로드컴(+5.59%), 퀄컴(+3.61%), TSMC(+3.94%) 등 반도체 테마가 강세를 나타냈고, 애플(+4.06%) 등 모바일, 마이크로소프트(+1.86%) 등 컴퓨터, 아마존(+2.01%), 알파벳A(+2.83%) 등 인터넷 등 대형 기술주 관련 테마들이 대부분 상승. 세계 최대 금 채굴업체 뉴몬트(+7.91%)가 금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 속 투자의견 상향 조정 소식에 급등하는 등 금(金) 테마가 상승했고, 국제유가 급등 속 엑슨 모빌(+3.21%), 셰브론(+0.48%) 등 정유 테마도 상승. 비트코인 반등 속 코인베이스(+3.47%), 마라홀딩스(+6.56%), 마이크로스트래티지(+10.15%) 등 가상화폐 테마도 강세. JP모건체이스(+4.00%), 모건스탠리(+1.44%)가 1분기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상승하는 등 은행 테마도 양호한 모습.
이 외 IBM(+2.58%) 등 S/W 및 IT 서비스, 이베이(+3.38%) 등 전자상거래, 페이팔(+3.35%) 등 전자결제, 로블록스(+2.03%) 등 게임, 존슨앤존슨(+2.04%) 등 제약/바이오, 비자(+2.71%) 등 카드, 맥도날드(+1.02%) 등 음식료, P&G(+2.05%) 등 소비재, 델타 항공(+3.86%) 등 항공, 듀크 에너지(+1.80%) 등 전력, 다우(+4.18%) 등 화학, 캐터필러(+1.48%) 등 산업재, 발레(+3.60%) 등 광산, GE 버노바(+3.70%) 등 원자력 등의 테마가 상승.
한편, GM(-0.23%), 포드(+2.08%) 등 자동차, 테슬라(-0.04%), 리비안(+0.09%) 등 전기차 등의 테마는 등락이 엇갈림.
이 외 IBM(+2.58%) 등 S/W 및 IT 서비스, 이베이(+3.38%) 등 전자상거래, 페이팔(+3.35%) 등 전자결제, 로블록스(+2.03%) 등 게임, 존슨앤존슨(+2.04%) 등 제약/바이오, 비자(+2.71%) 등 카드, 맥도날드(+1.02%) 등 음식료, P&G(+2.05%) 등 소비재, 델타 항공(+3.86%) 등 항공, 듀크 에너지(+1.80%) 등 전력, 다우(+4.18%) 등 화학, 캐터필러(+1.48%) 등 산업재, 발레(+3.60%) 등 광산, GE 버노바(+3.70%) 등 원자력 등의 테마가 상승.
한편, GM(-0.23%), 포드(+2.08%) 등 자동차, 테슬라(-0.04%), 리비안(+0.09%) 등 전기차 등의 테마는 등락이 엇갈림.
관련 테마분석
인터넷 대표주
국내 인터넷 서비스 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인터넷산업 대표기업군. 이들 소수 업체들이 상위 사업자군을 형성하며, 시장 지배력을 더욱 키워나가고 있는 상황임. 이중 구글에 이어 네이버가 국내 포털 시장 점유율 상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카카오는 국내 모바일 메신저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광고주들의 특성상 많은 트래픽이 모이는 상위 포털 업체에 광고가 집중되는 특성이 있음. |
- 히스토리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카카오, NAVER) |
☞2025-03-11 美 대형 기술주 급락 등에 하락 |

반도체 대표주(생산)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비메모리, 주문형반도체를 제조하고 있는 국내 메이저 반도체생산업체들. IT경기와 밀접한 상관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 업체들의 설비투자와 분기실적이 반도체장비/소재업체들의 주가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DB하이텍, 삼성전자) |
☞2025-04-09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3.57%) 지수 급락 영향 및 반도체 공급망 대란 우려 등에 하락 |
☞2025-04-08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2.70%) 지수 반등 영향 및 삼성전자 1분기 잠정실적 선방 등에 일부 관련주 상승(주도주 : SK하이닉스, DB하이텍) |

은행
은행은 기업, 가계 등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예금이나 금융채 등의 형식으로 자금을 조달하여 자금이 필요한 각 경제주체에 자금을 공급하는 자금의 중개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민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은행업은 일반기업과 달리 고도의 공공성이 요구되는 사업임. 이 밖에 환업무, 지급보증 등 광범위한 금융업무를 취급하고 있고, 국고수납, 보호예수 등 은행법에서 정하는 각종 부수업무를 취급하고 있으며, 신탁업무, 신용카드업무, 방카슈랑스 등 비은행 업무도 일부 취급하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2-27 주요 은행 배당락 실시 속 하락 |
☞2025-02-25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결정 등에 하락 |

IT 대표주
반도체, 디스플레이(OLED 등), 가전 등 국내 대표 IT 기업군. |
- 히스토리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삼성전자, LG전자) |
☞2025-04-03 美 상호관세 발표 속 글로벌 무역전쟁 우려 확산 등에 하락 |
☞2025-03-11 美 대형 기술주 급락 등에 하락 |

가상화폐(비트코인 등)
가상화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라이트코인 등 실물 형태가 없는 온라인상의 암호화된 디지털통화를 통칭. 물리적 실체가 없다는 점에서 기존 전자 화폐나 사이버머니와 유사하지만, 정부나 금융기관 등의 개입 없이 발행 및 거래가 이루어지며 관리 주체가 없다는 점에서 차별화. 전세계적으로 온라인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으로 가상화폐의 유통 범위가 확대되면서 새로운 결제수단으로 부각되고 있음. |
- 히스토리
☞2025-04-10 비트코인 가격 폭등 영향 등에 상승(주도주 : 인바이오젠, TS인베스트먼트, 티사이언티픽, 제이씨현시스템) |
☞2025-04-09 비트코인 가격 약세 영향 등에 하락 |
☞2025-04-07 트럼프 관세 충격 속 비트코인 가격 급락 등에 하락 |

아이폰
미국 애플사의 휴대 전화 시리즈로 2007년 첫 출시됐으며, 1년 주기로 신제품을 공개.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인 아이팟(iPod), 휴대폰, 인터넷 및 이메일 송수신 등이 가능하며, OS로 iOS라는 독자적인 플랫폼을 사용. 카메라, OLED/LCD 디스플레이, 배터리, 칩셋 및 프로세서(AP), D램, 낸드플래시, 기판과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등 다양한 부품이 적용되고 있으며 관련 업체들이 관련주로 부각. 아이폰 판매량 및 신제품 공개 등에 영향을 많이 받는 경향이 있음. |
- 히스토리
☞2025-04-10 트럼프 대통령, 중국 제외 국가별 상호관세 90일간 전격 유예 소식 등에 상승(주도주 : 아이티엠반도체, LG디스플레이, SK하이닉스, LG화학) |
☞2025-04-09 애플 주가 하락세 지속 속 시가총액 1위 반납 소식 등에 하락 |
☞2025-03-13 아이폰 출하량 전망치 하향 속 애플(-1.75%) 주가 약세 등에 하락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