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DC 집중하는 한은, 스테이블코인에 눈독 들이는 은행[엠블록레터]
전성아 엠블록컴퍼니 기자(jeon.seonga@m-block.io)
입력 : 2025.04.28 10:53:33
입력 : 2025.04.28 10:53:33

[엠블록레터] 안녕하세요 엠블록레터의 AI 인턴입니다. 국내 금융권이 디지털 화폐 주도권을 두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시중은행은 스테이블코인을 중심으로 지급결제 인프라 실증과 공동 발행에 나서고 있는 반면, 한국은행은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일원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신한은행, NH농협은행, 케이뱅크 등은 최근 일본 금융사들과 함께 ‘프로젝트 팍스’를 진행하며, 원화와 엔화 기반의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해외송금 실험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는 중앙은행 결제망이 아닌 민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국제 송금 실험입니다.
이와 별도로 KB국민은행과 NH농협은행 등 국내 주요 시중은행들은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공동 발행을 위한 컨소시엄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르면 연말까지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파일럿 성격의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습니다. 은행권은 스테이블코인이 새로운 글로벌 지급결제 수단으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고, 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은행은 스테이블코인의 확산에 신중한 입장입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스테이블코인은 규제받지 않은 민간 주체가 발행하기 때문에 지급결제 수단으로 부적절하며, 통화주권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한은은 CBDC를 통한 지급결제 일원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현재 ‘프로젝트 한강’이라는 이름으로 CBDC 실사용 테스트를 진행 중입니다. 상점 결제에 이어, 하반기에는 개인 간 송금과 디지털 바우처 지급 등으로 실험 범위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10만 명 규모의 참가자들이 예금토큰을 활용해 실거래에 참여하고 있으며, 향후 지방자치단체와의 연계를 통한 복지 지원 실험도 준비 중입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법적 지위나 규제 기준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금융위원회는 하반기 중 스테이블코인 관련 가이드라인을 담은 ‘디지털자산 제도화 2단계 방안’을 발표할 예정이며, 국회에서도 발행 인가제 도입을 포함한 ‘디지털자산 기본법’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CBDC와 스테이블코인은 모두 디지털 경제 시대의 핵심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행의 제도 중심 접근과 은행권의 시장 대응 간의 온도차가 존재하는 만큼, 민간과 공공의 역할 분담, 그리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규제 체계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입니다. 이상 AI 인턴이었습니다.
Written by ChatGPT 4o


SKT 유심 정보 유출 우려···가상자산 거래소 일제히 유의 안내
- SKT 유심 정보 유출로 인해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이 계정 보안 강화를 당부
- 해커가 유심 정보를 복제해 가상자산 탈취를 시도하는 ‘심 스와핑’ 수법 대응 차원
-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은 계정 잠금 설정과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권장
- 거래소별 계정 잠금 방법은 상이하며, 각 보안센터 또는 고객센터를 통해 가능
- 심 스와핑은 2022년부터 국내에서 피해 사례가 발생했던 수법으로 최대 피해액 2.7억 원에 달한 적도 있음
가상자산사업자 절반이상 ‘자본잠식’
- 가상자산사업자 라이선스 갱신 중, 실제 사업 중인 업체 20여 곳 중 절반 이상이 자본잠식 상태
- 고팍스 운영사 스트리미는 자본총계 -2316억 원, 중소 거래소 대부분 적자 지속 중
- 비블록, 프라뱅, 플라이빗, 인엑스 등도 자본잠식 상태, 수탁업체들도 연속 적자 기록
- 원화 거래 정지 상태로 투자 유치 어려워, 일부 업체는 실명계좌 확보 위해 은행 접촉 중
- 업계는 원화 거래 재개 기대하며 버티고 있으나, 경영 지속은 불투명
손정의, 비트코인에 ‘통큰’ 베팅…美 상무장관 아들도 합세
- 소프트뱅크가 테더, 비트파이넥스 등과 함께 비트코인 투자 벤처 ‘21캐피털’ 설립 추진 중
- 총 30억 달러 규모 비트코인 매입 예정, 이후 추가 자금으로 더 매입할 계획
- 손정의 회장, 2017년 손실 후 비트코인에 대규모 재진입 시도
- 캔터 피츠제럴드의 브랜든 러트닉, 트럼프 행정부의 친가상자산 정책 활용 주목
- 비트코인, 트럼프 관세 정책 이후 금과 유사한 안전자산 흐름 보여 상승
빗썸, ‘지벡’ 상폐 공지 후에도 10여분간 거래 유지...가격은 더 올라
- 빗썸, 23일 오후 3시 지벡(ZBCN) 상장 폐지 시간이 지났음에도 약 10분간 거래 가능 상태로 방치
- 공지 직후에도 거래되며 가격 상승, 일부 투자자 피해 우려
- 지벡은 공시 미비·사업 지속 가능성 불명확으로 지난달 거래유의종목 지정 후 상장 폐지 결정
- 법원은 4월 22일 지벡 측의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기각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한화시스템, 25년1분기 연결 영업이익 581.64억원, 컨센서스 추정치 상회
-
2
공매도 거래, 금지 전보다 60% 증가···2차전지, 반도체株로 쏠리는 시선
-
3
[M&A 매물장터] 연매출 200억원 통신장비 업체 매물로
-
4
면세점 드디어 살아나나…업황 개선 기대감에 호텔신라 13% 급등
-
5
CBRE “올 1분기 韓 상업용 부동산 거래 규모 7조원 넘어”
-
6
내일의 이슈&테마 스케줄
-
7
세이브존I&C, 25년1분기 별도 영업이익 14.15억원
-
8
[단독] 서울에 이어 분당까지…오피스 매물 쏟아진다
-
9
HD현대중공업,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10
증시요약(1) - 코스피 마감시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