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환율 예단 어려워…정치 불확실성, 경제에 상당 영향"
"경기 따라 충분히 금리 낮출 것…외부 변화 보면서 시기 조정""기축통화 아닌 나라, 양적완화 고려할 수 없다…스테이블 코인 규제 시급"
한지훈
입력 : 2025.05.06 14:00:00
입력 : 2025.05.06 14:00:00

(밀라노=연합뉴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5일 오전(현지시간)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 참석차방문한 이탈리아 밀라노의 한 호텔에서 기자들과 간담회를 하고 있다.[한국은행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밀라노=연합뉴스) 한지훈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환율이 어느 방향으로 갈지 예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하고,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경제가 가라앉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창용 총재는 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의 한 호텔에서 개최된 기자간담회에서 "환율이 (내려올 만큼 다) 내려온 것인지 아직 판단하기 이르다.
변동성 대응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원화를 비롯한 아시아 통화가 강세를 보이는 배경으로 "미국이 개별 국가들 만나면서 환율 절상 압력을 넣고 있구나, 그게 알려진 게 하나이고 두 번째는 미중 간 협상 타결 확률이 높아졌구나"라고 요약했다.
그는 "어느 순간 확 바뀌면 환율이 다시 오를 것"이라며 "환율 변동이 끝난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한은이 환율에 신경을 안 쓴다는 인상을 주는 순간 시장이 한 방향으로 쏠릴 수 있다"며 양방향 변동성에 다 주의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특정 환율 수준을 보고 통화정책을 하지는 않는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미국과의 환율 협상과 관련해선 "미국이 진짜 원하는 게 강달러냐 약달러냐 그걸 잘 모르겠다"라고 말했다.
한미 양국이 원화 가치 절상에 합의할 경우 정책 수단을 두고는 "환율은 우리가 외환보유액을 갖고 장기적으로 마음대로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툴(수단)을 얘기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통화정책 방향에 관해선 "기준금리를 내린다는 것을 의심하지 말라"며 "경기 상황에 따라 금리를 충분히 낮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여러 지표를 볼 때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내려야 할 가능성이 크고 기준 금리를 낮출 이유가 많다고 평가했다.
금리인하 횟수는 성장률 전망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고 했다.
경기 부양을 위한 '빅컷'(0.5%포인트 인하) 가능성에는 데이터를 보고 결정한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반복했다.
그는 "데이터 중에 이번 연휴에 소비가 얼마나 늘지가 최대 관심사이고, 정치 불확실성 속에 투자가 얼마나 빨리 떨어지는지도 관심"이라고 거론했다.
금리 인하 실기론엔 거듭 선을 그었다.
그는 "이미 기준금리를 세 번 낮추면서 경기에 대응하고 있다"며 "경기만 보고 금리를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미국 통상정책, 한중 관계 등에 따라 환율도 변할 것"이라며 "한쪽에 베팅해 금리를 마구 낮춰놓으면 다시 거둬들이기 어려우니 외부 변화를 보면서 시기를 조정하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선 직전인 오는 29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일정에 관해선 "선거를 고려하지 말고, 데이터만 보고 결정하자고 금통위원들과 얘기했다"고 전했다.
지난주 심포지엄에서 양적완화를 언급한 것과 관련해선, 중장기적 통화정책에 관한 고민이었다면서 "왜 갑자기 지금 통화정책과 연결 짓는지 모르겠다.
당황스러웠다"고 해명했다.
그는 "기축통화가 아닌 나라에서는 양적완화를 고려할 수 없다는 것이 제 견해"라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미국이 상호 관세를 발표한 지난달 초와 비교해 "불확실성이 줄었다고 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당시 '갑자기 어두운 터널로 들어온 느낌'이라고 비유한 그는 "지금도 거의 똑같다"며 "눈이 좀 적응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최상목 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관해선 "예전에 일할 때는 하루에 한두 번씩 통화하고 식사도 했다"며 "최 전 부총리가 여기서 만날 분들이 많은데 못 오니까 이번 출국 전에도 잠깐 만나 인수인계를 받았다"고 전했다.
그는 "최 전 부총리 사퇴는 말릴 시간도 없이 결정된 것"이라며 "왜 말리지 않았냐고 굳이 묻는다면 탄핵 후 직무정지와 사퇴 사이에 실질적인 차이가 있었겠나 싶다"고 했다.
'경제사령탑 공백'과 관련해선, "바깥에서 볼 때는 선진국인데,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지나 해명해야 해서 곤혹스러운 한 주였다"고 돌아봤다.
또, "대미 통상 협의는 국익을 위해서 최대한 노력하는 게 남은 사람의 임무"라고 말했다.
그는 "같이 고생했던 사람이 갑자기 나가게 되니 사기가 많이 저하된 것은 사실"이라며 "F4 회의 지속 여부는 새로 오는 기재부 장관이 결정할 일"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국내 정치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상황을 깊이 우려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와 달리 대외 불확실성만큼이나 대내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라며 "양쪽 다 대응하다 보니 정말 힘들다"고 토로했다.
이 총재는 정치 불확실성이 기업 투자나 정부 지출 위축으로 이어지고 있다면서 "대내 불확실성이라도 빨리 가라앉았으면 한다"고 말했다.
특히 대외신인도 영향과 관련, "우리는 정치적으로 이래도 괜찮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바깥에서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 다르다"며 "유심히 보고 있다"고 했다.
그는 "정치 불확실성이 위기로 몰아가지는 않지만, 경제가 가라앉는 데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걸 빨리 끝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차기 정부의 가계부채 정책에 "부동산으로 경기를 단기 부양하자는 데는 공감대가 없을 것"이라며 "통화정책이 집값을 높이는 불쏘시개 역할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2차 추가경정예산에는 "성장률이 낮아진 것을 전부 다 추경으로 메꾸자는 것은 위험한 생각"이라며 "환자가 힘들어한다고 내일, 모레 생각하지 않고 스테로이드를 부어서는 안 된다"는 소신을 보였다.
이 총재는 "원화나 달러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스테이블 코인은 화폐의 대체재"라며 "USDT(테더) 등은 우리나라 자본 규제, 외환 규제를 우회할 가능성이 크므로 규제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달러화 표시 글로벌 스테이블 코인은 외국환관리법 차원에서 봐야 한다"며 "원화 표시 스테이블 코인은 허용할 거냐 말 거냐부터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이 총재는 '건진법사' 전성배씨 자택에서 압수된 5만원 신권과 관련, "한은의 화폐는 다 금융기관에 가고 개인, 기관에 가는 것은 없다"며 "국가정보원 등에 갔다는 건 전혀 근거 없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이 총재는 '아세안+3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밀라노를 방문했다.
오는 10∼12일에는 스위스 바젤에서 열리는 국제결제은행(BIS) 총재 회의에 참석한다.
hanjh@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주가 ‘5000시대’ 선언한 이재명…전문가들이 보는 실현 가능성은
-
2
中 노동절 황금연휴 14.7억명 이동…예상치 웃돌아
-
3
국내 '치매 머니' 154조원·GDP 6.4%…"사기·투자위축 우려"(종합)
-
4
“이번엔 하이볼 열풍” 88만캔 초고속 완판된 CU 편의점 하이볼
-
5
“카네이션인 줄 알았는데 금이 딱”…이마트24, 어버이날 ‘순금 카네이션 배지’
-
6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15:00
-
7
UNIST "밤사이 농촌 지역 상공에도 고농도 오존 머문다"
-
8
美, 구글 광고기술도 강제 매각 추진…온라인 독점에 연일 제동
-
9
전남도, 관광숙박시설 민관합동 특별 안전 점검
-
10
[영상] 백종원 "모든 방송활동 중단…기업인으로 더본코리아에 집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