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고공행진에 김치 수입액 17% 늘어 '역대 최대'
지난해 김치 수입 최대…무역적자 1년 만에 거의 3배올해 1분기도 김치 수입 급증…배추·김치 가격 동반 상승
김윤구
입력 : 2025.05.18 06:35:01
입력 : 2025.05.18 06:35:01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윤구 기자 = 이상기온과 고환율 등으로 올해 1분기 김치 수입액이 역대 가장 많았다.
김치 수입이 늘면서 김치 무역 적자 폭도 커지고 있다.
18일 관세청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올해 1∼3월 김치 수입 금액은 4천756만달러(약 670억원)로 작년 동기(4천75만달러)보다 16.7%나 늘었다.
같은 기간 김치 수입 중량은 8천97만t(톤)으로 10.1% 증가했다.
고환율 영향 속에 수입 금액 증가율이 중량 증가율보다 높았다.
김치 수입 금액과 중량은 지난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으나 올해 더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김치 수입액은 전년(1억6천358만달러)보다 16.1% 늘어난 1억8천986만달러(약 2천670억원)였다.
김치 수입량은 31만1천570t으로 30만t을 돌파했다.
이는 전년(28만6천545t)보다 8.7% 증가한 수치다.
지난해 김치 수출액도 1억6천357만달러(약 2천300억원)로 5.1% 늘어 사상 최대였지만 수입액이 더욱 가파르게 늘었다.
이에 김치 무역적자는 지난해 2천269만달러로 전년(798만달러)의 거의 3배 수준이다.
중국의 '알몸 김치' 파문으로 김치 수입이 줄었던 2021년에 반짝 흑자를 거둔 이후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수입 김치는 거의 100% 중국산이며 주로 가정보다 식당에서 사용한다.
유명 분식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한 매장은 김치 원산지 표시 자리에 종이를 덧대어 '중국산'이라고 써 붙였다.
원래 '국산'이라고 쓰여있던 자리다.
이 매장 점주는 "김치는 국산이었는데 재료비가 많이 올라 본사에서 중국산으로 바꾼 것으로 안다"고 연합뉴스에 말했다.
김치 수입이 급증한 가장 큰 이유로는 원재료인 배추가 생산 부진으로 가격이 오른 것이 꼽힌다.
겨울 배추는 지난해 가을 고온과 겨울 한파로 생산량이 감소했다.
지난해 가을배추 생산도 줄었으며 고랭지의 여름 배추도 이례적인 폭염 때문에 생산이 부진했다.
지난달 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배추는 작년 동월보다 15.6% 올랐으며 김치는 20.7% 상승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집계에서도 지난달 배추 한 포기 평균 소매가격은 5천442원으로 작년보다 24%, 1천원 넘게 올랐다.
배추, 무 등 원부자재 가격 상승에 일부 업체는 김치 가격을 올리고 있다.
롯데호텔앤리조트는 지난달 둘째 주부터 온라인에서 판매하는 배추김치와 갓파(갓과 쪽파)김치를 11% 인상했다.
이 업체 측은 "배추 등 원재료 가격이 폭등했다"고 설명했다.
ykim@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