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음극재 출하량 상위 10곳 中 차지…포스코퓨처엠 11위

SNE리서치 조사…한일, 중국 과잉생산·저가수주 경쟁에 고전
장하나

입력 : 2025.05.21 11:36:57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지난해 글로벌 음극재 시장을 중국 업체들이 사실상 독차지하면서 포스코퓨처엠이 10위권 밖으로 밀려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리튬이차전지 음극재 수요량(사용량)은 197만t이었으며, 음극재 출하량은 211만t 수준을 기록했다.

2023년과 비교하면 수요량과 출하량은 각각 26%, 25%씩 늘어났다.

전체 음극재 출하량 중 인조흑연은 176만t으로 약 83%를 차지했고, 천연흑연은 29만t(14%), 실리콘 음극재는 4만1천t(1.9%)으로 집계됐다.

출하량 상위 10곳은 모두 중국 업체였다.

출하량 기준 1위는 BTR로, 총 43만2천t 이상을 출하했다.

이어 샨샨(34만t), 신줌(21만3천t), 상타이(20만8천t), 카이진(15만8천t) 등의 순이었다.

상위 10곳의 점유율은 약 84%다.

2024년 음극재 시장 점유율
[SNE리서치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과 일본의 음극재 업체들은 작년 중국 업체들의 과잉 생산과 저가 수주 경쟁에 밀려 고전했다.

포스코퓨처엠의 경우 2020년 6위에서 2021년 8위, 2022년과 2023년 10위로 밀려난 뒤 지난해에는 11위(2만7천200t)에 그쳤다.

포스코퓨처엠은 지난해 전기차 캐즘(Chasm·일시적 수요 정체)으로 인한 수요 둔화와 미국 정부의 중국산 흑연 음극재 공급 유예로 타격을 받았으며, 중국산 흑연 제품과의 가격 경쟁에도 밀려 부진했다.

일본 레조낙도 중국과 말레이시아에서 철강업체용 흑연 전극 생산을 중단하고 생산라인을 축소했다.

리튬이온배터리(LIB)용 음극재 흑연에서도 사업 확대에 소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올해도 중국 인조흑연의 강세 속에 BTR, 샨샨 등 중국 '톱6' 음극재 업체의 사용량 역시 지속적으로 유지 또는 강세를 이어갈 전망"이라며 "향후 신규 실리콘 음극 소재가 확대되고 나트륨이온 배터리용 하드카본 개발 역시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hanajjang@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22 13:59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