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S 발행, 상환 앞질렀다
명지예 기자(bright@mk.co.kr)
입력 : 2025.07.16 17:41:03 I 수정 : 2025.07.16 19:12:24
입력 : 2025.07.16 17:41:03 I 수정 : 2025.07.16 19:12:24
퇴직연금 등 개인수요 살아나
우량채 수급에 도움될 전망
침체됐던 주가연계증권(ELS) 발행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우량 회사채 수급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날까지 국내 ELS 순발행 규모는 약 2조7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순상환이 이어지던 지난해와 달리 순발행 전환이 이뤄진 것은 투자심리가 개선됐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김상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증권사 주요 차입 수단인 파생결합증권 발행이 올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증권사 리테일 수요가 살아나면서 향후 ELS 잔액은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짚었다. 은행들도 ELS 재판매를 위한 준비에 나섰다. ELS 특화 거점 점포를 신설하거나 재정비하는 등 판매망을 강화하고 있다. 퇴직연금 시장도 중장기적인 ELS 발행 증가를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퇴직연금은 2022년부터 20조원대 규모의 ELS를 인수해 안정적인 매입 주체가 됐다.
ELS 발행이 확대되면 기초 운용자산인 국공채나 우량 등급 회사채에 대한 수요도 함께 늘어날 전망이다. ELS는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채권 중심의 자산 운용이 일반적이다.
올해 3월 말 기준 증권사들이 운용 중인 파생결합증권 헤지 자산 가운데 채권 비중은 89%에 달했으며 이 중 국공채와 AA급 이상 회사채 등 우량채 비중이 87%를 차지했다. 김 연구원은 "ELS 잔액이 10조원 증가하면 전체 채권 수요가 약 9조원, 이 중 크레디트 채권 수요는 7조원가량 늘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증권사들의 자금 조달 구조 변화로 인해 ELS 발행이 크게 확대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최근 증권사들이 발행어음, 환매조건부채권(RP) 매도, 자체 회사채 발행 등을 선호해 파생결합증권의 자산 운용 비중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명지예 기자]
우량채 수급에 도움될 전망
침체됐던 주가연계증권(ELS) 발행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며 우량 회사채 수급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날까지 국내 ELS 순발행 규모는 약 2조7600억원으로 집계됐다. 순상환이 이어지던 지난해와 달리 순발행 전환이 이뤄진 것은 투자심리가 개선됐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김상인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증권사 주요 차입 수단인 파생결합증권 발행이 올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증권사 리테일 수요가 살아나면서 향후 ELS 잔액은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짚었다. 은행들도 ELS 재판매를 위한 준비에 나섰다. ELS 특화 거점 점포를 신설하거나 재정비하는 등 판매망을 강화하고 있다. 퇴직연금 시장도 중장기적인 ELS 발행 증가를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 퇴직연금은 2022년부터 20조원대 규모의 ELS를 인수해 안정적인 매입 주체가 됐다.
ELS 발행이 확대되면 기초 운용자산인 국공채나 우량 등급 회사채에 대한 수요도 함께 늘어날 전망이다. ELS는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채권 중심의 자산 운용이 일반적이다.
올해 3월 말 기준 증권사들이 운용 중인 파생결합증권 헤지 자산 가운데 채권 비중은 89%에 달했으며 이 중 국공채와 AA급 이상 회사채 등 우량채 비중이 87%를 차지했다. 김 연구원은 "ELS 잔액이 10조원 증가하면 전체 채권 수요가 약 9조원, 이 중 크레디트 채권 수요는 7조원가량 늘어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증권사들의 자금 조달 구조 변화로 인해 ELS 발행이 크게 확대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최근 증권사들이 발행어음, 환매조건부채권(RP) 매도, 자체 회사채 발행 등을 선호해 파생결합증권의 자산 운용 비중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명지예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