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15%면 할 만하다”...‘0%대 성장’ 탈출 가능성
전경운 기자(jeon@mk.co.kr), 최현재 기자(aporia12@mk.co.kr)
입력 : 2025.07.31 19:06:13 I 수정 : 2025.07.31 20:47:18
입력 : 2025.07.31 19:06:13 I 수정 : 2025.07.31 20:47:18
한은, 경제 영향 분석 착수
관세율, 기존 전망에 거의 부합
소비심리 개선세 이어지는 가운데
무역합의로 불확실성 상당 해소
日·EU 등 주요국과 같은 관세율
8월 수정 경제전망 결과 주목
관세율, 기존 전망에 거의 부합
소비심리 개선세 이어지는 가운데
무역합의로 불확실성 상당 해소
日·EU 등 주요국과 같은 관세율
8월 수정 경제전망 결과 주목

한국은행은 31일 한미 간 관세 협상 결과가 발표된 직후 반도체, 자동차 등 한국의 주요 품목을 비롯한 수출 영향과 경제 전망 분석에 본격 착수했다. 이날 협상 결과인 대미 상호관세율 15%와 자동차 품목 관세율 15%는 한은이 지난 5월 경제 전망에서 올해 경제성장률을 0.8%로 예상했을 때의 가정에 크게 벗어나는 수준은 아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미국 관세의 부정적 영향을 최대한 방어해낸 만큼 한은이 8월 수정 경제전망에서 추가경정예산 효과 등을 반영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상향 조정할 가능성도 있다.
전문가 사이에서는 올해 경제성장률이 1%를 달성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대미 투자 규모가 생각보다 약간 크지만 이를 통해 농산물과 관세율 양보를 잘 받아냈다”며 “관세율 15%라면 소비쿠폰 등 소비 진작 효과까지 더해 올해 경제성장률이 1% 정도는 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여경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대미 투자와 미국산 제품 구매 금액을 기준으로 보면 한국은 협상을 잘한 것으로 해석된다”면서 “상호관세율 인하는 올해 한국 성장률을 0.07%포인트 제고하는 요인이며 1·2차 추경 효과가 더해지면 1%의 성장률을 달성할 가능성이 확대된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1000억달러의 에너지 구매를 포함해 총 4500억달러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고, 일본은 5500억달러 대미 투자와 항공기·에너지 구매를 하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일 두 국가를 상대로만 1조달러에 달하는 투자 약속을 받아낸 것이다.
EU는 6000억달러 투자와 7500억달러 규모 에너지 구매를 각각 약정했다. 명목상으로는 한국에 날아온 청구액이 낮지만, EU와 일본이 전 세계 최상위권 경제 대국임을 고려하면 한국도 결코 작은 규모는 아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전력반도체’ 파워큐브세미, 기술성평가 통과
-
2
한화오션, ‘한미 조선 협력 펀드’ 수혜 기대감에 신고가 경신
-
3
‘K방산’ 삼양컴텍, 공모가 상단 확정… 기관 확약 45%
-
4
우투證, 출범 1주년 기념식 개최…“우리금융그룹 CIB 성과 견인하겠다”
-
5
에스오에스랩, 43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
6
하이로닉,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7
“중국인 홀린 냉동김밥 뭐길래”…‘주가 폭락에도’ 풀무원은 19%대 급등
-
8
HS효성, 김건희특검팀 압수수색 소식에 6%대 급락
-
9
에스아이리소스, 30억원 규모 전환사채권 발행 결정
-
10
엔알비, 주식등의 대량보유자 소유주식수 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