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입력 : 2023.02.06 17:10:27
제목 : 증시요약(5) - 특징 종목(코스닥)
특징종목 | 이슈요약 |
엔바이오니아 (317870) 7,930원 (+30.00%) | 종속회사 세프라텍, SK에코플랜트와 초순수 핵심기술 국산화 목적 투자협약 체결 소식 등에 상한가 |
▷종속회사 세프라텍, 시설자금 확보 목적으로 보통주 90,000주(31.95억원)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및 운영자금 확보 목적으로 보통주 50,826주(18.04억원) 규모 주주배정 유상증자 결정 공시. ▷이와 관련 동사는 언론을 통해 종속회사 세프라텍이 초순수 국산화를 위한 핵심기술 중 하나인 탈기막(MDG, Membrane Degassing)의 제조 설비 구축을 위해 5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고 밝힘. 이어 SK에코플랜트와 32억원의 연구개?발 투자협약을 체결하고, 나머지 18억원은 주주배정을 통해 조달할 예정이며, SK에코플랜트는 이번 투자협약을 통해 약 18%의 지분율을 갖게 된다고 설명. ▷이와 관련, 세프라텍 관계자는 "이번 자금조달을 통해 MDG 시제품 생산 및 초기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설비구축이 가능해질 것"이라며, "MDG용 멤브레인(Membrane) 전용설비, 클린룸을 포함한 MDG 막 모듈 전용 설비 등을 확보하고, 연내 시제품 공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힘. | |
가온칩스 (399720) 23,800원 (+13.88%) | 중장기적 성장 전망 등에 급등 |
▷현대차증권은 동사에 대해 국내 DSP 중 삼성 파운드리를 이용하는 팹리스의 87%에 달하는 고객사들을 확보하고 있으며, 고난이도에 대해 수행 가능한 고급 엔지니어 인력들을 확보하고 있다고 밝힘. 동사가 수행한 삼성전자의 28~5nm의 하이엔드 공정 관련 프로젝트수는 2022년 기준 200건을 넘어설 정도로 높은 트렉 레코드를 통해, 칩의 초기 설계에서부터 양산에 이르는 전 과정은 물론 IP 공정 최적화, 무결성 평가 등의 넓은 범위의 솔루션도 턴키 형식으로 진행하는 것이 동사의 경쟁력이라고 설명. ▷이어 최근 데이터센터, 자율주행, 클라우드 수요가 폭증하면서 IT 공룡 업체들은 자사 요구에 특화된 칩 설계를 원하는 가운데, 이에 따른 수혜가 전망된다고 설명. 또한, 국내에만 머무르지 않고 일본 시장부터 향후 미국, 유럽의 고객사들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밝힘. 일본 닛케이(Nekkei) 보도에 따르면, 일본 최대 자동차 부품업체가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맞춰 대만 업체와 협력하고 있는데, 일본내 하이엔드 공정을 가능하게 해줄 디자인하우스가 부재한 현실도 일본 시장을 타깃으로 하고 있는 동사에게 중장기적인 성장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 ▷투자의견 : BUY[신규], 목표주가 : 42,000원[신규] | |
동아엘텍 (088130) 8,060원 (+13.20%) | 1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에 급등 |
▷100.00억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결정(기간:2023-02-06~2023-08-07, 하나증권) 공시. | |
마인즈랩 (377480) 29,150원 (+10.63%) | AI 솔루션 마음.ai, 일본 박람회 참가 소식 속 급등 |
▷동사는 언론을 통해 7일부터 10일까지 일본의 대표적 호텔/케이터링 서비스 박람회인 HCJ 2023에 참여해 휴먼 AI 솔루션을 소개할 예정이라고 밝힘. 동사는 AI 클라우드 플랫폼 마음.ai를 일본 알멕스(ALMEX)사의 키오스크에 탑재해 방문객들을 맞이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짐. 동사는 이와 관련해 기술적으로 눈여겨 봐야할 점은 클라우드 기반 위에서 안정적인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과 AI 휴먼이 1초 이내로 빠르게 응답하며 고객에게 응답하는 점이라며 마음.ai 플랫폼이 한국 뿐 아니라 전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즉각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의미로 향후 한계없는 확장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힘. 또한, 마음.ai가 클라우드 마켓 플레이스에 출시되는 4월 이후부터는 전 세계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확산할 것이라고 밝힘. | |
하츠 (066130) 7,400원 (+10.12%) | 美 가스레인지 유해 논란 확산 속 인덕션 수요 증가 수혜 기대감 등에 급등 |
▷언론에 따르면, 미국에서 가스레인지 인체 유해 논란이 확산하는 가운데, 美 가전업계가 전기 인덕션 제품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전해짐. ▷이와 관련, 5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GE어플라이언스는 올해 선보일 전기레인지 28종 가운데 절반을 인덕션 모델로 채우는 등 인덕션 모델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글로벌 레인지 브랜드인 바이킹도 2009년부터 인덕션 전문업체 3곳을 인수하는 등 인덕션 관련 투자와 제품 라인업을 늘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또한,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임펄스 랩스는 배터리로 작동하는 인덕션을 개발하고 있는 등 벤처업계에서도 새로운 형태의 인덕션 개발을 진행중인 것으로 전해졌음. ▷이 같은 소식 속 인덕션 제품을 판매하고 있는 동사가 금일 시장에서 부각. | |
오픈엣지테크놀로지 (394280) 18,200원 (+7.37%) | 7나노 공정용 테스트 칩 개발 소식 등에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7나노(㎚) 공정 기술을 적용한 메모리 테스트칩을 개발했다고 밝힘. 이 칩은 고대역 메모리(HBM3), 초고속 메모리(LPDDR5X) 등 고성능 메모리를 테스트하는데 사용되며, D램과 시스템온칩(SoC)간 통신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 IP 제품에도 사용할 수 있다고 언급. ▷이와 관련, 동사 관계자는 “LPDDR5X D램 최고 속도(8533Mbps)에 대응하는 테스트칩이 나온 건 이번이 처음”이라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을 입증하겠다”고 밝힘. | |
비트나인 (357880) 10,920원 (+6.74%) | 美 실리콘밸리를 필두로 글로벌 R&D 센터 확장 소식 속 강세 |
▷동사는 언론을 통해 기존의 미국 실리콘밸리를 필두로 한국과 캐나다, 인도, 파키스탄까지 R&D 센터를 확장했다고 밝힘. 이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사업을 더욱 급격히 확대해 나가겠다는 목표를 밝혔음. ▷동사 관계자는 "최근 국내 시장에서의 고급 소프트웨어 개발자 채용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지만, 글로벌 R&D 확장을 통해 훨씬 더 쉽고 합리적인 방법으로 인력을 수급할 수 있게 됐다"며, "R&D 인력 수급에서의 저비용 고효율 전략이 영업이익률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이어 "R&D에서의 높은 인지도를 바탕으로 올 상반기 예정된 아파치 AGE의 상용화를 이루며 더욱 가파른 글로벌 사업의 성장을 기대한다"고 밝힘. | |
대창솔루션 (096350) 342원 (+6.54%) | 삼성 암모니아 사업 관심 소식 속 자회사 크리오스, 암모니아 유통시설 관련 기술 보유 사실 부각에 강세 |
▷일부 언론에 따르면, 삼성 건설 계열사들이 청정암모니아와 수소 인프라에 공을 들이고 있다며, 동남아와 중동 지역에서 수소 밸류체인(가치사슬) 전반에 관여하고 있다고 전해짐. 오랫동안 수소경제의 가능성을 타진한 삼성이 ‘암모니아’의 경제성에 확신을 가진 것 같다고 알려짐. ▷이 같은 소식 속 암모니아 유통시설 관련 분야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크리오스를 자회사로 두고있는 동사가 시장에서 부각. | |
스코넥 (276040) 18,500원 (+5.53%) | 글로벌 빅테크 XR기기 출시 최대 수혜 전망 등에 상승 |
▷하나증권은 동사에 대해 국내 최초 FPS 건슈팅 VR게임을 상용화한 업체로 향후 글로벌 빅테크 XR기기 출시에 따른 최대 수혜가 예상된다고 밝힘. 이어 올해 하반기 신규 게임 출시의 기대감이 유효한 상황으로, 최근 글로벌 업체 메타와의 VR게임 공동개발 계약에 따라 기술력이 입증된 바 있다고 설명. 이에 올해부터는 신규 게임인 방탈출 VR 게임 출시에 따라 VR게임 사업의 본격 성장이 전망된다고 밝힘. ▷현재 오큘러스 퀘스트 2는 약 1,500만대 이상 판매된 것으로 파악되는데, 3% 침투율을 가정 시 약 100억원의 매출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메타의 대표 VR 게임인 비트세이버의 경우, 연간 약 1,3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동사는 2024년 1분기 메타와 공동 개발된 신규 게임 ‘Strike Rush’ 출시를 목표로, 메타 플랫폼 뿐 아니라 소니, 닌텐도 등 타 플랫폼 홀더 향으로도 추가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 |
나무기술 (242040) 3,400원 (+4.62%) | 싱가포르법인, 네이버클라우드와 동남아 시장 공략 관련 업무협약 체결 소식 등에 상승 |
▷동사 는 언론을 통해 싱가포르법인이 네이버클라우드와 동남아 시장 클라우드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MOU를 체결했다고 밝힘. 협약에 따라 양사는 싱가포르 및 동남아시아 지역 중소기업과 다국적 대기업을 대상으로 공동 GTM(Go-to-Market) 모델 개발을 위한 기반을 확립하고, 시장 확장과 성장을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공동 개발하는 것을 논의했다고 언급. ▷또한, 동사의 싱가포르 법인은 네이버클라우드와 클라우드 관리 사업(MSP) 파트너십을 통해, 동사의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과 솔루션을 제공하는 고객에게 네이버클라우드의 서비스형인프라(IaaS)를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힘. ▷한편, 안철수 의원, 공개 일정 중단 소식 속 김기현 관련주로 시장에서 부각. | |
세코닉스 (053450) 7,370원 (+4.54%) | 본업 회복 및 XR 핵심 부품 납품 확대 전망 등에 상승 |
▷NH투자증권은 동사에 대해 본 업의 회복이 기대되는 가운데, 판가가 높은 XR 핵심 부품 납품 확대가 기대되어 매력적이라고 분석. 특히, 본업인 전장용 카메라/렌즈 및 램프의 경우 2022년 하반기 원달러 환율이 급격하게 상승한 영향으로 마진이 크게 둔화됐으나, 2023년에는 자동차 출하량이 확대되는 가운데 환율이 안정화되어 1분기부터 실적 턴어라운드 예상. ▷아울러 동사는 XR 핵심 부품인 투사모듈과 접안렌즈 기술을 확보하고 있고 현재 미국 AR안경 제조업체 Vuzix에 투사 모듈 납품 중이며, XR 부품의 판가가 2~ 30달러 수준으로 기존 스마트폰 렌즈(1달러 미만) 대비 크게 상승하고 마진도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XR 시장에서의 수혜가 기대된다고 전망. 또한, 고객사 측면에서도 과거 삼성전자의 Gear VR 기기에 렌즈를 납품한 이력이 있어 향후 삼성전자 기기에도 납품될 가능성 높은 점도 매력적이라고 설명. | |
와이엔텍 (067900) 9,480원 (+4.29%) | 지난 해 실적 개선 등에 상승 |
▷지난 3일 장 마감 후 지난해 실적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245.43억원(전년대비 +11.4%), 영업이익 341.86억원(전년대비 +5.4%), 순이익 253.91억원(전년대비 +9.2%). | |
에스씨엠생명과학 (298060) 10,630원 (+3.51%) | 美 관계사 코이뮨, 새 CAR-T 세포치료제 연구결과 발표 속 상승 |
▷동사는 언론을 통해 미국 관계사 코이뮨(CoImmune, Inc.)이 기존 카티 면역세포에 항종양 활성을 개선한 기술 'OrexiCAR'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블러드 저널에 게재했다고 밝힘. ▷연구결과에 따르면, Orexi카티세포와 항암항체치료제 리툭시맙의 병용요법으로 치료한 동물(쥐)실험을 통해 약 80%에서 종양 생착 후 86일 경과 후 새로운 독성 없이 림프종 종양 퇴행, 생존율 증대 등의 효능이 확인됐음. ▷찰스 니콜렛 코이뮨 대표이사는 "이번 연구를 통해 다양한 암을 광범위하게 표적할 수 있는 접근 방식으로 종양 면역 치료를 발전시킬 수 있는 높은 잠재력을 확인했다"며, "이는 특히 카티의 고형암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힘. | |
켐트로닉스 (089010) 16,000원 (+3.29%) | 241.71억원 규모 6G OLED 식각 관련 신규시설 투자 결정에 상승 |
▷241.71억원(자기자본대비 16.6%) 규모 신규시설(6G OLED 식각 관련 신규시설 투자) 투자 결정 공시. 투자기간은 2023년2월6일부터 2023년8월31일까지임. | |
위메이드 그룹주 | 미르M 흥행 영향 지속 등에 소폭 상승 |
▷업계에 따르면, 위메이드가 지난달 31일 출시한 미르M 글로벌 동시 접속자 수가 9만명을 넘어섰다고 전해짐. 전일 오전 12시 기준으로 최고 동시 접속자 수는 9만6,000명을 넘어섰으며, 현재 대기열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위메이드 측에서도 서버 추가 등을 검토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알려짐. 조만간 동시 접속자 10만 명을 넘어서는 것도 시간문제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위메이드, 위메이드맥스, 위메이드플레이 등 위메이드 그룹주가 상승. [종목]: 위메이드, 위메이드플레이, 위메이드맥스 | |
셀바스헬스케어 (208370) 2,295원 (-4.18%) |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
▷지난해 실적 발표. 22년 연결기준 매출액 272.63억원(전년대비 -6.27%), 영업이익 23.29억원(전년대비 -31.74%), 순이익 26.46억원(전년대비 +7.06%). | |
넥스트칩 (396270) 10,000원 (-5.30%) | 지난해 적자지속에 하락 |
▷지난 3일 장 마감 후 22년 실적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128.69억원(전년대비 -47.40%), 영업손실 261.32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순손실 260.99억원(전년대비 적자지속). | |
아진엑스텍 (059120) 9,460원 (-5.96%) | 지난해 실적 부진에 하락 |
▷지난 3일 장 마감 후 22년 실적발표. 개별기준 매출액 356.91억원(전년대비 -14.30%), 영업이익 13.40억원(전년대비 -74.01%), 순이익 16.47억원(전년대비 -61.62%). |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22 15:30
SKAI | 2,255 | 60 | -2.59%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그때라도 사라고 했제”...11만달러까지 갔다, 하늘 뚫은 비트코인
-
2
SK에코플랜트 환경 자회사 매각 예정대로 ··· 7월 중 우협 선정 예정
-
3
“ETF 올랐는데 계좌잔고는 왜 이래”…‘H’ 붙은 상품만 웃는다는데
-
4
위메이드 "국내 5개 가상화폐 거래소 담합, 공정위에 신고"
-
5
국가부채 '공포'에 요동치는 미국·일본 국채 시장…한국은?(종합2보)
-
6
LG 포기한 인니 배터리 사업에 국부펀드 다난타라 투자키로
-
7
"흡연이 폐암 원인, 제조사 책임져야" vs "흡연은 자유의지"(종합)
-
8
한화큐셀, 차세대 전지 '탠덤 셀' 국제인증…"상용화 9부 능선"
-
9
서울 마을버스 '운행중단' 일단 피했다…임시총회서 보류 결정
-
10
금호타이어, 화재 피해 주민 보상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