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식품 시장까지…'알리' 세력 확장에 업계 위기감 '고조'
구민정
입력 : 2024.03.06 17:18:31
입력 : 2024.03.06 17:18:31
【 앵커멘트 】
무서운 속도로 성장하며 국내 이커머스업계를 위협하고 있는 알리익스프레스가 이제 식품으로 영역을 확장합니다.
가공식품뿐만 아니라 신선식품까지 판매하며 본격적인 한국 시장 겨냥에 돌입한 건데요.
구민정 기자의 보도입니다.
【 기자 】
지난달 알리익스프레스의 앱 사용자는 818만 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상승세에 힘입어 알리는 2월 국내 종합몰 이용자 수 2위를 차지하며 1위 쿠팡의 뒤를 바짝 쫓고 있습니다.
여기에 최근 국내 브랜드 상품 전용관 'K-베뉴'를 통해 신선식품 판매까지 시작하자 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이제 알리를 통해 가공식품과 더불어 과일, 채소, 수산물 등 신선식품까지 구매할 수 있게 된 겁니다.
현재는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신선식품 판매가 이뤄지고 있지만, 최근 알리바바그룹이 서울 신선식품 MD의 채용공고를 내는 등 그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또한 한국코카콜라, 롯데칠성음료, 동원 F&B 등 일부 식품사가 K-베뉴에 공식 입점해 가공 식품을 판매할 예정입니다.
농심, 대상, 삼양식품, 풀무원도 입점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알리는 K-베뉴 확대를 위해 판매자의 입점과 거래에 있어 수수료를 면제해 주며 셀러들을 단숨에 끌어모으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식품사들이 당장은 기존 국내 이커머스 기업들과의 관계를 고려해 선뜻 입점에 나서지 못하고 있지만, 결국 알리에 모이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 인터뷰(☎) : 이종우 / 아주대 경영학과 교수
- "현재 알리익스프레스는 중국 해외 직구 앱이라는 인식이 강한데요. (알리의) 매출이 어느 정도 올라서 인계점을 넘어섰다는 인식이 확산하면 모든 브랜드가 나중에는 들어올 수밖에 없게 될 것 같습니다.
"
이에 국내 이커머스도 본격적인 '알리' 견제에 나선 분위기입니다.
G마켓은 지난달부터 익일 배송 서비스인 '스마일 배송'에 신선 상품을 추가했으며, 롯데온은 최근 일부 상품 판매자에 대한 수수료를 9%에서 5%로 내렸습니다.
또한 11번가는 첫 입점 판매자에 대한 판매 수수료 인하하는 등 신규 판매자 초기 정착 프로그램을 진행중입니다.
업계가 최후의 보루로 여기던 신선식품 분야에서 마저 알리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이커머스가 방어에 성공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매일경제TV 구민정입니다.
[ koo.minjung@mktv.co.kr ]
[ⓒ 매일경제TV mktv.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 관련 종목
04.04 15:30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법원 "가족 명의 태양광사업 한전 직원…겸직금지 위반"
-
2
"트럼프 밀었던 실리콘밸리, 정권초반 기업가치↓·IPO 연기"
-
3
"두 달 정책공백에 대선 불확실성…신속 추경·통상대응 필요"
-
4
尹정부 경기지수 '임기 최저치'로 마침표…계엄 후 더 추락
-
5
'1천만 러너의 성지' 롯데 잠실월드몰에 '디스턴스' 팝업
-
6
"숏폼 콘텐츠, 20대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 악화시켜"
-
7
건기식 개인거래 허용 10개월간 거래액 28억…당근마켓서 96%
-
8
'건전재정·감세' 간판 내린 尹경제정책…눈덩이 세수펑크 오점
-
9
제약·바이오 업계, 수장 선임 완료…"신성장동력 발굴 주력"
-
10
은행들 최대 실적에도 신입 채용은 줄여…인뱅은 경력만 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