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전망 부진한 AMD 9%↓ 목표가 최저 175달러로 뚝 엔비디아도 주가 4% 떨어져 '韓 매수 2위' 반도체 3배 ETF 불안감 확산에 한달 25% 급락
올해 인공지능(AI) 투자 열풍을 이끌었던 미국 반도체 간판 기업들 주가가 급락하자, 반도체 3배 레버리지 상품을 앞다퉈 매수했던 한국 투자자들도 매매 저울질에 나섰다.
'제2 엔비디아'를 꿈꾸는 AMD가 내놓은 AI용 반도체 실적 목표치가 시장 기대를 한참 밑돈 탓에 관련주 실망 매물이 쏟아지는 등 투자 심리가 흔들린 탓이다. 월가는 앞다퉈 AMD 목표가를 낮추는 한편 반도체 기업 중에서도 배당 수익률이 높은 종목으로 관심을 돌리는 분위기다.
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AMD 주가는 8.91% 급락해 144.27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회사 주가는 최근 한 달 새 20% 급락한 상태다.
전날 장 마감 후 AMD 경영진은 실적발표 자리에서 올해 AI용 반도체 매출 전망치를 40억달러로 제시했다. 이는 지난 1월 제시한 금액(35억달러)보다 늘어난 수준이지만, LSEG 등 금융정보 업체들이 집계한 월가 기대치(60억~100억달러)를 대폭 밑도는 수준이다.
AMD가 제시한 올해 2분기(4~6월) 실적 전망도 매도세를 부추겼다. 회사 경영진은 데이터센터 사업 매출이 전 분기보다 두 자릿 수 이상 증가하겠지만, PC 부문은 한 자릿 수 증가율에 그치고 임베디드 매출은 제자리걸음을 할 것이며 게임 부문 매출은 30%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월가는 앞다퉈 AMD 12개월 목표가 하향에 나섰다. 씨티그룹은 AMD 목표가를 기존 192달러에서 176달러로, 미즈호증권은 기존 235달러에서 215달러로 낮췄다. 파이퍼샌들러는 195달러에서 175달러로 10% 이상 하향 조정했다. AI용 반도체 사업에 대한 기대가 주가에 과도하게 반영됐다는 점이 공통된 이유다.
같은 날 뉴욕증시에서는 엔비디아와 브로드컴 주가가 각각 4%가량 떨어지면서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를 3.54% 끌어내렸다. AMD와 같은 시기에 실적을 발표한 AI용 서버 업체 슈퍼마이크로컴퓨터의 올해 1분기 매출(38억5000만달러)이 작년 동기 대비 3배 늘었음에도 월가 기대치(39억5000만달러)를 밑돈 탓이다. 1일 뱅크오브아메리카는 회사 목표 주가를 1200달러에서 1090달러로 낮췄다.
한 달 새 AI용 반도체 투자 불안감이 확산되면서 한국 투자자들이 집중 매수한 상장지수펀드(ETF)인 '디렉시온 데일리 세미컨덕터 불 3X(SOXL)'도 25% 넘게 급락했다. 같은 기간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약 7% 하락했다. SOXL은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를 3배로 따르는 고위험·고수익 레버리지 상품이다. 2일 한국예탁결제원 집계에 따르면 해당 ETF는 최근 한 달간 한국 투자자 순매수 2위(1억100만달러·약 1391억원)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