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전장★테마동향

입력 : 2024.08.07 11:11:05
제목 : 오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주 요 테 마
강세 테마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엠폭스(원숭이두창), 피팅(관이음쇠)/밸브, 제대혈, 면역항암제, 코로나19(진단키트), 모더나(MODERNA), 유전자 치료제/분석, 바이오시밀러(복제 바이오의약품), 백신/진단시약/방역(신종플루, AI 등), 코로나19(치료제/백신 개발 등), 치매, mRNA(메신저 리보핵산), 줄기세포, 제약업체, 비만치료제, 음원/음반, 탈모 치료,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의료기기, 미용기기, 마이크로바이옴, 카카오뱅크(kakao BANK),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약세 테마폐기물처리, 소모성자재구매대행(MRO) 등...



특징 테마이 슈 요 약
제약/바이오금리인하 전망 속 신약개발 성과, 실적 성장 기대감 등에 상승
▷하나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제약/바이오 개별 종목은 뚜렷한 호재, 악재가 부재함에도 주가 급등락을 반복하고 있다며, 이는 현재 현금 창출 능력이 부재하나 미래에 수익의 가능성이 있고 이를 현가화해 가치 평가가 이뤄지는 신약개발 산업의 특성 때문이라고 밝힘.

▷다만, 단기 변동성에 휘둘리기 보다는 중장기 방향성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며, 하반기 제약/바이오 업종에 대한 긍정적인 투자 의견을 제시한다고 밝힘. 높은 금리는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자금 조달 비용을 높이는 요인이지만 9월과 10월 미국, 한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금번 8월 내로 FDA 승인 여부가 결정되는 유한양행/오스코텍의 렉라자는 국내 기업들의 신약개발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설명. 또한, 섹터 내 영업이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의 실적 또한 하반기부터 다시 성장의 각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

▷이 같은 분석 속 금일 유한양행, 에이비엘바이오, 유틸렉스, 한올바이오파마, 앱클론,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제약/바이오 관련주가 상승.
코로나19(진단/치료제/백신 개발 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코로나19 등 감염병 재확산 여파 지속 등에 상승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재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 판매량이 폭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가격도 급등세를 보이고 있음. 최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전국 200병상이상 병원급 표본감시기관 22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코로나19 신규 입원환자는 최근 4주간(7월 넷째주 기준) 5.1배로 증가했음. 케어인사이트에 따르면, 7월28일부터 8월3일까지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 판매량은 전주 대비 62.0% 증가한 5,850개를 기록. 보름 전인 7월14일부터 20일 한주 간 1,249개가 판매됐던 것에 비해 368% 급증. 에누리에 따르면, 래피젠 코로나 진단키트 2개입 1박스 가격은 3개월 전만 해도 1,300원대였지만 현재는 7,400원대로 상승.

▷또한, 세계보건기구(WHO)는 6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2024 파리올림픽 선수 최소 40명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힘. 마리아 반 케르크호베 WHO 전염병·팬데믹 대비 및 예방 책임자는 84개국 데이터 분석 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SARS-CoV-2) 양성 판정 비율이 몇 주 새 증가하고 있다며, 보고되는 것보다 2~20배 더 많이 유행하고 있을 것이라고 설명. 이어 "현재 올림픽에서도 최소 40명의 선수가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언급.

▷아울러 백일해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등 감염병들도 동시에 확산되고 있음. 호흡기 감염병인 백일해의 경우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확산중이며,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도 지난 6월 말 유행주의보 발령 이후 증가추세가 지속되는 모습.

▷이 같은 소식 속 엑세스바이오, 미코바이오메드, 유틸렉스, 에스디바이오센서, 랩지노믹스, 피씨엘, 멕아이씨에스, 국전약품 등 코로나19 관련주 및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테마가 상승.
반도체 관련주삼성전자, HBM3E(8단) 엔비디아 퀄테스트 통과 보도 및 美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반등 등에 상승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반도체업체 엔비디아에 5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인 HBM3E(8단)를 납품하기 위한 퀄테스트(품질 검증)를 통과했다고 전해짐. 삼성전자와 엔비디아가 조만간 공급 계약을 체결할 전망이며, 4분기부터 공급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알려짐. 다만, 5세대 HBM 가운데 HBM3E(12단)에 대한 테스트는 아직 진행 중이라고 전해짐.

▷한편, 엔비디아와 삼성전자 측은 로이터의 논평 요청에 답변을 내놓지 않은 상태로 이와 관련, 삼성전자 관계자는 "고객사 관련 내용은 확인할 수 없다"고 밝힘. 또다른 관계자는 “사실과 다른 것으로 안다”며 “HBM3E 8단도 퀄테스트 통과를 위해 계속 노력 중” 밝힘.

▷지난밤 뉴욕주식시장이 경기 침체 우려 과도 분석 속 반발 매수세 유입 등에 반등한 가운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상승 마감.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48.12(+1.06%) 상승한 4,567.57를 기록. 엔비디아(+3.78%), TSMC(+5.03%), 브로드컴(+1.30%), ASML(+2.76%) 등이 상승. 특히, TSMC는 모건스탠리가 '탑픽(Top Pick)'으로 선정하고 주식에 대한 비중확대 의견을 유지한 가운데 큰 폭으로 상승.

▷이 같은 소식 속 삼성전자, 워트, 리노공업, 제우스, 코세스, 오로스테크놀로지, 유진테크 등 반도체 관련주가 상승.
동해 석유·가스전 관련주정부, 대왕고래 프로젝트 탐사 시추 관련 물리검층 단계 돌입 소식 등에 상승
▷일부 언론에 따르면, 정부가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사업 '대왕고래 프로젝트' 탐사 시추를 위한 물리검층 단계에 돌입했다고 전해짐. 한국석유공사는 지난달 동해 8·6-1 광구 북부지역 대왕고래-1 탐사시추를 위한 물리검층 용역 계약을 체결했음. 물리검층은 본격적인 탐사시추 전 석유부존 여부와 자원량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는 작업으로 정부는 경쟁입찰을 통해 외국계 기업과 물리검층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짐.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번 대왕고래 프로젝트의 최소 탐사자원량은 35억 배럴로 이는 실제 회수될 것으로 기대되는 양이 35억 배럴 이상일 확률이 90% 이상이라는 뜻임. 또한, 최대 탐사자원량인 140억 배럴 이상일 확률은 10% 이상이며, 50% 확률에 해당하는 최적 탐사자원량은 74억 배럴로 파악됐음. 정부는 연말부터 시추 작업에 돌입할 예정으로 석유공사 측은 "시추작업 중 물리검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시추비용을 고려하면 크지 않을 수 있다"면서도 "석유 부존여부를 확인하고 석유가 존재할 경우 그 매장량을 알아내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화성밸브, 디케이락, 하이스틸, 동양철관, SK오션플랜트, 한선엔지니어링 등 남-북-러 가스관사업, 피팅(관이음쇠)/밸브/조선기자재, 에스아이리소스, 한국가스공사, GS글로벌, 포스코인터내셔널 등 자원개발/셰일가스(Shale Gas), 넥스틸, DSR제강, 대호특수강, 금강공업, 대한제강 등 철강 주요종목/중소형 테마가 상승.
우크라이나 재건/ 건설기계/ 모듈러주택유럽연합(EU), 75조원 규모 우크라이나 재건 금융지원 개시 소식 등에 상승
▷언론에 따르면, 유럽연합(EU)은 6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의 경제안정화와 재건을 돕기 위한 금융지원을 본격 개시하기로 했음. EU 27개국을 대표하는 이사회는 보도자료에서 전체 500억 유로(약 75조원) 가운데 42억 유로(약 6조원) 지급을 승인했다고 밝힘. '우크라이나 기금'으로 불리는 이번 금융지원 패키지는 2027년까지 3년간 대출과 보조금 형태로 500억 유로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우크라이나의 재건·현대화를 돕고 연금·급여 지급, 공공서비스 제공 등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해 우크라이나가 전쟁에 계속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임.

▷이 같은 소식 속 에스와이스틸텍, 현대에버다임, 다스코, 동일고무벨트, 대모, 희림, 코오롱글로벌 등 우크라이나 재건/건설기계/모듈러주택 테마가 상승.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5.14 15:30
삼성전자 57,400 500 +0.88%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4 19:16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