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걸 주로 샀구나”...40대 직구족 구매상품 살펴보니
이진한 기자(mystic2j@mk.co.kr)
입력 : 2023.03.01 07:52:21
입력 : 2023.03.01 07:52:21
해외직구 건수·구매금액 역대 최고
지난해 처음 남성이 여성 구매 넘겨
주문 건수는 40대 남성이 최다지만
금액 기준으로는 30대 여성이 1위
최근 2년간 동남아 국가 직구 늘어
지난해 처음 남성이 여성 구매 넘겨
주문 건수는 40대 남성이 최다지만
금액 기준으로는 30대 여성이 1위
최근 2년간 동남아 국가 직구 늘어
![](https://wimg.mk.co.kr/news/cms/202303/01/news-p.v1.20230228.320e39d002c749159d06b1d148019c33_P1.jpg)
지난해 ‘해외직구(직접 구매)’ 규모가 47억달러를 넘어서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구매건수 기준으로 40대 남성들이 해외직구를 가장 많이 이용했고, 구매금액은 30대 여성이 1위였다.
28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해외직구 규모는 1년 전보다 1.4% 늘어난 47억2500만달러로 집계됐다. 건수는 8.8% 증가한 9612만건에 달했다. 해외직구 건수와 금액 모두 역대 최대치다. 다만 금액 증가율은 원화가치 하락 영향으로 2021년 24.1%보다는 크게 둔화됐다. 구매 건수 증가율도 2021년 39%보다 낮아졌다. 조한진 관세청 전자상거래통관과장은 “올해에는 사상 처음으로 해외직구 건수가 1억건, 금액은 50억달러를 각각 넘어설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국가별로 보면 중국으로부터의 해외직구 금액이 17억1200만달러(비중 36.2%)로 가장 많았다. 중국발 해외직구 점유율(금액 기준)은 지난해 처음으로 1위에 올라섰다. 건수 기준으로는 2020년부터 1위 자리를 지켜오고 있다. 지난해 중국발 해외직구 건수는 5541만건으로 전체 해외직구의 57.7%를 차지했다. 다만 품목당 구매단가는 미국(51달러)이 중국(29달러))보다 1.8배 높았다. 또 최근 2년새 동남아 국가(태국·싱가포르·베트남·말레이시아 등)를 대상으로 한 해외직구 건수가 118%, 금액도 148%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성의 구매가 4840만건으로 52.1%를 차지했다. 남성의 구매 건수가 여성 건수(4453만건)를 넘어선 것은 집계 이후 지난해가 처음이다. 남성의 주요 구매 품목은 △가전제품(21%) △건강식품(15%) △의류(10%) △기타식품(6%) 순으로 집계됐다. 여성은 △건강식품(19%) △의류(14%) △기타식품(12%) △화장품·향수(7%) 순으로 구매가 많았다.
조 과장은 “남성의 패션용품 구매 건수가 22.3% 증가하는 등 패션에 대한 남성들 관심이 높아진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령대별로는 40대 구매가 2972만건(32.0%)으로 가장 많았다. 30대(2748만건·29.6%), 50대 이상(2102만건·22.6%), 20대(1354만건·14.6%) 순이었다. 연령과 성별을 종합해 해외직구가 가장 애용하는 집단은 40대 남성(1620만건)이지만, 금액 기준으로는 30대 여성(7억7300만달러)이 앞섰다. 40대 남성은 가전제품과 건강식품, 30대 여성은 건강식품과 의류를 주로 샀다.
해외직구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환율 변화에 민감했다. 조 과장은 “환율이 비교적 안정적이던 작년 상반기에 해외직구 건수가 전년 동기보다 13% 가량 증가했지만, 환율이 상승(원화값 하락)했던 하반기에는 약 5% 증가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캐나다 총리 "트럼프, 진짜로 캐나다 51번째주 합병 원해"
-
2
[속보] 트럼프 "다수 국가 상호 관세 부과, 10~11일께 회의 후 발표"
-
3
日총리 "트럼프와 북한 완전한 비핵화 위해 협력하기로"
-
4
우버, 헤지펀드의 지분매입 소식에 주가 급등…장중 8%대↑
-
5
아마존, 연례 보고서에서 '다양성·포용성' 언급 삭제
-
6
IMF 이어 '초인플레 해결' 前장관도 아르헨 환율정책 수정 주장
-
7
[뉴욕유가] 트럼프 '상호관세'에 상승분 대거 반납…WTI 0.55%↑
-
8
美연준인사 "美노동시장 건강…트럼프 정책에 상당한 불확실성"
-
9
[뉴욕증시-1보] 인플레·상호 관세 원투 펀치에 '휘청'…동반 하락
-
10
주유소 휘발윳값 17주만에 소폭 하락…"다음주도 내릴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