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촉발시킨 가상자산 시장의 첫번째 리스크 [엠블록레터]
김용영 엠블록컴퍼니 기자(yykim@m-block.io)
입력 : 2025.02.13 10:25:49
입력 : 2025.02.13 10:25:49
![](https://wimg.mk.co.kr/news/cms/202502/13/news-p.v1.20250213.1ed856c3384e4bdb99ef9207fd1b0076_P1.png)
[엠블록레터]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취임한지 약 20일이 지났습니다. 한달도 되지 않았지만 다수의 행정명령과 여러 발언들로 대통령이 된 지 한 6개월은 되어 보이네요.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취임 직전부터 이후 행정명령까지 시끌시끌한 일들이 많았습니다.
그러나 첫 손에 꼽을 사건이라면 역시 밈 코인 발행이겠죠. 취임 직전 발행한 오피셜 트럼프, 멜라니아 밈 코인은 가상자산 시장을 직격했고 바이낸스, 코인베이스에 이어 국내 거래소인 빗썸, 코인원까지 바로 상장됐습니다. 미국에서는 트럼프 코인을 사기 위해 밈 코인 발행 플랫폼이자 탈중앙화 거래소인 문샷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급증했구요. 하지만 오피셜 트럼프 코인은 최고 74.5달러까지 올랐다가 최근 5분의 1토막인 14.8달러까지 급락했습니다. 반면 코인 발행 주체는 보유 코인 매도에 거래 수수료까지 약 8억달러, 한화로 1조원을 훌쩍 넘기는 수익을 올린 것으로 조사되고 있구요.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시킨 가상자산 시장의 첫번째 리스크로 분류할 만 합니다. 엠블록레터에서는 지금까지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이 가상자산 시장에 미칠 영향 중 긍정적인 부분을 많이 조망했는데요. 부정적인 부분도 하나씩 짚어보려고 합니다. 이번 첫번째 리스크는 바로 신뢰도 저하입니다.
발행해놓고 나몰라라...밈 코인 신뢰 저하 야기
![](https://wimg.mk.co.kr/news/cms/202502/13/news-p.v1.20250213.444818034c764300b4abff89301a5095_P1.jpg)
트럼프 대통령은 1월 17일 취임 전 솔라나 블록체인에서 오피셜 트럼프($TRUMP) 밈 코인을 발행했습니다. 총 발행량은 10억개로 이 중 80%는 트럼프 그룹의 계열사가 보유하고 나머지 20%가 시장에 유통됐습니다. 출시 직후 코인 가격은 7달러에서 시작하여 하루 만에 75달러까지 급등했고 시가총액은 한때 150억 달러를 넘어섰습니다. 이어 19일 멜라니아 여사가 자신의 이름을 딴 멜라니아($MELANIA) 코인을 출시했습니다. 이 코인 역시 초기 급등 후 큰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밈 코인의 시초는 도지코인이지만 최근 등장하는 밈 코인 발행, 유통 사례를 정립한 것은 사실 솔라나의 봉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과거 발행한 ‘트럼프와 밈이 만나니 솔라나가 뜨네’ 레터에서 정리한 것처럼 봉크는 2022년 FTX 사태로 직격탄을 맞은 솔라나의 생태계를 부활시킨 일등공신입니다. 솔라나의 생태계를 부활시키겠다는 발행 주체의 목표에 적극적으로 동의하면서 그에 대한 지지를 투자 내지는 보유로 보내고 이렇게 확보한 자금을 발판으로 생태계 활성화에 발벗고 나서는 일련의 과정을 봉크는 보여준 바 있습니다. 그리고 이에 힘입어 솔라나가 2023년부터 부활에 성공한 것이기도 하구요.
봉크를 통해 정립된 밈 코인의 성공 방정식에는 발행 주체에 대한 흔들리지 않는 믿음, 그리고 그 믿음에 보답하는 활동 또는 기여가 있습니다. 아무런 보상심리 없이 그저 ‘돈’으로 지지를 보내는 만큼 그에 걸맞는 만족감 제공이 있어야겠죠. 이 연결고리가 깨진다면 밈 코인 생태계 전체가 흔들리게 됩니다. 일각에서는 그냥 재미로 만든 것이다, 재미로 사고 파는 것이다라고 얘기를 하지만 그 근저에는 발행 또는 지지 주체가 목적에 부합하는 활동을 해줬으면 하는 일치된 소망이 담겨 있는 것이죠. 이것이 바로 일명 문화 유전자라고 불리는 ‘밈’이라는 단어가 붙은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오피셜 트럼프, 멜라니아 코인은 이에 부합할까요? 안타깝게도 그렇지 않아 보입니다. 밈 코인을 발행했다는 것은 적어도 가상자산 시장 또는 가상자산 투자자들이 희망하는 것을 수행하거나 매진하는 모습을 보여줘야 하는데요. 대통령이라는 공직을 수행하면서 이를 구체적으로 수행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이해 상충의 여지가 크거든요. 이미 다수의 해외 언론에서 윤리적 문제까지 함께 거론하면서 경고의 메시지를 내고 있습니다.
가상자산 트렌드 이끌던 밈 코인의 부작용 부각 계기
![](https://wimg.mk.co.kr/news/cms/202502/13/news-p.v1.20250213.bf2a3ce3bc2d48c9a94e4da104e92c17_P1.jpg)
특히 발행 주체측에서 막대한 이익을 챙긴 것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큽니다. 코인베이스의 한 임원은 오피셜 트럼프 발행 팀이 거래소에 약 4억8200만 달러의 가상자산을 입금했으며 이 중 절반이 넘는 2억9000만 달러 어치를 현금화했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에 거래 수수료 수익도 3000만달러 가까운 것으로 집계됩니다. 이 자금으로 발행 팀이 무엇을 할지는 아직 명시되지 않았습니다. 차라리 정치 기부라면 모르겠지만 이렇게 벌어들인 자금은 기부금도 아니기 때문에 트럼프 일가의 사적 이익을 위해 써도 제제할 수 있는 수단이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같은 결과는 앞서 밝혔던 밈 코인의 두가지 조건, 조건 없는 지지와 보상 없는 헌신간의 연결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보상 없는 헌신이 유전자처럼 승계되지 않는다면 조건 없는 지지도 없을 것이며 ‘밈’이라는 정의에도 부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오피셜 트럼프, 멜라니아 사례는 그동안 위태위태하게 버텨왔던 밈 코인 트렌드에서 단점만을 부각시켰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동안은 여러 사기 사례에도 불구하고 믿음으로 버텨왔던 밈 코인 생태계에서 약속 또는 계약이 없는 컨센서스가 얼마나 허망한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일심동체가 순식간에 동상이몽이 된 셈이죠.
현재 오피셜 트럼프, 멜라니아 코인의 가격 하락은 전체 가상자산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최고 시가총액 150억달러에 달했던 코인이 한달도 되지 않아 5분의 1토막이 나면서 120억달러에 달하는 자본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체 가상자산 시장의 유동성에도 일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입니다. 1월 하순에 가상자산 시장에 신규 자본이 대거 유입됐지만 그 효과가 현재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기 때문입니다. 이번 사태로 야기된 밈 코인 생태계의 신뢰도 저하, 가상자산 시황을 살펴보는 데 꼭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 엠블록 파트너 소식]
• 11일 위메이드가 스포츠 게임 ‘골프 슈퍼 크루’를 170여개 국에 정식 출시했습니다.‘골프 슈퍼 크루’는 상대의 턴을 기다릴 필요 없이 모든 사용자가 동시에 경기를 진행 가능한 게임으로 경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토크노믹스가 마련되어 재미를 더했습니다. ‘골든 클래시’, ‘샷 챌린지’등에서 승리하거나 상위권으로 오를 경우 보상으로 유틸리티 토큰 ‘ACE Token’을 민팅해 추후 오픈 예정인 NFT 상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창립 25주년을 맞은 위메이드는 새로운 기업 철학으로 두려움 없이 과감하게 도전한다는 ‘위 데어(We Dare)’를 선포하고 게임, 블록체인, AI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해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 밝혔습니다.
• 업비트 NFT가 한국 근현대사를 대표하는 이중섭, 김환기, 이우환 화백의 작품을 실물 연계 NFT로 선보입니다. 이들은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가 발표한 2024 국내 미술품경매 낙찰가격 30위 가운데 상위권에 포함된 대표적인 거장들로 미술 시장에서 꾸준히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번 실물 연계 NFT 드롭스는 업비트 NFT 플랫폼에서 경매 입찰 진행 후 낙찰자에게 해당 NFT의 원본 실물 작품 및 작품 보증서를 전달합니다.
• 11일 위메이드가 스포츠 게임 ‘골프 슈퍼 크루’를 170여개 국에 정식 출시했습니다.‘골프 슈퍼 크루’는 상대의 턴을 기다릴 필요 없이 모든 사용자가 동시에 경기를 진행 가능한 게임으로 경쟁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토크노믹스가 마련되어 재미를 더했습니다. ‘골든 클래시’, ‘샷 챌린지’등에서 승리하거나 상위권으로 오를 경우 보상으로 유틸리티 토큰 ‘ACE Token’을 민팅해 추후 오픈 예정인 NFT 상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창립 25주년을 맞은 위메이드는 새로운 기업 철학으로 두려움 없이 과감하게 도전한다는 ‘위 데어(We Dare)’를 선포하고 게임, 블록체인, AI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해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라 밝혔습니다.
• 업비트 NFT가 한국 근현대사를 대표하는 이중섭, 김환기, 이우환 화백의 작품을 실물 연계 NFT로 선보입니다. 이들은 한국미술시가감정협회가 발표한 2024 국내 미술품경매 낙찰가격 30위 가운데 상위권에 포함된 대표적인 거장들로 미술 시장에서 꾸준히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번 실물 연계 NFT 드롭스는 업비트 NFT 플랫폼에서 경매 입찰 진행 후 낙찰자에게 해당 NFT의 원본 실물 작품 및 작품 보증서를 전달합니다.
김용영 엠블록 에디터(yykim@m-block.io), 전성아 엠블록 연구원(jeon.seonga@m-block.io)
![](https://wimg.mk.co.kr/news/cms/202502/13/news-p.v1.20250213.91175ba0014a4c1bb5401974ae878d6d_P1.png)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