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 역량 강화 방안에 전문가들 "인재유출 막을 지원 절실"
김주환
입력 : 2025.02.20 15:59:03
입력 : 2025.02.20 15:59:03

(서울=연합뉴스) 홍해인 기자 = 이경우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지원단장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부처 관계자들이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3차 국가인공지능위원회 브리핑을 하고 있다.2025.2.20 hihong@yna.co.kr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김현수 기자 = 정부가 20일 발표한 인공지능(AI) 역량 강화 방안과 관련해 전문가들은 고급 인재의 해외 유출을 막을 지원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국가인공지능위원회는 이날 'AI컴퓨팅 인프라 확충을 통한 국가 AI역량 강화 방안'을 발표하고 차세대 AI 모델 개발, 인프라 확충, 산업의 AI 전환 가속화 등을 통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국내의 AI 분야 전문가들이 해외 기업으로 유출되는 상황 해결이 급선무라고 밝혔다.
고삼석 동국대 AI융합대학 석좌교수는 "그동안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AI 인력 양성 정책을 펼쳐온 점은 긍정적이지만, 현재의 AI 발전 속도에 비하면 부족하다"며 "국내 인재들도 해외로 떠나는데, 미국이나 인도 같은 IT 강국에서 우수 인력이 한국에 합류하겠느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내의 고급 인력이 해외로 유출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고, 기업이 외국 우수 인재를 확보할 수 있게끔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지원책 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성민 가천대 경영학부 교수는 "AI 연구와 개발은 스타트업 출신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는데, 세제 혜택도 도움이 되겠지만 유망한 벤처 인재를 발굴해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현재와 같은 '종합선물세트' 식 대책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스타트업들이 규제 걱정 없이 자유롭게 AI를 활용한 실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익명을 요구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그간 정부의 신산업 분야 진흥책을 보면 항상 규제적 관점에서의 후속 조치가 뒤따랐는데, 규제보다 진흥을 앞세운 미국이나 중국이 AI를 주도하고 있고 반대로 규제를 앞세운 유럽연합(EU) 국가들이 고전하는 점을 보면 한국도 선발 국가를 빠르게 따라잡기 위한 전략적 진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jujuk@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속보]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계약 서명 중지 결정" < 로이터>
-
2
[속보]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계약 서명 중지 결정” < 로이터>
-
3
대만 달러 급등에…덩달아 치솟은 역외 원화값
-
4
“50·60대 정치인이 청년의 삶 알겠나”...청년예산 잘 쓰려면 젊은 컨트롤타워 절실
-
5
"통관 서류에 낮은 금액 써서…" 中업체, 대미 수출에 관세 꼼수
-
6
서울 시내버스 7일 첫차부터 준법운행 재개…시, 특별교통대책(종합)
-
7
'26조원' 체코 원전 7일 본계약 체결무산될 듯
-
8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계약 서명 하루전 중지 명령
-
9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계약 서명 하루전 중지 명령(종합)
-
10
체코 법원, 한수원 원전 본계약 제동…7일 서명 연기될듯(종합2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