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이하 취업자들 "주35시간 근무 원해"
양세호(yang.seiho@mk.co.kr)
입력 : 2023.03.19 17:29:29 I 수정 : 2023.03.19 19:07:28
입력 : 2023.03.19 17:29:29 I 수정 : 2023.03.19 19:07:28
보건사회硏, 워라밸 조사
취업자 희망 근로시간이 주 40시간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9일 발표한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워라밸) 실태조사에 따르면 취업자 주간 희망 근무시간은 36.7시간으로 조사됐다. 근무 형태별로 보면 상용근로자는 37.6시간을, 임시·일용 근로자는 32.36시간 근무를 희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10월 전국 만 19~59세 2만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실시됐다.
희망 근무시간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줄었다. 20대 이하(19~29세)는 34.9시간, 30대는 36.3시간이지만 40대는 37.1시간, 50대는 37.9시간에 달했다. 미혼자는 35.4시간으로 37.5시간인 기혼자보다 짧았다.
취업자가 실제 근무하는 시간은 41시간으로 집계됐다. 식사 시간을 포함한 하루 휴게시간은 평균 64.4분이며 이에 대해 응답자의 40.1%는 '부족하다'고 답했다. 휴게시간은 임시·일용 근로자(61.2분), 판매·서비스 종사자(60.5분), 보건업 및 사회복지·교육 서비스업 분야(59분) 등이 짧은 편이었다.
[양세호 기자]
취업자 희망 근로시간이 주 40시간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19일 발표한 2022년 전국 일·생활 균형(워라밸) 실태조사에 따르면 취업자 주간 희망 근무시간은 36.7시간으로 조사됐다. 근무 형태별로 보면 상용근로자는 37.6시간을, 임시·일용 근로자는 32.36시간 근무를 희망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10월 전국 만 19~59세 2만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실시됐다.
희망 근무시간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줄었다. 20대 이하(19~29세)는 34.9시간, 30대는 36.3시간이지만 40대는 37.1시간, 50대는 37.9시간에 달했다. 미혼자는 35.4시간으로 37.5시간인 기혼자보다 짧았다.
취업자가 실제 근무하는 시간은 41시간으로 집계됐다. 식사 시간을 포함한 하루 휴게시간은 평균 64.4분이며 이에 대해 응답자의 40.1%는 '부족하다'고 답했다. 휴게시간은 임시·일용 근로자(61.2분), 판매·서비스 종사자(60.5분), 보건업 및 사회복지·교육 서비스업 분야(59분) 등이 짧은 편이었다.
[양세호 기자]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트럼프가 용납할까”...계엄에 묶였던 ‘이 법’ 패스트트랙 검토한다는데
-
2
KT, 3~5년 주기로 협력사 재구성…"투명한 거래 강화"
-
3
창원 농수특산물 통합브랜드 '창에그린' 유통망 확대한다
-
4
수돗물 혜택 못보는 광주 자연마을 11곳 한파에 지하수도 얼어
-
5
화성시, 동탄역 인근에 복합 컨벤션센터 건립 추진
-
6
연금계좌 혜택 축소 논란? 한화운용 ‘PLUS 고배당주’는 ‘과세 무풍지대’
-
7
제22서경호 실종자 7명 중 1명 의식 불명 상태로 발견
-
8
외국인 관광객 유치 목표 300만명…부산시, 활성화 지원
-
9
딥시크 훈풍에 ··· 여기 투자했더니 1주일 수익률 15% ‘대박’
-
10
IT 방산 스타트업 안두릴 기업가치 40조로 치솟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