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잡고 상처 회복까지…KIST, 다기능 펩타이드 개발
조승한
입력 : 2025.04.17 14:17:00
입력 : 2025.04.17 14:17:00

[KIST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조승한 기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재료연구센터 한형섭 책임연구원, 천연물시스템생물연구센터 송대근 선임연구원, 도핑컨트롤센터 권오승 전문연구위원 공동연구팀이 천연물에서 찾은 펩타이드를 기반으로 항바이러스와 조직 재생 기능을 동시에 갖춘 치료 물질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펩타이드는 단백질의 기본 단위인 아미노산 2~50개로 이뤄진 물질로 단백질보다 작아 체내 침투 등이 유리해 새로운 약물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비만약 '위고비' 등 펩타이드 신약 성공 사례가 이어지는 가운데, 특히 천연 단백질이 체내에서 분해되며 생성되는 '펩타이드 대사체'가 여러 기능을 갖추면서도 안정적인 신약후보 물질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체내에서 상처 치유 및 혈관 재생 등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단백질 '티모신 베타(β)4'에 주목해 펩타이드 대사체를 찾은 결과 조직 재생을 유도하는 물질 'Ac-Tβ1-17'을 발견했다.
이 물질은 혈관세포 활용 실험에서 세포 성장과 상처 치유, 혈관 생성, 유해산소 제거 등 몸 회복에 필요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효과가 확인됐다.
여기에 더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단백질 분해 효소 활성을 85% 이상 억제하는 등 항바이러스 효과도 있는 물질임을 연구팀은 확인했다.

[KIST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이 대사체를 치료에 활용하기 위해 지지체 형태로 담는 기술도 개발했다.
지지체는 세포가 자라나거나 손상된 조직을 회복할 때 발판이 되는 구조물로, 새로 발견한 펩타이드를 담은 지지체는 세포가 잘 부착되고 혈관도 잘 형성되는 조직 재생유도 효과가 확인됐다.
한 책임연구원은 "단백질 대사체가 신약뿐만 아니라 조직 재생을 위한 바이오 소재로도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향후 다양한 생체 응용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 19일 국제학술지 '바이오액티브 머터리얼스'에 실렸다.
shjo@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뉴욕유가] 사우디 원유 수출가 전격 인상에 상승…WTI 1.4%↑
-
2
美전문가 "트럼프 서한, 車 관세 완화는 어렵다는 입장 시사"
-
3
'엔비디아 투자' 코어위브, 비트코인 채굴 기업 인수
-
4
'관세 위협' 트럼프에 맞서는 브릭스…"황제 필요 없다"(종합)
-
5
정부, '트럼프 서한'에 "8월1일까지 관세 유예된 것…협상 박차"
-
6
트럼프, 韓고위급 방미 중 관세서한…한미 '3주 끝판협상' 총력
-
7
[전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에 보낸 서한
-
8
삼성전자, 오늘 2분기 잠정실적 발표…반도체 부진 지속
-
9
[2보]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부과 통보 서한 발송에 하락…다우 0.9%↓
-
10
[1보]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서한 발송에 하락…다우 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