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 MBK 청문회 촉구하는 민주…정부조사 기다리자는 국힘
곽은산 기자(kwak.eunsan@mk.co.kr)
입력 : 2025.04.26 19:38:40
입력 : 2025.04.26 19:38:40
민주 “MBK 무책임 국회가 확인”
국힘 “조사 마무리된 뒤 개최”
공정위, 납품업체 정산피해 관찰
국힘 “조사 마무리된 뒤 개최”
공정위, 납품업체 정산피해 관찰

더불어민주당이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MBK 청문회를 개최하자고 촉구하는 가운데 국민의힘은 정부 조사가 마무리된 뒤 대책을 마련하자며 이를 미루고 있다. 정치권이 대선정국에 접어들면서 양당이 합의했던 청문회는 개최 일정이 불투명한 상황이다.
사모펀드 운용사인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최대주주로 주식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2015년 테스코로부터 7조2000억원을 들여 홈플러스를 인수했지만 지난달 법원에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하면서 사태가 불거졌다. 일부 업체들의 납품이 중단됐고 직원들 사이에서는 폐점과 해고에 대한 불안이 커졌다.
을지로위원장인 민병덕 민주당 의원은 최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홈플러스가 ‘홈마이너스’가 됐다. 기업회생이라는 이름 뒤에 숨은 MBK의 무책임을 국회가 직접 확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청문회 개최를 촉구했다.
민 의원은 “홈플러스 진열대는 정산 불안으로 납품이 끊겨 팔지도 못할 물건들로 ‘땜빵’만 돼 있었고, 서울우유조차 빠진 우유 매대는 지금의 사태를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었다”며 “자영업자와 노동자분들이 원하는 건 단 하나다. 물건이 제때 납품되고, 장사가 잘 되고, 손님이 다시 돌아오는 평범한 일상”이라고 말했다.
양당 의원들은 지난달 정무위원회 긴급현안질의에서 MBK 청문회를 열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민주당에 따르면 국민의힘은 이후 당 지도부의 반대로 입장을 선회했다.
국민의힘은 “금융감독원의 조사가 진행 중이기 때문에 조사가 일단 끝나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조사가 미흡할 경우 청문회를 곧바로 개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추가경정예산안과 관련한 예산 상임위원회가 열릴 때 현안질의를 하는 방안도 거론된다.
금감원은 이달까지 홈플러스 사태와 관련해 조사 인력 등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금감원은 홈플러스와 MBK가 신용등급 하락을 사전에 인지한 점, 상당 기간 전부터 기업회생을 준비했다는 증거를 확보했다며 관련자들을 검찰에 통보한 상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홈플러스의 납품업체 정산 및 소비자 상품권 사용에서 피해가 발생하는지를 들여다보고 있다. 공정위는 지난 1월 납품된 상품의 대금 지급에서 문제가 불거질 수 있다고 보고, 해당 대금의 법정 기한인 이달을 집중 관찰기간으로 삼고 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