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필요없다, 개혁안은 최악”...청년들 분노 이 정도일줄이야
강인선 기자(rkddls44@mk.co.kr)
입력 : 2025.04.28 15:13:56 I 수정 : 2025.04.28 15:45:38
입력 : 2025.04.28 15:13:56 I 수정 : 2025.04.28 15:45:38
윤영석 연금특위 위원장, 청년들과 간담회
대학생 94% “국민연금 개혁안 부정적”
“연금개혁 공식 논의기구에 20·30 적극 위촉”
대학생 94% “국민연금 개혁안 부정적”
“연금개혁 공식 논의기구에 20·30 적극 위촉”

이번 간담회는 최근 국회에서 통과된 연금개혁안에 대해 청년 당사자의 목소리를 듣고, 연금개혁 과정에서 청년이 직접 참여하는 논의 기구를 구성하고자 마련됐다. 윤 위원장은 “청년세대가 연금개혁 논의의 주변부가 아닌, 핵심 당사자로서 직접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이번 소통의 자리를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간담회는 윤 위원장이 주관해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와 전국 대학 총학생회 연합단체인 연금개혁 총학생회 공동포럼이 공동 주최했다. 건국대·고려대·서강대·서울대·연세대·전남대·한국외대·DGIST·GIST·KAIST·KENTECH·UNIST(가나다 순) 총 12개 대학의 총학생회 대표자 및 공동포럼 사무처 관계자 등 총 17명이 참석했다. 학생 대표들은 청년세대의 목소리를 국회에 전달하고, 연금개혁에 대한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연금개혁 총학생회 공동포럼은 전국 대학생 약 14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5 국민연금 전국 대학생 설문조사’ 결과를 국회에 직접 전달했다. 설문조사에 따르면 94.6%의 응답자가 국회의 연금개혁안에 ‘부정적’이라고 답했다. 60%는 ‘연금기금 운용을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으며, 39.5%는 ‘국민연금제도 자체가 필요 없다’고 응답했다. 공동포럼은 “이러한 결과가 청년세대의 연금제도 전반에 대한 불신과 우려가 매우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간담회에서는 ▲청년세대를 위한 연금개혁 방안, ▲연금 재정 안정화를 위한 자동안정장치 마련 방안, ▲연금제도의 세대 간 형평성 제고 방안 등 의견수렴이 이뤄졌다. 청년세대의 현실과 미래 전망을 반영한 연금개혁의 방향을 비롯해, 연금기금 고갈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보험료 부담 구조, 수급 체계 내 세대 간 형평성 문제 등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됐다는 설명이다.
윤 위원장은 “저출산·고령화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청년세대의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이 심각하다”며 “청년세대가 결과를 일방적으로 수용하는 대상이 아니라 연금개혁 설계의 동반자로 나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국회 연금특위 민간 자문위원단 등 연금개혁 공식 논의기구에 20·30 청년세대를 적극 위촉해 실질적 참여를 보장해 청년세대 대표성을 확보하겠다”라고 덧붙였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세이브존I&C, 25년1분기 별도 영업이익 14.15억원
-
2
증시요약(1) - 코스피 마감시황
-
3
HD현대중공업, 임원ㆍ주요주주 특정증권등 소유주식수 변동
-
4
세계2위 수처리사업 매각 LG화학 자금조달 숨통
-
5
[단독] 산은, 25년 품은 한화오션 지분 매각한다…K조선 호황에 투자금 회수
-
6
증시요약(9) - 기술적 분석 특징주 A(코스닥)
-
7
AI 덕에 … LG CNS 영업익 144% 급증
-
8
증시요약(10) - 기술적 분석 특징주 B(코스닥)
-
9
트럼프家 가상화폐 프로젝트 손실만 428만달러 '시원찮네'
-
10
트럼프가 택한 코인 '와르르' 가상자산 시총 720조원 증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