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쟁이가 ‘강남 30평 아파트’ 사려면…한 푼도 안 쓰고 ‘74년’

한수진 매경닷컴 기자(han.sujin@mk.co.kr)

입력 : 2025.04.28 19:54:10
경실련, 서울아파트 시세분석 발표
2022년 5월~2025년 4월 3년간
경기도 11%, 광역시 13% 하락


28일 서울 종로구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 임기 중 서울 아파트 시세 분석 발표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평균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강남의 84㎡(30평형) 집 한 채를 마련하는 데 74년이 걸린다는 시민단체의 조사결과가 발표됐다. 윤석열 정부 들어 서울 강남 아파트만 집값이 올라 다른 지역과의 격차가 더 커졌다는 지적도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28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022년 5월부터 이달까지 윤석열 정부 3년간 서울아파트의 시세를 분석해 발표했다.

경실련은 서울 아파트 가격의 경우 1000세대 내외 대단지 아파트를 구별로 4개씩 선정해 총 100개 단지를 대상으로 분석했다. 또 ‘국민 평형’으로 불리는 30평형의 아파트를 가정해 평균 평당가격에 30을 곱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산출했다.

경실련이 KB부동산 시세정보와 자체조사 등으로 이 기간 아파트 시세를 분석한 결과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 3구의 아파트 가격은 2022년 5월 26억2000만원에서 이달 30억9000만원으로 약 18% 상승했다.

같은 기간 서울지역 비강남권의 아파트는 11억6000만원에서 10억7000만원으로 약 7% 하락했다. 2022년 5월에는 강남 아파트가 비강남 아파트보다 약 2.3배 비쌌는데, 이달 들어 격차가 2.9배로 벌어진 것이다.

또 KB부동산에 따르면 2022년 5월에는 전국 평균 아파트 매매가가 5억6000만원이었으나 지난달에는 5억2000만원으로 8%가량 떨어졌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6억2000만원에서 5억5000만원으로 11%, 광역시 5곳은 4억1000만원에서 3억6000만원으로 13%가 줄어드는 등 대부분 지역 집값이 10% 넘게 하락했는데, 전국 평균 하락률이 8%에 그친 것은 서울 집값의 영향이라고 경실련은 분석했다.

또 경실련은 통계청의 노동자 평균임금 자료를 활용해 아파트 매입까지 걸리는 기간도 산출했다.

이달 기준 평균 임금을 받는 노동자가 강남의 30평 아파트를 매입하려면 74년간 한 푼도 쓰지 않고 꼬박 모아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4.28 23:23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