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진화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영장류 중 하나인 야생 침팬지들도 어미와 새끼 사이에 사람과 유사한 패턴의 모자간 애착 관계를 형성한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야생 어미 침팬지 새끼 '조르트'(Xort)에게 젖을 먹이는 어미 침팬지 '셀라'(Xela).연구팀은 야생 침팬지 관찰 연구에서 어미와 새끼 사이에서 인간 모자 관계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유형의 애착 관계가 형성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다고 밝혔다.[Liran Samuni, Tai Chimpanzee Project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독일 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 엘레오노어 롤란드 박사팀은 13일 과학 저널 네이처 인간 행동(Nature Human Behaviour)에서 아프리카 야생 침팬지 어미-새끼 50쌍을 관찰, 인간에게서 나타나는 안정 애착(Secure attachment)과 불안정-회피 애착(Insecure-avoidant attachment) 등 애착 유형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애착 이론(Attachment theory)은 유아-보호자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처음 개발됐으며 인생 초기의 유대 경험(bonding experience)이 심리적 발달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설명한다.
구조화되고 일관된 유대는 조직화 애착(organised attachment)으로 간주할 수 있는 반면 혼란 애착(disorganised attachment)은 보호자의 행동이 무작위적이거나 유아가 보호자를 두려워하는 것 같은 상황에서 발생한다.
연구팀은 혼란 애착은 다양한 문화권에 걸쳐 유아 중 약 23%에서 관찰된다며 애착 이론은 현대의 양육 방식에 영향을 미처 왔지만, 야생 영장류의 이런 행동에 대해서는 알려진 게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쌍둥이를 등에 업고 가는 어미 침팬지 [Antoine Valet, Tai Chimpanzee Project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연구팀은 코트디부아르 타이 국립공원(Taï National Park)의 야생 침팬지 어미-새끼 50쌍의 행동을 4년간 3천795시간에 걸쳐 관찰한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들은 위협이 자신에게 직접 향하지 않는 상황에 반응하는 어린 침팬지 18마리의 행동에서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보호자를 찾는 행동 같은 안정 애착 및 불안정-회피 애착을 보여주는 행동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어린 침팬지들은 위협 상황에서 흐느끼며 어미에게 다가가는 경향을 보였고 이런 행동은 나이가 들수록 감소했다.
어미가 다가오든 않든 흐느끼는 행동은 점차 줄었으나 어미가 다가올 경우에는 모두 흐느낌을 멈췄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사람 아동의 23.5%, 사육되는 고아 침팬지의 61%에서 나타나는 혼란 애착 양상이 야생 침팬지에게서는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사람의 경우 혼란 애착은 아이가 보호자로부터 공포, 트라우마, 공격 등을 경험할 때 발생한다.
아이는 애정을 원하면서도 보호자를 두려워하는 혼란스러운 행동을 보이며, 이는 감정 조절이나 정신건강 문제 등을 초래할 수 있다.
연구팀이 공격이나 위협을 받는 상황에 대한 0~10살 침팬지 30마리의 반응을 관찰한 결과 새끼가 어미를 향해 공격적 행동을 하는 것 같은 혼란 애착 행동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롤란드 박사는 "혼란 애착이 발견되지 않는 것은 이런 애착 유형이 야생에서 생존 전략이 될 수 없을 것이라는 가설을 뒷받침한다"며 "이는 혼란 애착이 발생하더라도 그 개체는 생존하거나 번식할 가능성이 작았을 것임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로만 비티히 박사는 "이 연구 결과는 인류와 침팬지에서 나타나는 조직화 애착이 깊은 진화적 기원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며 "이 연구는 심리학과 동물행동학, 인류학을 연결해 애착 전략이 종에 따라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Human Behaviour, Eléonore Rolland et al., 'Evidence of organized but not disorganized attachment in wild Western chimpanzee offspring(Pan troglodytes veru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62-025-02176-8 scitech@yna.co.kr(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