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한국이 안 좋기는 한가보다”...험난한 2025년, 0%대 성장률 전망도 나와

이지안 기자(cup@mk.co.kr)

입력 : 2025.05.14 18:23:00
KDI, 상반기 경제 전망 발표

성장률 전망치 1.6→0.8%
美 관세 따른 교역 위축에
불과 석달 만에 절반으로


서울 종로 종각역 번화가인 젊음의거리 일대가 한산하다. [한주형 기자]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6%에서 0.8%로 대폭 끌어내렸다. 한국은행과 정부를 비롯한 국내외 기구가 제시한 전망치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으로 첫 0%대 성장률이다.

KDI는 14일 발표한 ‘2025 상반기 경제 전망’에서 건설업 부진과 미국의 관세 인상 등 통상 여건 악화로 올해 경제 성장률이 0.8%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2월 제시한 1.6%에서 불과 석 달 만에 절반으로 낮춘 수치다.

전망치를 대폭 낮춘 주된 배경은 미국의 관세 인상에 따른 글로벌 교역 위축이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이번 0.8%포인트 하향 조정 중 대외에서 발생한 충격(관세)에 따른 것이 약 0.5%포인트, 내부적으로 정국 불안이 잘 해소되지 않고 건설업 공사가 지연된 것이 0.3%포인트 정도로 산출됐다”고 설명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 김지연 전망총괄(왼쪽)이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상반기 KDI 경제전망 발표를 하고 있다. 오른쪽은 정규철 경제전망실장. [사진 = 연합뉴스]


특히 총수출 증가율은 지난해 7.0%에서 올해 0.3%로 급감할 전망이다. 상품 수출은 0.4% 뒷걸음질할 것으로 예상했다. 총수입은 0.8% 증가하면서 경상수지 흑자 규모는 지난해 990억달러에서 920억달러로 축소된다는 분석이다.

내수 상황도 녹록지 않다. 숙박·음식 등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민간 소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기업의 투자심리 악화도 겹쳤다. 건설투자는 올해도 감소세를 이어가며 전년 대비 4.2% 줄어들 것으로 KDI는 내다봤다.

KDI는 “미국이 높은 관세율을 유지하는 가운데 상대국들이 보복관세로 대응하며 통상분쟁이 격화하면 우리 경제 성장에도 추가적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15 00:01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