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 17조원어치 거래했는데 세금은 고작 2천억···다 어디갔지?

전종헌 매경닷컴 기자(cap@mk.co.kr)

입력 : 2023.10.02 16:00:16 I 수정 : 2023.10.03 22:29:06
[사진 제공 = 연합뉴스]
최근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뚜렷해진 가운데, 지난해에만 약 17조원 등 최근 3년간 금 거래 공급가액이 46조원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금 거래 대비 부가세 신고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성실납세 문화가 정착할 수 있도록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2014년 5조1669억원에 불과하던 연간 금 거래 공급가액이 매년 증가해 2020년 10조1028억원, 2021년 18조3566억원, 2022년 17조9573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3년간 총 46조4167억원 규모다.

이에 따른 부가가치세 징수 건수도 2014년 293건에서 2022년 1028건으로 증가했고, 징수세액도 같은 기간 273억원에서 1941억원으로 늘었지만 금 거래 공급가액 대비로는 낮은 수준이다.

[자료 제공 = 한병도 더불어민주당 의원]
2020년 이후 금 거래가 급증한 것은 코로나19 펜데믹과 급격한 금리 인상 등으로 안전자산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금 거래가 증가하면서 부가가치세 탈루도 부쩍 많아졌다. 국세청이 귀금속 소매업종의 현금영수증 발급의무 위반을 신고받아 포상금을 지급한 건수는 2014년 1997건에서 2022년 3128건으로 증가했다.

금값의 10%에 해당하는 부가세를 내고 사는 금을 ‘앞금’, 부가세 없이 음성적으로 거래되는 금을 ‘뒷금’이라고도 부른다. 통상 ‘앞금’ 보다 ‘뒷금’거래가 월등히 많은 금 시장은 대표적인 지하경제로 지목된다.

한 의원은 “최근 금 거래가 급증한 만큼 신고되지 않은 부가가치세 탈루가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과세당국은 귀금속 업계 중심으로 성실납세 문화가 정착할 수 있도록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세청 관계자는 “금 거래 공급가액이 징수세액에 비해 과도한 것처럼 보이는 것은 금 거래 사업자에게 적용되는 매입자 납부 특례제도 특성상 매출세액을 한도로 매입세액을 실시간 환급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면서도, “귀금속 업종의 현금영수증 발급 위반과 음성적 거래에 대해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09 17:15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