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대체 돈 얼마나 벌길래”…서울, 1인당 개인소득 6년연속 ‘1위’

류영욱 기자(ryu.youngwook@mk.co.kr)

입력 : 2023.12.22 20:57:07
통계청, 2022년 지역소득 발표
전국 1인당 평균 소득 2339만원
서울 2611만원...제주 2151만원
지역총소득, 전년보다 4.3% 늘어


서울 최저 기온이 영하 10도 아래로 떨어진 17일 서울 명동거리에서 시민 및 관광객들이 두꺼운 옷차림을 한 채 걸어가고 있다. 사진과 기사는 관련 없음. [사진 = 연합뉴스]


지난해 1인당 개인소득이 가장 높은 도시는 서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6년 연속 1위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경제 규모는 전국의 절반이 넘는 53%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통계청은 이같은 내용의 ‘2022년 지역소득’을 발표했다. 지난해 전국 1인당 평균 소득은 2339만원으로 조사됐다. 개인소득은 가계 총처분가능소득을 인구로 나눈 값이다.

지역별로 서울이 2611만원으로 17개 시도중 가장 높았다. 2017년 울산이 조선업 부진을 겪으면서 서울이 1위 자리를 빼앗은 후 6년째 1위를 고수하고 있다.

서울에 이어 울산(2607만원)과 대전(2422만원), 광주(2367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17개 시도중 전국 평균을 상회하는 도시는 광주까지 4개시 뿐이다. 개인소득이 가장 낮은 곳은 제주로 2151만원에 그쳤다.

2022년 지역별 1인당 개인소득 [사진 = 통계청]


작년 전국 지역총소득은 2197조원으로 전년보다 4.3% 늘었다. 지역총소득은 지역내 총생산에서 지역외로부터 들고나는 생산물을 뺀 값이다. 서울과 경기는 각각 53조원, 50조원 소득이 순유입됐고, 전남(-31조원)과 충남(-24조원)은 순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지역 경제는 코로나19 팬데믹의 역기저효과와 고금리의 영향으로 성장세가 다소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작년 전국 지역내 총생산 규모(명목)는 2166조원으로 전년보다 82조원 늘었다. 실질 성장률은 2.6%로 전년(4.2%)보다 감소했다.

전국 지역내총생산에서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52.5%로 절반을 넘겼다. 지난해 수도권지역 성장률은 3%인데 비해 비수도권은 2.2%에 그쳤다.

지난해 지역의 민간소비는 전년보다 4.3% 증가했는데, 17개 시도에서 모두에서 전년보다 늘었다. 오락·문화와 음식·숙박 등 일상으로의 복귀가 소비 확대 배경으로 풀이된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7.17 16:42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