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65% “재정 지속가능성 위험”
한상헌 기자(aries@mk.co.kr)
입력 : 2024.06.12 17:26:06
입력 : 2024.06.12 17:26:06
조세재정연구원, 재정인식 조사보고서
증세, 반대 의견 찬성보다 더 높아
증세, 반대 의견 찬성보다 더 높아

국민 10명 중 6명이 현재의 재정이 지속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는 국책연구기관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민 30%는 미래세대를 위해 추가로 세금을 낼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놨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 조세재정전망센터 최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재정 지속가능성과 재정운용 방향에 대한 대국민 인식조사 결과’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월 만 19세 이상 성인 3000명을 대상으로 이메일과 스마트폰을 통해 이뤄졌다.
현재 우리나라의 재정 지속가능성에 대한 평가에 대해 국민 65%는 ‘위험한 상태’라고 입을 모았다. 반면 양호하다는 비중은 35%에 그쳤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재정이 위험하다고 본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20대 이하에서 61.1%, 40대 64.3%, 60대 이상 68.8%로 조사됐다.
향후 재정의 주된 위험 요인에 대해서는 1순위로 세입 감소를 우려하는 시각이 45.9%로 가장 많았다. 이어 경제 성장률 저하(28.1%), 재정지출 증가(26.0%)가 뒤를 이었다.
국가채무 증가가 장기적으로 삶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인지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그렇다’는 응답률이 83.7%로 압도적이었다.
국가채무 증가에 따른 부작용 중에서는 ‘공공요금과 물가 상승 우려’가 95.2%로 가장 많았고 ‘연기금 재정 악화에 따른 노후 불안’이 93.1%로 뒤를 이었다. ‘미래세대의 세 부담 증가로 인한 세대 갈등 심화’를 우려하는 시각도 92.4%(복수응답)에 달했다.
국민 10명 중 3명은 납세 의사가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전체 응답자 중 29.5%는 재정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납세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의향이 없다는 응답도 32.5%로 많았다.
추가 납세에 찬성하는 비율은 60대 이상이 32.6%로 각 세대 중 가장 높았고, 20대 이하가 21.8%로 가장 낮았다. 특히 자녀가 있는 응답자 중 32.3%가 미래세대를 위해 더 많은 세금을 낼 수 있다고 응답했다.
증세에 대한 의견으로는 찬성은 28.5%, 반대는 39.6%로 부정적인 경향이 더 높았다. 조세연은 “장기적으로 정부의 확대 재정운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경우 국가채무 증가와 국민 부담수준 증가를 통한 재원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라고 평가했다.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달바글로벌 상장 첫날 70% 급등…‘주주 우대 제품할인’ 눈길 [특징주]
-
2
6.3 조기대선에 ‘꿩 먹고, 알먹는’ 우선주 뜬다는데…투자 시 주의점은
-
3
오전장★테마동향
-
4
“롯데관광개발, 2분기 성수기 진입 효과”…분기 영업이익 신기록 갱신 기대감
-
5
오전장 특징주★(코스피)
-
6
오전장 특징주★(코스닥)
-
7
유니온바이오메트릭스, 위조 생체인식 방어력 성능 1등급 획득…“복합 인증 기술 활용”
-
8
한국알콜(017890) 소폭 상승세 +3.46%
-
9
네오팜(092730) 소폭 상승세 +3.52%
-
10
프롬바이오(377220) +14.03%, 이노진 +9.78%, 위더스제약 +9.55%, 바이오니아 +7.58%, JW신약 +6.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