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값'된 계란에 '에그플레이션' 우려 다시 고개
조류인플루엔자에 美 1월 계란값 한달새 15%↑…마트선 품귀현상금리인하 기대도 줄어…전문가 "연준 2% 물가 달성하려면 인상 고려할 상황"
이지헌
입력 : 2025.02.13 01:47:00
입력 : 2025.02.13 01:47:00
![](https://stock.mk.co.kr/photos/20250213/AKR20250213003400072_01_i_P4.jpg)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미국에서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계란 가격이 폭등하면서 '에그플래이션'(eggflation·계란과 인플레이션의 합성어)이 더욱 강력한 모습으로 돌아왔다고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 보도와 미 노동부 소비자물가 통계 발표에 따르면 미국에서 12개 들이 A등급 대란(大卵)의 평균 소매가격은 지난 1월 4.95달러로 전월 대비 15.2% 급등했다.
1년 전과 비교해선 53% 올랐다.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으로 계란 값이 치솟았던 지난 2023년 1월의 4.82달러도 넘어서며 사상 최고가 기록도 경신했다.
1월 계란 가격 상승률은 월간 기준으로 지난 2015년 6월 이후 가장 높았으며, 1월 가정 내 식품 물가 상승분의 3분의 2에 기여했다고 미 노동부는 설명했다.
최근 미국 내 계란 가격 상승의 배경으로는 미국에서 확산 중인 조류 인플루엔자가 지목되고 있다.
미 농무부는 작년 12월 한 달 동안 1천320만 마리의 산란계를 살처분했으며, 올해 1월 들어서도 조류 인플루엔자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내 일부 지역에서는 계란 공급처 상황에 따라 일반 식료품 매장에서 계란 품귀 현상마저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와플과 햄버거, 샌드위치 등을 판매하는 식당 프랜차이즈 와플하우스는 지난 3일부터 계란이 포함된 메뉴에 50센트(약 700원)를 추가 청구하기 시작했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에서는 수송 트럭 내 계란이 송두리째 도난당하는 황당한 사건도 벌어졌다.
계란 가격 급등은 미국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키우는 것은 물론 미국의 인플레이션 우려를 키우며 미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분위기다.
미 노동부는 이날 1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에너지 및 식품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했다고 밝혔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다시 올라선 것은 지난해 6월(3.0%) 이후 7개월 만에 처음이다.
인플레이션 지표가 예상 밖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들어 금리 인하를 사실상 중단하는 것 아니냐는 기대에도 더욱 무게가 실리고 있다.
금융시장은 이날 소비자물가 지표 발표 후 연준이 연내 금리를 동결하거나 인하하더라도 횟수가 한 차례에 그칠 것이란 기대를 높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 선물시장은 오는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까지 연준이 기준금리를 현 4.25∼4.50%로 동결할 확률을 28%로, 4.00∼4.25%로 한 차례 인하할 확률을 40%로 각각 반영했다.
2025년 연내 동결 내지 한 차례 인하만 이뤄질 확률은 68%로, 하루 전의 (57%)에서 상승했다.
모하메드 엘-에리언 알리안츠그룹 고문도 엑스(X·옛 트위터)에 "인플레이션이 연준이 시그널을 통해 시사해왔던 기대 수준을 넘어섰을 뿐만 아니라, 더욱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며 "이런 최근 지표는 다른 경제 지표들과도 부합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연준이 만약 2% 물가상승률 목표 달성에 진정으로 전념하고 있다면 시장 참여자들은 금리 인하 연기를 논의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잠재적인 금리 인상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pan@yna.co.kr(끝)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美하원의장 "트럼프 상호관세서 자동차·의약품 면제 가능성"
-
2
美, 러 가상화폐거래소 설립자 석방…"미·러 수감자 교환"(종합)
-
3
달러-원, 뜨거운 美 물가 vs 우크라 협상 개시…1,456.00원 마감
-
4
美백악관 "13일 모디 총리 백악관 방문 전에 상호관세 발표"
-
5
[속보] 백악관 "13일 인도총리 방미 전에 상호관세 발표"
-
6
뎅기열 역대 최악 이유는 "기후 변화"…수학 모델로 밝혔다
-
7
무역전쟁 우려에 ECB 금리인하 속도조절론(종합)
-
8
애플, 헬스케어 강화…포괄적 '건강 연구' 프로그램 개시
-
9
美백악관, 25일부터 일반인 대상 투어프로그램 재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