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연체율 비상등 켜졌다
한우람 기자(lamus@mk.co.kr)
입력 : 2023.03.22 17:44:53
입력 : 2023.03.22 17:44:53
은행·카드·상호금융 모두 올라
당국 "충당금 쌓아라" 총력전
금융당국이 연일 국내 모든 금융권을 대상으로 자기자본 확충과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을 권고하고 나섰다.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국내 금융사 연체율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실리콘밸리은행(SVB)과 크레디트스위스를 비롯한 선진국 은행발 잇단 금융불안의 국내 전염을 차단하기 위해 '금융 마스크 쓰기'를 사실상 의무화하겠다는 포석이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은행, 카드, 상호금융조합(농협·수협·신협·산림협동조합) 등 금융 전 업권에 걸쳐 지난해 말 연체율이 일제히 전년 말 대비 상승했고, 월별 상승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은행은 지난해 말 연체율이 0.25%를 기록해 전년 대비 0.04%포인트 올랐고, 카드는 1.20%로 같은 기간 0.11%포인트 상승했다. 상호금융은 1.17%에서 1.52%로 0.35%포인트 급등했다. 24일 발표 예정인 지난해 저축은행 연체율은 3% 초중반 수준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말 2.50% 대비 확연한 오름세다.
금감원은 지난 16일부터 업권별 실적 발표와 금융감독업무 설명회를 통해 금융사별로 자본확충, 충당금 추가 적립에 나서라며 창구 지도에 나섰다. 특히 금융당국은 금융권 '맏형'인 은행에 대해 보다 높은 수준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요구하고 나서 눈길을 끈다. 국내 은행은 2021년 말 165.9%였던 대손충당금 적립률을 지난해 말 사상 최대 수준인 227.2%로 크게 끌어올렸다.
하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금융위원회와 금감원은 공동으로 은행 건전성 강화를 위해 '경기 대응 완충 자본' '스트레스 완충 자본' '특별대손준비금 적립 요구권' 등 이른바 '은행 자본확충 3종 세트' 도입도 추진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전 금융업권에 걸쳐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해 금융불안의 전염 가능성을 원천 봉쇄하겠다는 포석"이라며 "글로벌 금융불안이 일부 국내에 전염된다고 하더라도 풍부한 유동성과 높은 건전성을 갖춘 국내 대형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금융 방파제'를 사전에 구축해 이에 대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우람 기자]
당국 "충당금 쌓아라" 총력전
금융당국이 연일 국내 모든 금융권을 대상으로 자기자본 확충과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을 권고하고 나섰다.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국내 금융사 연체율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실리콘밸리은행(SVB)과 크레디트스위스를 비롯한 선진국 은행발 잇단 금융불안의 국내 전염을 차단하기 위해 '금융 마스크 쓰기'를 사실상 의무화하겠다는 포석이다.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은행, 카드, 상호금융조합(농협·수협·신협·산림협동조합) 등 금융 전 업권에 걸쳐 지난해 말 연체율이 일제히 전년 말 대비 상승했고, 월별 상승속도도 빨라지고 있다. 은행은 지난해 말 연체율이 0.25%를 기록해 전년 대비 0.04%포인트 올랐고, 카드는 1.20%로 같은 기간 0.11%포인트 상승했다. 상호금융은 1.17%에서 1.52%로 0.35%포인트 급등했다. 24일 발표 예정인 지난해 저축은행 연체율은 3% 초중반 수준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말 2.50% 대비 확연한 오름세다.
금감원은 지난 16일부터 업권별 실적 발표와 금융감독업무 설명회를 통해 금융사별로 자본확충, 충당금 추가 적립에 나서라며 창구 지도에 나섰다. 특히 금융당국은 금융권 '맏형'인 은행에 대해 보다 높은 수준의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요구하고 나서 눈길을 끈다. 국내 은행은 2021년 말 165.9%였던 대손충당금 적립률을 지난해 말 사상 최대 수준인 227.2%로 크게 끌어올렸다.
하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금융위원회와 금감원은 공동으로 은행 건전성 강화를 위해 '경기 대응 완충 자본' '스트레스 완충 자본' '특별대손준비금 적립 요구권' 등 이른바 '은행 자본확충 3종 세트' 도입도 추진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전 금융업권에 걸쳐 손실흡수능력을 확충해 금융불안의 전염 가능성을 원천 봉쇄하겠다는 포석"이라며 "글로벌 금융불안이 일부 국내에 전염된다고 하더라도 풍부한 유동성과 높은 건전성을 갖춘 국내 대형 시중은행을 중심으로 '금융 방파제'를 사전에 구축해 이에 대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우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