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소상공인에 4조원 투입…실리콘밸리에 창업거점 연다
중소기업정책심의회 개최…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1조6천억원협상 단계 '기술 침해' 제재 추진…글로벌 펀드 1조원 규모 조성
차민지
입력 : 2025.05.14 14:00:09
입력 : 2025.05.14 14:00:09
(서울=연합뉴스) 차민지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가 영세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낮춰주기 위해 추가경정예산 4조원을 신속하게 푼다.
거래 전이나 협상 과정에서 기술을 빼앗긴 중소기업이 보호받을 수 있도록 법 개정도 추진한다.
세계시장을 무대로 창업이 활성화하도록 미국 실리콘밸리에 한국 창업·벤처 글로벌 통합 거점을 열고 연내 1조원 규모의 글로벌 펀드도 조성하기로 했다.
중기부는 14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2025년도 제1차 중소기업정책심의회'를 열어 추경 집행을 통한 이런 내용의 소상공인·자영업자 민생회복 지원방안과 중소기업 기술보호·창업 지원 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 현판
[중소벤처기업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1조6천억원…2조원 규모 신규 보증공급 중기부는 추경 4조8천억원 중에서 4조원을 소상공인의 민생회복에 우선 지원한다.
영세 소상공인의 고정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전기·가스·수도 요금 및 보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부담경감 크레딧'을 1조6천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또 소상공인의 매출 확대를 위해 카드 소비액의 일부를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상생페이백' 사업을 1조4천억원 규모로 시행할 예정이다.
이달부터 약 5개월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 환급행사도 실시한다.
소상공인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는 중·저신용 소상공인에게 최대 1천만원 한도의 구매 전용 신용카드를 지원하고, 소상공인 정책자금을 5천억원 추가 확대한다.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해 2조원 규모의 신규 보증공급도 확대한다.
폐업 소상공인을 위해서는 점포 철거비와 재창업·재취업을 지원하는 '희망리턴패키지' 사업에 추경 약 500억원을 추가 투입해 신속한 재기를 지원할 계획이다.

[연합뉴스TV 제공]
◇ 협상 단계서 기술 침해 땐 '제재'…검·경 패스트트랙 구축 중기부는 제4차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계획에 따라 거래 전이나 협상 과정에서의 기술 침해에 대해서도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법령 개정을 추진해 기술보호의 적용 범위를 확대한다.
기술자료 요구 시에는 서면 명시를 의무화하고, 거래 종료 후에는 제공된 기술자료의 반환·폐기를 법적 의무로 규정해 무단 보관이나 재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방침이다.
법적 요건이 부족한 스타트업의 아이디어를 보호하기 위해 '아이디어 원본증명제도'를 도입한다.
기술이전을 목적으로 한 이직 알선(브로커 행위)이나 사이버 해킹 등 신유형 기술침해도 처벌 대상으로 명확히 규정할 계획이다.
5천만원 이하 소액, 경미한 기술침해 사건은 직권조정 절차를 통해 신속히 해결하도록 조정제도를 개선하고 중기부에 접수된 기술침해 신고는 검찰청·경찰청으로 즉시 이첩하는 '검·경 패스트트랙'을 구축할 예정이다.
손해액 산정 기준을 표준화해 기술개발에 투입된 비용까지 보상 범위에 포함시키는 개선안을 마련한다.
현재 17.5%에 불과한 청구인용률을 30%까지 끌어올리는 게 목표다.

온디바이스 AI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 실리콘밸리에 한국 창업 거점 열어…글로벌 펀드 1조원 규모 조성 중기부는 '2025년도 창업지원 시행계획'을 통해 딥테크 스타트업 집중 육성, 창업생태계의 글로벌화 가속화,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개방형 혁신 촉진 등을 중점 추진한다.
중기부는 인공지능(AI), 바이오, 기후테크 등 딥테크 핵심 기술분야에 대한 특화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퀄컴, LG 등 글로벌 대기업과 AI 스타트업 간 초격차 챌린지를 개최한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한국 창업·벤처의 글로벌 통합 거점을 개소하고 글로벌 펀드를 연내 1조원 규모로 신규 조성한다.
국내 최상위 벤처·스타트업과 대기업 간 개방형 혁신을 촉진하는 딥테크 밸류업 프로그램을 본격 개시한다.
지역 스타트업 성장을 위한 '지방시대 벤처펀드'에 2천억원 규모 모태펀드를 출자할 예정이다.
중기부는 정책 현장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계 협·단체장 중심으로 신규 민간위원 5명을 새롭게 임명했다.
chacha@yna.co.kr(끝)
거래 전이나 협상 과정에서 기술을 빼앗긴 중소기업이 보호받을 수 있도록 법 개정도 추진한다.
세계시장을 무대로 창업이 활성화하도록 미국 실리콘밸리에 한국 창업·벤처 글로벌 통합 거점을 열고 연내 1조원 규모의 글로벌 펀드도 조성하기로 했다.
중기부는 14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에서 '2025년도 제1차 중소기업정책심의회'를 열어 추경 집행을 통한 이런 내용의 소상공인·자영업자 민생회복 지원방안과 중소기업 기술보호·창업 지원 계획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 소상공인 부담경감 크레딧 1조6천억원…2조원 규모 신규 보증공급 중기부는 추경 4조8천억원 중에서 4조원을 소상공인의 민생회복에 우선 지원한다.
영세 소상공인의 고정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전기·가스·수도 요금 및 보험료에 사용할 수 있는 '부담경감 크레딧'을 1조6천억원 규모로 지원한다.
또 소상공인의 매출 확대를 위해 카드 소비액의 일부를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해주는 '상생페이백' 사업을 1조4천억원 규모로 시행할 예정이다.
이달부터 약 5개월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0% 환급행사도 실시한다.
소상공인의 안정적 운영을 위해서는 중·저신용 소상공인에게 최대 1천만원 한도의 구매 전용 신용카드를 지원하고, 소상공인 정책자금을 5천억원 추가 확대한다.
지역신용보증재단을 통해 2조원 규모의 신규 보증공급도 확대한다.
폐업 소상공인을 위해서는 점포 철거비와 재창업·재취업을 지원하는 '희망리턴패키지' 사업에 추경 약 500억원을 추가 투입해 신속한 재기를 지원할 계획이다.

[연합뉴스TV 제공]
◇ 협상 단계서 기술 침해 땐 '제재'…검·경 패스트트랙 구축 중기부는 제4차 중소기업 기술보호 지원계획에 따라 거래 전이나 협상 과정에서의 기술 침해에 대해서도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도록 법령 개정을 추진해 기술보호의 적용 범위를 확대한다.
기술자료 요구 시에는 서면 명시를 의무화하고, 거래 종료 후에는 제공된 기술자료의 반환·폐기를 법적 의무로 규정해 무단 보관이나 재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방침이다.
법적 요건이 부족한 스타트업의 아이디어를 보호하기 위해 '아이디어 원본증명제도'를 도입한다.
기술이전을 목적으로 한 이직 알선(브로커 행위)이나 사이버 해킹 등 신유형 기술침해도 처벌 대상으로 명확히 규정할 계획이다.
5천만원 이하 소액, 경미한 기술침해 사건은 직권조정 절차를 통해 신속히 해결하도록 조정제도를 개선하고 중기부에 접수된 기술침해 신고는 검찰청·경찰청으로 즉시 이첩하는 '검·경 패스트트랙'을 구축할 예정이다.
손해액 산정 기준을 표준화해 기술개발에 투입된 비용까지 보상 범위에 포함시키는 개선안을 마련한다.
현재 17.5%에 불과한 청구인용률을 30%까지 끌어올리는 게 목표다.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 실리콘밸리에 한국 창업 거점 열어…글로벌 펀드 1조원 규모 조성 중기부는 '2025년도 창업지원 시행계획'을 통해 딥테크 스타트업 집중 육성, 창업생태계의 글로벌화 가속화, 대기업과 스타트업 간 개방형 혁신 촉진 등을 중점 추진한다.
중기부는 인공지능(AI), 바이오, 기후테크 등 딥테크 핵심 기술분야에 대한 특화 지원체계를 마련하고 퀄컴, LG 등 글로벌 대기업과 AI 스타트업 간 초격차 챌린지를 개최한다.
미국 실리콘밸리에 한국 창업·벤처의 글로벌 통합 거점을 개소하고 글로벌 펀드를 연내 1조원 규모로 신규 조성한다.
국내 최상위 벤처·스타트업과 대기업 간 개방형 혁신을 촉진하는 딥테크 밸류업 프로그램을 본격 개시한다.
지역 스타트업 성장을 위한 '지방시대 벤처펀드'에 2천억원 규모 모태펀드를 출자할 예정이다.
중기부는 정책 현장과의 소통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계 협·단체장 중심으로 신규 민간위원 5명을 새롭게 임명했다.
chacha@yna.co.kr(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