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천만원을 20억으로 불린 주식고수가 아들에게 준 비결 [자이앤트TV]

안갑성 기자(ksahn@mk.co.kr)

입력 : 2023.05.21 08:27:30 I 수정 : 2023.05.21 08:38:48
[안갑성의 자이앤트TV 인터뷰]
샌드타이거샤크(샌타샤) 박민수 작가




“요즘 2030 세대는 계층이동 사다리가 끊기면서 내집마련도 어려운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저도 주식투자로 36살까지는 잃기만 했던 시행착오를 통해 내 아들만큼은 잃지 않는 주식투자를 했으면 좋겠다는 마음입니다.”

최근 매경 자이앤트TV에 출연한 박민수 작가는 신간 ‘아들아, 주식 공부해야 한다’를 통해 개인 투자자들이 집중해야 할 유형의 주식으로 ‘실적개선주’와 ‘고배당주’ 2가지 유형의 주식에만 집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박민수 작가는 한번 먹이를 물면 놓지 않는 습성을 가진 샌드타이거샤크(샌타샤)를 필명으로 젊은 세대로부터 주식투자 강사이자 ‘최고민수’, ‘오히려 좋아, 고맙다’ 등 다양한 인터넷 밈을 통해 투자 아이콘으로 유명해진 인물입니다.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 강사를 역임한 박민수 작가는 증권 유관기관서 20년 넘게 근무하면서 36세 독학으로 주식투자를 배워 종잣돈 3000만원을 20억원대로 불린 주식 고수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실제로 아들 2명을 키우는 아빠로서 젊은 시절부터 올바른 주식투자 습관을 기르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박 작가는 “개인 주식투자자들의 가장 큰 실수는 안전한 ETF가 아닌 테마주 같은 가장 화끈한 종목들에 들어가서 소액을 몇 배 불리려다 결국 투자 손실로 이어지는 것”이라며 “주식 투자 순서를 실력에 따라 ETF-고배당주-실적개선주-테마주 순으로 단계를 차근차근 밟아 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반대로 모든 개인 투자자들이 가급적 투자를 피해야 하는 유형의 주식도 소개했습니다. 박 작가는 “첫째 원칙으로 절대 적자 기업엔 투자하지 말고, 둘째 원칙으로 이미 호재가 나왔거나 호실적을 발표한 이후 뒤늦게 매수에 동참하지 않는다를 지켜야 한다”며 “테마주의 경우 호재가 나온 뒤 연이어 호재가 뒤따라오지 않는다면 그때가 바로 주가의 고점에 해당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매수 후 손실구간에 들어가 비자발적 장기투자를 하는 경우에도 최소한 상장폐지되지 않을 확률이 높은 주식을 사라는 취지입니다.

반대로 인생역전의 매수기회는 모두가 공포에 질려 적은 거래량으로도 주가가 폭락하고, 증시에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될 정도로 빠르게 내릴 때에 찾아온다고 강조했습니다. 박 작가는 “시장 전체가 급격히 무너질 때는 적은 거래량으로 주가가 급락한 뒤, 얼마 안 가면 이성을 되찾은 투자자들에 의해 급반등한다”며 “거래량이 적은 단기 급락은 평소 눈여겨 본 실적개선주와 고배당주 투자금을 크게 늘릴 기회”라고 전했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이 실적개선주를 고를 수 있는 판단 기준으로는 ‘미래 실적’, 특히 향후 2~3년간 시장 컨센서스(전망치)로 나온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등에 주목해야 한다는 설명도 나왔습니다.

박 작가는 “증권가 보고서나 에프앤가이드 등지서 실적개선주의 미래 실적의 증감을 보고 판단하되, 보수적 투자자라면 증권가 보고서 상 나온 실적 전망치의 80~90% 수준만 적용해 선행 PER(주가수익비율)을 계산해 판단하면 된다”며 “실적개선주는 향후 2~3년 뒤 선행 PER이 매력적인 수준으로 낮아질 때 매수해서 실적 전망치 증가 추세가 꺾일 때를 매도 시점으로 잡으면 된다”고 말했습니다.

경기에 민감한(시클리컬) 제조업종의 증시 비중이 높은 국내 증시 특성상 2~3년 뒤 예상 PER 외에도 대규모 설비투자가 필수적인 업종의 경우 EV/EBITDA(기업가치/이자, 세금 및 감가상각 전 영업이익) 지표를 PER의 대체지표로 활용해야 한다는 조언도 덧붙였습니다.

박 작가는 “대규모 설비 투자(CAPEX)가 필요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등과 같은 기업의 경우 미래 PER 대신 미래 EV/EBITDA로 저평가 및 실적성장 추세 여부를 확인하면 된다”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고배당주의 경우 시가배당률 8% 이상인 경우 고배당주로 보고 포트폴리오 상 일정 비중 이상을 가져가는 게 초보 주식 투자자들에게 유용하다고 박 작가는 설명합니다.

그는 “초보 투자자들은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소각 등 꾸준한 주주환원을 해온 기업에만 투자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며 “고배당주의 경우 시가배당률 8% 위에서 사서, 시가배당률이 6% 아래로 내려가면 파는 식으로 기준을 잡고 매매 전략을 가져가면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매일경제 투자·재테크 전문 유튜브 채널 ‘매경 자이앤트TV’입니다.

유튜브에서 ‘매경 자이앤트TV’를 검색하시면 영상으로 더 자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아래 구독 버튼을 누르시면 ‘돈 공부’를 할 수 있는 더 다양한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안갑성의 자이앤트TV 인터뷰’는 매주 주말에 공개됩니다.



기사 관련 종목

05.02 13:26
삼성바이오로직스 1,081,000 29,000 +2.76%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05.02 13:47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