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장★테마동향
입력 : 2024.01.31 14:39:32
제목 : 오후장★테마동향
테마 동향 | 주 요 테 마 |
강세 테마 | 은행, 손해보험, 생명보험, 정유, 그래핀, 홈쇼핑, 탄소나노튜브(CNT), 자동차 대표주, 건설기계, 화학섬유, 카메라모듈/부품, 셰일가스(Shale Gas), 조림사업, 건설 대표주, 2차전지(생산), LPG(액화석유가스), 리모델링/인테리어, SI(시스템통합), 폐기물처리, 자원개발, 전선, 골판지 제조, 통신 등... |
약세 테마 | AI 챗봇(챗GPT 등), HBM(고대역폭메모리), 온디바이스 AI, CXL(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 LED장비, 인터넷 대표주, 시스템반도체, 웹툰, 면역항암제, 음성인식, 의료AI, 게임, 터치패널(스마트폰/태블릿PC 등), 3D 낸드(NAND), 증강현실(AR), PCB(FPCB 등), 모바일솔루션(스마트폰), 모바일콘텐츠(스마트폰/태블릿PC), 마이데이터, 반도체 재료/부품, 마이크로 LED, 반도체 장비 등... |
특징 테마 | 이 슈 요 약 |
은행/ 생명보험/ 손해보험 | 금융당국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 기대감 지속 등에 상승 |
▷현대차증권은 보고서를 통해 최근 정부 및 감독당국에서 저(低) P/B 기업에 대한 기업가치 제고 정책 예고(기업 밸류업 프로그램)한 가운데, 일본의 경우 지난 해 도쿄증권거래소(TSE)가 P/B 1x 이하 상장사에 주주가치 제고 방안을 마련하도록 권고한 바 있으며, 이와 유사한 정책 시행이 예상되는 중이라고 밝힘. 특히, 일본 주요 금융사의 경우 정책 시행 후 구체적인 주주환원정책 발표, 주가는 31% 가량 상승했다고 밝힘. ▷업종 P/B은 은행(카카오뱅크 제외) 0.3x, 생보 0.2x, 손보 0.4x, 증권 0.4x 수준으로, 모두 대표적인 저 P/B 업종이며, 해당 정책 시행 시 중장기적으로 우리나라 금융사들의 주주환원정책이 진일보하는 계기로 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에 제주은행, 우리금융지주, 기업은행, 하나금융지주 등 은행, DB손해보험, 현대해상, 코리안리, 삼성생명, 동양생명 등 손해보험/생명보험 테마가 상승. | |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 중동 긴장감 지속 및 IMF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 상향 속 국제유가 상승 영향 등에 상승 |
▷30일(현지시간) 국제유가는 중동을 둘러싼 지정학적 불안과 세계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으로 상승세를 기록. 미국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3월 인도분 가격은 전거래일보다 1.04달러(+1.35%) 상승한 77.82달러에 거래 마감. ▷언론에 따르면,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상향한 점이 투자 심리를 개선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음. IMF는 이날 발표한 경제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세계 경제가 연착륙을 달성할 것이라며 올해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3.1%로 제시하며 기존보다 0.2%포인트(P) 올렸음. 아울러 중동을 둘러싼 긴장감이 지속되고 있는 점도 유가를 끌어올리는 모습.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 발발 이후 중동에서 첫 미군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중동 긴장감은 다시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미군 사망자 발생에 대해 보복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음. ▷이 같은 소식 속 GS, S-Oil, GS, SK가스, 대성산업 등 정유/ LPG(액화석유가스) 테마가 상승. | |
아이폰 | 올해 아이폰 출하량 대폭 감소 전망 등에 일부 관련주 하락 |
▷애플 전문 분석가 대만의 궈밍치 TF증권은 30일(현지시간) 자신의 블로그에 "최신 공급망 조사에 따르면 애플이 올해 '주요 반도체 부품'의 출하량을 약 2억 대로 줄였다"고 밝힘. 이는 지난해보다 약 15% 줄어든 수치임. 이어 "애플의 중국 내 주간 출하량이 최근 몇 주간 1년 전보다 30∼40% 감소했다"며 "이런 하락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이에 "애플은 2024년 주요 글로벌 휴대전화 브랜드 중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보일 수 있다"고 언급. ▷아울러 "중국 시장에서 고급 제품 사용자들이 폴더블폰을 첫 번째 선택으로 선호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며 "여기에 화웨이가 중국 시장에서 복귀한 것도 아이폰의 잠재적 쇠퇴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음. 그러면서 "아이폰은 적어도 2025년까지는 디자인에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애플의 출하량 모멘텀과 생태계 성장은 당분간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힘. ▷이 같은 소식 속 인터플렉스, 아이티엠반도체, LG이노텍, 프로텍, 와이엠티 등 일부 아이폰 테마가 하락. | |
화장품 | 아모레퍼시픽 실적 부진 영향 등에 하락 |
▷아모레퍼시픽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9,260.49억원(전년동기대비 -14.86%), 영업이익 206.76억원(전년동기대비 -63.69%), 순이익 382.30억원(전년동기대비 +55.48%). 아모레G 전일 장 마감 후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연결기준 매출액 1.01조원(전년동기대비 -14.01%), 영업이익 298.52억원(전년동기대비 -62.01%), 순이익 478.90억원(전년동기대비 +348.70%). ▷NH투자증권은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4분기 국내 수익성 개선에도 불구하고 중국 영업적자 확대로 어닝 쇼크를 기록했다고 밝힘. 키움증권은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면세 매출은 1,345억원 (-29% YoY), 중국 법인 매출은 1,287억원 (-42% YoY)를 기록했다고 밝힘. 면세 채널은 B2B 채널 수요 부진, 중국 법인은 주요 브랜드의(설화수, 이니스프리, 려) 채널 내 재고 조정, 럭셔리 화장품 시장 수요 부진 영향 때문이었다고 설명. 매출 성장이 제한적이었던 가운데, 프리미엄 브랜드(이니스프리, 라네즈)의 마케팅 투자가 늘면서 중국 법인은 적자를 기록했다(약 500억 손실 추정)고 분석. ▷이 같은 소식에 아모레퍼시픽, 아모레G, 에이에스텍, 비엘팜텍, LG생활건강 등 화장품 테 마가 하락. |
[인포스탁 테마분류를 통해서 상세한 기업개요 및 테마개요/관련종목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Copyright ⓒ True&Live 증시뉴스 점유율1위, 인포스탁(www.infostock.co.kr)
기사 관련 종목
07.16 15:30
제주은행 | 16,900 | 400 | -2.31% |
증권 주요 뉴스
증권 많이 본 뉴스
매일경제 마켓에서 지난 2시간동안
많이 조회된 뉴스입니다.
-
1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 상승률 상위종목
-
2
[AI픽] "초당 피해액 4.6억원"…AI로 날개 단 사이버 공격
-
3
대치미도 정비구역 지정 고시…강남구, 조합설립 지원 본격화
-
4
주요 기업 영업이익 예상치 및 실적 발표 일정 (2025년 2분기, 2025.07.17 기준, 연결) -1
-
5
[우분투칼럼] 아프리카서 글로벌 사우스로…한국형 '공동성장' 모델
-
6
[속보] 트럼프 "유럽과 무역합의할 가능성 있어"
-
7
"재산세 납기 놓치지 마세요"…서초구 납세편의 서비스 운영
-
8
[연합뉴스 이 시각 헤드라인] - 07:30
-
9
“IBK기업은행, 세제 변화 시 현금배당 매력 부각”…목표가↑
-
10
개장전★주요이슈 점검